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_14 / total_439847
이름
이메일
홈페이지
글제목
글내용
<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굴림'; TEXT-ALIGN: justify">▶ <FONT size=2><FONT color=#0000ff>상담사연 - 해외거주자로서....</FONT><STRONG> </STRONG></FONT>◀ <BR><BR><FONT size=2>해외에 거주하는 교민들은 특히 더 도박 문제에 대해서 숨기고 싶어합니다.<BR><BR>그건 해외어디든 교민들의 수가 뻔하기 때문에 누구집의 누가 이렇더라 하고 소문이<BR>싶게 나기 때문이예요. <BR><BR>저도 도박병 환자인 남편이 있습니다. <BR><BR>그 사람의 병을 안건 신혼초였습니다.. <BR>그리고 지금 단도박 모임에 나오기까지 많은 일들을 겪었고 <BR>지금에야 조금더 일찍 올걸하면서 후회도 하죠. <BR><BR>하지만, 단도박 모임에 문을 두드리기까지 결정하는것이 참 힘들었어요.<BR><BR>시부모님도 처음에는 크게 반대를 하셨죠.. <BR>지금은 적극적으로 지원해주시지만요.<BR><BR>가장 큰 이유는 위에서도 말했듯이 주위의 소문과 시선들 때문이예요.<BR>아이들도 여기서 자라야하는데 도박병 환자의 아이들이란 소문.. <BR><BR>그런것들이 지금에 와서야 헛된 생각인걸 깨달았지만, <BR>모임에 나오기전에는<BR>괭장히 창피하고 정말 드러내고 싶지않은, <BR>평생을 숨기고 싶은 비밀처럼 생각되었습니다.<BR><BR>모임에 나오고 배우다 보니<BR>지금에야 남이 알어도 전혀 부끄럽지 않습니다. <BR>왜냐하면, <BR>제 남편은 예전의 중독자가 안닌 지금은 병을 앓고 있는 환자로서 치유중에 있으니까요.<BR><BR>암에 걸려 고통받는 환자보단 그래도 치유가 가능한 병을 앓고 있으니까 <BR>정말 다행이죠...<BR><BR>그래도 이젠 희망이 있어서 얼마나 감사한줄 몰라요...</FONT><BR></SPAN><SPAN style="LINE-HEIGHT: 160%"><BR><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굴림'; TEXT-ALIGN: justify">▶ <FONT color=#0000ff>필자의 답변 - <FONT size=2>가족들은 회복 전반에 관심을 기울여야... </FONT></FONT>◀ <BR><BR>안녕하세요~<BR>말씀에 어느 정도는 동감합니다.<BR><BR>저는 LA 인근에서 중독증 회복 사역을 하고 있는데요...<BR>한국에서는 단도박에 나가지 않다가...<BR>이곳에 와서 회복 모임에 나오는 경우도 보았고...<BR>미국 생활을 오래하다 보면.... <BR>미국사람들이 한인들보다 더 병원을 잘 찾는 경향과 같이...<BR>미국 문화에 동화된 해외교포들이 회복으로 나오는 비율은 한국에서 보다 덜하지는 않을 것으로 봅니다.<BR><BR>이런 비교는....<BR>미주 총 한인 인구와 미국 도박회복기관에 참여하는 한인 숫자와.....<BR>한국 총 인구와 한국 도박 회복기관에 참여하는 한인 숫자를 비교해 보면....<BR>좀더 자세해 질 것으로 봅니다. <BR><BR>회복은 발전적인 과정(Developmental process) 이기 때문에도...<BR>회복 중에 여러 뜻하지 않은 과정들이 펼쳐지게 됩니다.<BR><BR>회복모임에 동참한다고 해서..... <BR>기대하고 생각하는 것과 같이 다 회복이 되는 것은 아닌 경우를 많이 봅니다.<BR><BR>그래서 초기회복 중에 재발은 가족들에게 엄청난 좌절과 충격을 주기도 합니다.<BR><BR>앞으로.....<BR>초기 회복에 마지못해서 나서는 도박환자들의 심정을 헤아리고....<BR>도박 빚에 대한 효과적인 보상계획 수립으로 스트레스를 덜고.... <BR>시대 변화에 따른 회복방법들을 많이 개발해서 활용하고....<BR>직업알선 및 취미개발 등등.....<BR><BR>여러 분야에 눈을 돌려야 할 것으로 봅니다.<BR><BR>특히 가족들의 회복 프로그램에는...... <BR>법률적인 문제, 재정관리법, 도박 환자와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워크숍 등등을... <BR>심도 있게 고려해 봐야 할 것으로 봅니다.<BR><BR>예를 들어서....<BR>해외교포 도박환자 가족들에게는 영주권 취득, 기본생활비 지원, 자녀 건강보험 등에 관한 법률자문, 또는 사회봉사단체의 도움이 필요하고......<BR><BR>과거에는 도박 빚은 도박환자가 스스로 다 갚아가는 과정을 통해서 회복노력을 촉구하게 하였으나...<BR>오늘날에는 일반 사람들도 파산 제도를 활용하여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음으로...<BR>도박 빚 정리에 대한 재고도 필요할 것으로 봅니다.<BR><BR>최소한 회복모임에 참여하는 도박환자들의 빚에 대해서는 정부사법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 확인 선별하여 원금, 또는 저금리로 장기간 지불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회복참여를 의무화하면....<BR>도박 가정의 회복도 도모하며 사회적 금융질서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BR><BR>이러한 모든 일들을 위해서는.....<BR>우선, 도박문제가 있는 가족들이 먼저 회복하며, <BR>자꾸 관계기관에 문제점들을 호소해서...<BR>권리를 찾아가는 민주시민 의식을 발휘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BR><BR>가족들이 어떻게 하면 회복모임으로 환자를 인도하느냐 에만 초점을 두는 경향이지만....<BR>실은 회복이 더 잘될 수 있고 회복을 실생활에 연결 적용시킬 수 있는 사항들에도 관심을 기울일 때라고 봅니다.<BR><BR>-이해왕 선교사-<BR>(답변일자 - 2003년 7월)</SPAN></SPAN>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