today_24 / total_443409




회복 1-3 단계 - 신념갱신 단계 (Belief Steps)


1. 회복 1 단계 (The First Step)


우리는 알코올, 마약, 기타 중독행위들에무기력 했으며
우리 생활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게 되었음을 깨닫고 시인합니다

We admitted we were powerless over addictive behaviors
that our lives had become unmanageable



* 회복 1 단계 Slogan


정직으로부터 평온해지기까지
한 단계씩 해 나가자!


FROM HONESTY TO SERENITY
ONE STEP AT A TIME !


  • 당신의 삶 속에서 무엇인가에 통제력이 상실 되었습니까?
    Is there something out of control in your life?

  • 괴상한 정서감정입니까?
    Erratic emotions?

  • 알코올, 약물, 인터넷에 의존되었거나? 또는 음식중독에 처해 있습니까?
    Dependence on alcohol, other chemicals, or internet game? Overeating?

  • 문제가 무엇이든 간에 당신의 마음에 상처가 됩니까?
    Whatever the problem, is it hurting you?

  • 이제 당신은 잘해보려는 노력을 하다가 실패하는 일조차도 싫증이 납니까?
    Are you tired of trying and failing?

    예 그렇습니다(YES) __________ 그렇지 않습니다 (NO) __________

만약 당신이 이러한 질문들에 “그렇다” 라고 대답을 한다면, 당신은 삶 속에서 무엇인가에 생활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것으로, 정상적으로 삶 통제하기가 무기력한 것이다.
If you answer YES to these questions, you are admitting that some area of
your live is unmanageable and that you are powerless to control it.

무엇이 내 삶을 망가트리고 있으며, 그 것은 누구의 문제일까?
What is hurting my life, and whose problem is it?


  1. 회복 1 단계는 아주 간단한 내용으로, 아직 당신에게 무엇을 변화하라는 요청을 하지 않는다. 회복 1 단계가 제시하는 바는 당신 자신의 삶에 대해서 당신 스스로에게 진실을 말할 것을 제안할 뿐이다. 더 이상 변명을 하지 말자, 거짓으로 하는 척도, 그리고 비난하거나 합리화 하지도 말자는 것이다. 실제로 내게는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그 문제는 바로 내 자신의 문제이지, 아버지나 엄마, 또는 살기 힘든 세상 때문이 아닌 것이다.

    This is very simple Step. Step one doesn't ask you to change anything. All it suggests is that you tell yourself the truth about your own life. Stop making excuses, pretending, blaming, rationalizing. The problem is real and the problem is mine, not dad's, mom's, not the hard cruel world's.

  2.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우리들을 취급해 주느냐 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고, 왜 우리들이 그렇게 했느냐 에 초점을 둘 필요가 없다. 자꾸 “왜(Why)” 그랬을까 하는 생각을 하는 것은 바보스러운 일이다. 이 세상 아무도 자꾸 이유를 대는 합리화로만 일관 할 수가 없고, 실제로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우리들은 어떤 사람이며, 우리들이 무슨 일들을 해 왔는가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렇게 우리가 누구이며 무엇을 해왔는가를 스스로 자문해 볼 때에만, 비로소 무엇이 나의 삶에 상처를 주고 있고, 그 문제가 누구의 것인지를 알게 되며, 바로 이것이 회복 1 단계의 모두인 것이다.

    How other people treat us is not the issue. Why we do as we do is not the point, either. “Why is a fool's question.” No only can why lead you down a garden path of rationalizing, but it doesn't matter. We are who we are. We do the thing we do. What and who are the questions you want to ask. What is hurting my life, and whose problem is it? that's all in Step one.

  3. 그래서 우리들이 중독물체나 중독행위들에 무기력했고 생활의 일부분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다는 두 가지 모두를 다 인정하게 될 때까지, 우리들은 회복이 가져다주는 자유 함을 누릴 준비가 되었다는 말은 할 수가 없는 것이다.

    Until we admit that we are both powerless over substances or addictive behaviors, and that certain areas of our lives are unmanageable, we aren't ready for the freedom trail that recover is.

무기력하다는 것을 좋아할 사람이 있을까?
Who would like to be powerless?


  1. 중독에 무기력하다는 말은 실제로 알코올, 마약, 또는 중독행위들이 우리들 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Being powerless means admitting that alcohol, drugs, or addictive behaviors are stronger than we are.

  2. 우리들이 술을 마시고, 마약을 하고, 인터넷을, 또는 도박을 했었을 때에 우리들은 무엇인가에 통제를 당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던 사람은 거의 없었으며, 실제로는 외부 사람들의 도움 없이도 우리들이 사용해온 중독물체나 중독행위를 잘 처리할 수 있다는 확신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When we were drinking, drugging, netting, or gambling, few of us believed that anything was controlling us. In fact, we are quite sure we could handle our addictive substances or addictive behaviors without any help from anyone.

누가 혼자서만 약물에 도취되고 싶어 할까?
Who wanted to get high alone?


  1. 이미 문제가 있는 친구들이나 우리 몸에 밴 중독증은 자꾸 약물을 사용해도 괜찮고, 올바로 생활하는 애들이 오히려 멍청한 애들이고, 어른들은 우리들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없을 것이라는 말들을 해 주었을 것이다.

    Our friends in problem or addiction kept telling us we were all right, that straight kids were dumb, and that adults just didn't know what was happening.

  2. 하지만 그렇게 우리들의 생활이 엉망이 된 것을 부인하기에 바빴던 동안에, 우리들이 해온 술이나 마약, 또는 중독행위들은 실제생활과 우리들을 돌봐주는 가족들로부터 자꾸 더 멀어지게만 만들었던 것이다.

    But while we were busy denying that our lives were messed up, our use of alcohol, drugs, or addictive behavior was steadily sweeping us further from reality and the people who cared about us.

우리의 힘으로는 중독의 통제를 벗어날 방법이 없었다
We were in no way out of control


  1. 우리들이 "약물이나 중독을 야기하는 렌즈(Lenses)"를 통해서 우리들의 삶을 보는 한, 우리들에게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고 확신을 갖게 만들어, 우리들의 힘으로는 도저히 중독의 통제를 벗어날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As long as we were viewing life “through our chemical or addictive lenses,” we were convinced that we didn't have a problem, and that we were in no way out of control.

  2. 우리들이 과거 중독문제들을 되돌아볼 때에, 마약구입이나 게임을 해서 낭비한 그간의 돈, 마약이나 술을 사기 위해서 물건을 훔쳤던 일들, 부모님과 선생님들에게 계속 거짓말들을 해온 일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고? 성적이 떨어지거나 정학과 같은 학업문제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When we are looking back, how can we explain the money we blew on dope or games, the stealing we did to buy drugs and alcohol, the lies we kept telling our parents and teachers? How about the school trouble, like failing grades or suspension?

서로의 관계성도 정상적으로 할 수가 없었다
Ou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were unmanageable too


  1. 우리들은 왜 그런 사람과 함께 지냈으며 그런 일을 했었는지를, 파티나 콘서트가 끝난 다음에, 얼마나 자주 의아하게 생각했었던가? 심지어는 별로 마음에도 없는 사람들과 성관계를 가지면서도 우리들은 삶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할 수가 없었다.

    How many times after a party or a concert did we wonder whom we'd been with or what we'd done? Even casual sexual involvement with people we didn't care about couldn't prove to us that our lives were out of control.

  2. 돈을 훔쳐서 마약을 구입했을 때는 친구들이 항상 그 것을 알고 우리들을 부르거나 찾아왔다. 그렇지만 마약이 다 떨어졌을 때는 친구들 역시 찾지 않았다.

    When we had stolen some money and had bought some dope, friends always knew it and would call or come around. But when the dope was gone, so were the friends.

  3. 우리들이 마약을 하고 있었을 동안에 옛날 좋은 친구들은 “이제는 더 이상 너하고 어울리기가 힘들다”는 말들을 하면서 우리 곁을 떠나가 버리기 시작했다. 이는 우리들이 너무나 강렬하게, 아주 미친 듯이, 또는 너무나 예측할 수 없는 행동들을 했었기 때문이다. 가장 친한 친구들을 잃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었지만, 마약은 그 고통을 무디게 만들어 주어서, 속으로 친구 따위는 잃어도 상관없다는 말을 했던 것이다.

    While we were using or doing, our good old friends began to drift away, saying "it is really hard for me to be around you anymore." It is because we were too intense, too crazy, or too unpredictable. Losing best friends hurts, but our drugs dulled the aches and we told ourselves we didn't really care.

회복 1단계는 “우리들은 인정 한다” 이다
Step one says - "We admitted...."


  1. 무엇을 인정한다는 것은 아마 어떤 사람, 사건, 또는 결과로 우리들이 문제에 처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회복 12단계에 참여했던 한 약물중독자는 “나는 내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정직하게 행동하지 못했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야 비로소 회복 1단계를 수락할 수 있었다. 회복 1단계를 하기가 그렇게 어려웠던 것은 약물을 남용했던 문제에 정직하지 못했었기 때문이었으므로, 1단계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정직성이 요구 된다”는 말을 했다.

    This means that someone, some event, some consequence probably pushed us into recognizing that we were in trouble. A person in 12 Steps said "I finally was able to accept the 1St Step when I realized I wasn't being honest with myself or with other people. What makes the First Step so hard is that we're not used to being honest - about our drug use. It takes honesty to look at the First Step."

  2. 이제 우리들도 회복 12단계 프로그램을 밟고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위대한 힘의 손길을 받게 될 것이다. 결국 어떤 방법으로든 우리들 모두는 생활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해서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어, 언젠가는 우리 자신의 자유를 다시 찾게 될 것이다.

    Now that we're in the 12 Steps program, some of us see the hand of our Higher Power in our admission. In whatever way it came about, we finally admitted that our lives were unmanageable and that we needed help. On that day, we began to regain our freedom.

회복 1단계 구축 조언
Tips on building the Step One

  1. 회복 12 단계는 상호 연관이 되어 있으므로, 우리들은 다음 회복단계를 하기 전에 현제 회복 1단계에서 확고한 기반을 다져야만 한다. 그래서 회복 1단계는 모든 회복 단계들 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서, 우리들은 앞으로 할 회복단계들을 다 이행할 수 있도록 확고히 하고, 필요시 마다 다시 회복 1 단계를 참조하면서 전체 회복프로그램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회복 1단계를 광범위하게 아주 성실히 할 필요가 있다.

    12 Steps build on each other. We get a firm foothold on one Step before we go on to the next. And the 1St Step may be the most important of all. We need a good, honest Step One - solid enough to support the Steps to come, wide enough so we can go back to it from time to time to review it and strengthen our program.

  2. 대부분 회복참여자들은 회복 1단계를 여러 차례 한다. 그 이유는 한동안 회복프로그램에 참여한 다음에도 “나의 경우에는 회복 1단계가 단순히 마약이나 게임문제보다도 다른 사항들에도 많이 적용되어, 학업, 직장, 차, 또는 대인관계 등의 다른 일들에서도 내 자신이 무기력한 것을 발견했다”고들 하기 때문이다. 그간 우리들은 약물로 우리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려고 했을 뿐만 아니라, 어리석게도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고 행동하도록 통제할 수 있다고까지 믿었던 것이다.

    Most people reworked Step One several times because they discovered, after being in the Program a while, that "for me, the 1St Step applies to much more than drug or games, I found I was powerless over a lot of other things too - school, jobs, cars, or people." Not only we did try to control our moods with drugs, but we fooled ourselves into believing we could control how other people felt and behaved too.

  3. 우리들이 마약, 인터넷, 또는 알코올에 무기력을 인정해야하는 회복 1단계에서 우리들의 현실(Reality)을 받아들이게 되어, 평온기도문에서와 같이 “내가 어쩔 수 없는 일들”을 통제하려는 미친 짖을 포기하게 하여, 처음으로 “내가 변화할 수 있는 일들”변화하게 만든다.

    The first Step - admitting we are powerless over drugs, internet, or alcohol - is accepting our reality. It is giving up the frantic attempt to control " the things I cannot change," as the Serenity Prayer says, and making the first move toward changing "the thins I can."

2. 회복 2 단계 (The Second Step)


우리는 우리보다 더 "위대한 힘이" 우리의 생각과 생활을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해 주실 수 있다고 믿습니다

Came to believe that a Power greater than ourselves
could restore us to sanity


* 회복 2 단계 Slogan

무기력을 통해 위력을,
포기를 통해 힘을 얻자!


POWER THROUGH POWERLESSNESS,
STRENGTH THROUGH SURRENDER !

 

우리들의 문제를 생각해보자!
Let's think of our problem!

  1. 자, 우리들이 지나가는 길 한가운데에, 2 톤이 넘는 큰 둥근 바위가 길을 가로막고 있어서 어찌할 수 없는 상황을 상상해보자! 이 바위 돌은 당신이 운전하고 가는 좁은 길로 굴러 내려와서 차를 가로막고 있다. 당신이 수차 그 바위를 치워 보려고 애써본 다음에, 자신은 너무 작고 바위는 크다는 것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

    Now picture that problem in the form of a 2 ton boulder! A boulder that's rolled in front of your car as you're driving along a narrow road. After struggling to get rid of that boulder, you're beginning to realize that boulder is big. I am too small.

  2. 그 다음에 당신이 걱정하고 있는 큰 문제에 대해 당신 자신을 시험해보면, 그 문제는 당신에게 너무나 커서 바위돌과 같이 한사람의 힘으로 움직이기에는 엄청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어, 다른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At second, you've tested yourself against your problem and found it too big for you - enormous, overwhelming, clearly not a one-man job. So you acknowledge your need for help.

믿습니다의 3 가지 주요 포인트
Came to believe - 3 points

 

  1. 위대한 힘을 “지금 당장 믿으라”고 하거나, 또는 “열심히 믿으라”는 말이 아니다. 인내심과 시간을 갖고 회복 2 단계를 점진적으로 인식하라는 함축적인 내용이다. “믿는다”는 것은 아직은 내가 그 내용을 다 이해하거나 동의하지 못해도 진지하게 시도할 마음만 있으면 된다는 의미이다.

    It doesn't say "instantly believed," or "enthusiastically believed." The phrase implies patience, time, and a gradually growing awareness. "To come to believe" means that I am willing to try - sincerely - even before I understand or even agree.

  2. 회복 12단계를 하는 대부분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Most 12 Step people will find the followings....

    나는 정기적으로 회복모임에 나왔다
    I came to - regularly the recovery meetings

    나는 현실을 의식하게 되었다
    I came to - regain consciousness of reality

    나는 단지 회복모임에 참여했고 현실을 의식하였을 뿐인데, 그 후부터
    “우리자신보다 더 위대한 힘이 계시다”
    는 것을 믿을 수 있었다

    I came to believe - After I simply came to meetings, after I regained consciousness of reality, I was able to believe "A Power greater than ourselves."

  3. 예를 들어서, 내가 참석하는 회복그룹과 나 자신은 모두 함께 합쳐진 위대한 힘이고, 회복참여자 한사람으로는 도저히 가능하지 않은 지혜가 있게 되어, 12단계 프로그램은 우리들이 부족한 점을 밝힐수록 더욱 우리들을 강하게 만들어 준다.

    For example, my recovery group and I have a greater power pool of strength and wisdom among us than any one member could possibly have. 12 Step program reveals its strength as we reveal our weakness.

위대한 힘 - 영적 진리 - 전기를 생각해보자!
Higher Power - a spiritual truth - think of electricity!

  1. 우리들이 위대한 힘에 관해서 말할 때, 12단계 회복 프로그램은 하나님에 대한 전통적인 종교적 개념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영적진리를 인식할 것을 요청한다.

    As we talk about Higher Power,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e Program does not require us to accept a traditional, religious concept of God. We are asked only to recognize a spiritual truth.

  2. 전기의 경우를 생각해볼 때에, 대부분 사람들은 전기의 실체가 무엇이고 어떻게 전기가 작동되는 지를 설명 할 수는 없지만, 전기가 어둠을 밝게 해 준다는 점은 알 수 있고, 전등 코드를 곧으면 어디에서인가 불을 밝히는 힘이 나온다는 것은 알 수 있다. 회복 2단계가 요구하는 바도 바로 이와 같은 것이 전부이므로, 처음부터 반듯이 하나님에 대한 모든 것을 다 이해하려고 할 필요는 없으며, 다만 위대한 힘은 계시고 우리들과 함께 하여 주실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기만 하면 된다. 그래서 우리들이 위대한 힘과 접속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각 회복참여자들, 회복그룹, 회복프로그램 등은 위대한 힘께 다가가게 하는 “전달체제”로 생각할 수 있다.

    Think of electricity Most people couldn't begin to explain what electricity is or how it works. But they know the difference between light and dark well enough, and they know that some kind of power comes from somewhere when they plug in their lamps. That's all the 2nd Step requires. It isn't necessary to understand God. We need only to accept that Power is there and that it's available to us. Individual people, the groups, the programs we can use to tap the Higher Power might be thought of "delivery systems."

  3. 다시 강조하지만, 회복 2 단계가 요청하는 바는 무엇인가 우리보다 위대한 힘은 있고, 그 위대한 힘은 마약, 알코올, 인터넷, 도박보다는 더 위대하다는 점이다.

    Again, all Steps 2 asks is that we be willing to believe that there is something greater than we are, and that Power is greater than drugs, alcohol, internet, and gambling.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해 주실 수 있다....
Could restore us to sanity ........

  1. 그간 우리들은 하고 싶지도 않은 일들을 반복적으로 해오면서, 스스로 자신과 가족들에게 상처를 주는 결과를 뻔히 알면서도 중독행위를 중단하지 못했으므로, 이는 온정신이 아닌 것이다. 어떤 형태로든 자기 파멸행위를 하는 사람은 제 정신이 아니다. 보다 나은 삶을 위해서 위대한 힘께 도움을 구합시다!

    We have repeatedly done things we don't want to intend to do. Even though I have hurt myself, and often families, we haven't stopped. This is not sane. Self-destruction in any form is not sane. Self-destruction in any form is not sane. Let's reach out Higher Power for something better!

회복 2 단계의 2가지 요약 - 우리보다 더 위대한 힘과 온정신 상실
Two summery introductions in Step 2- Power greater than ourselves
and lost our sanity

  1. 회복 2 단계는 이행하기가 힘든 2 가지 아이디어를 안내해주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우리보다 더 위대한 힘이 계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들이 제정신이 아니라는 것이다.

    Step 2 introduce 2 heavy ideas. One is that there is a Power greater than we are. The other is that we had lost our sanity.

  2. 첫 번 안내는 그간 마약, 인터넷 게임, 또는 채팅으로 하여금 우리들의 삶을 지배하도록 만들어 왔기 때문에, 오직 중독습관 추구와 자신만 알고 살아온 사람들에게는 엄청난 생각이다.

    The first is a mind-blowing thought for people who had lived only for themselves and their habits. We had given power to drugs, internet game, or chatting to rule our lives.

  3. 우리들이 신봉하던 신은 알코올, 마약, 인터넷 등으로, 그간 그들과 깊은 관계를 유지하느냐고 너무나 많은 시간과 돈을 소비하여 왔고, 이제 막상 그 사탄들을 멀리하려고 하자 힘든 문제들이 실제로 생겨나고 있다. 약물이나 중독행위를 하지 않으면 불편하거나 화가 치밀고 우울해 져서, 이런 불안한 감정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다시 술이나 마약을 하거나 게임을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도 잠시뿐이어서, 술이나 약물을 계속하고 게임 매치를 하고 또 하였던 것이다.

    Our gods were alcohol, drugs, and internet which we spent plenty of time and energy with money - making sure that w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m. Now separation from these gods caused us real trouble. Without them we were uneasy, angry, and depressed. The only relief from these uncomfortable feelings came with our next drinking, drugging, gaming. That relief was all too temporary and we were living from drink to drink, from joint to joint game.

  4. 처음에는 회복 2 단계를 하기가 어려운 것 같지만, 계속 약물이나 중독행위를 멀리하며 회복에 참여하다보면 회복 2단계를 더 이해하게 되어, 우리가 믿는 위대한 힘께서 우리자신과 회복프로그램을 보다 분명하게 살펴보도록 도와주셔서 회복과정을 잘 이행 할 수 있게 된다.

    Step 2 is a tough one to deal with at first. But as we add days and months to our freedom from chemicals or other addictive behaviors, we seem to gain understanding too. The Power that we "came to believe in" is helping us see ourselves and the Program more clearly and guide our process of recovery.

2 단계 회복 조언
Tips on building the Step Two

  1. “나는 잘 처리할 수 있다!”는 위력적인 환상을 포기함으로서, 회복 1 단계의 약물과 중독행위에 무기력하다는 내용을 인정할 수 있고, 회복 2 단계 내용인 우리 자신보다 더 위대한 힘이 계시다는 아이디어에 마음을 열게 된다.

    By giving up our delusions of being all powerful - the "I can handle it!" fantasy - and admitting our powerlessness over drugs and addictive behaviors(Step 1), we become open to the idea of a Power greater than ourselves(Step 2)

  2. “인정 한다” “믿게 되었다”는 것은 우리자신에게도 어떤 반사적인 의미가 있음을 암시하며, 행복한 회복을 하기 위해서 이들 2 단계를 급히 경주하는 것 같이 해서는 않된다! 12 단계 회복프로그램을 약식으로 해서는 안 되며, 수개월 또는 수년동안 회복프로그램을 해온 우리들은 회복 1-2 단계를 마치기 위해서는 몇 차례 더 다시 반복하면서, 새로운 통찰력을 더 갖아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는 회복에 어떤 속전속결 전략이 있는 것이 아니라, 회복프로그램에 계속 참여하면서 살아가야하는 것임을 암시한다.

    "Admitted" and "came to believe" imply some reflection on our part. These are not Steps that we race up two at time in our hurry to get to a happy recovery! Once over lightly doesn't do it for the 12 Step program. Those of us who have been in the Program for months or ever years know that we go back again and again to go over the Steps, adding new insights as we do. This is no get-fixed-quick strategy for recovery, but an ongoing, solid Program for live.

3. 회복 3 단계 (The Third Step)

Coming soon ~



"본 문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사, 출판 또는 다른 홈페이지에 사용을 금지 합니다"
AA, Young winners' way, The winner's way 인용 참조

-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




19763 East Valley Blvd. Walnut, CA 91789 U.S.A. Tel. (909) 595-1114
한인중독증 선교센터
[ 관리전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