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중독증회복 선교센터
가족 회복교실
Sex 중독회복
인터넷 중독 회복
니코틴 중독 회복
다이어트 음식중독
  회복
쇼핑/부채중독 회복
도벽(Shoplifting)
  회복
우울증 회복
장애/만성병 회복
12단계 회복프로그램
바이블 12단계
  회복원리
바이블 회복/적용
청소년 12단계
  회복프로
이혼 12단계
  회복프로그램
음성/영상 12단계
  회복
정서/심리 회복
  프로그램
회복참고자료
신문잡지 회복기사
회복자의 편지란
중독증 회복 방송국
영상 회복방송
중독/의존증 회복
  모임교재
베데스다 연못
  회복목회
 

today_30 / total_442914



이해왕선교사 { homepage } 2005-06-27 오전 3:19:31

중독자 회복간섭 시리즈 7 - 예행연습 목적과 후속조치 사항!


회복간섭 전문가가 각 참여자들이 말할 자료들을 검토해서 수정해준 다음에는 곧바로 예행연습을 실시하게 된다.

예행연습의 2 가지 목적은~

* 첫째 - 회복간섭에 참여하는 가족과 친구들의 힘을 함께 규합할 수 있도록 돕고,
* 둘째 - 참여자들에게 회복간섭 도중에 중독자가 어떤 반응을 보이게 될지를 사전 숙지 및 대비시켜서, 회복간섭 성공의 가능성과 자신감을 부여하려는데 있다.

▶ 회복간섭 전문가의 점검 및 지원사항

회복간섭 전문가는 예행연습을 통해서 ~

회복간섭 진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들을 지켜보며, 참석자 중에 누가 분노심을 표출하며, 즉흥적으로 말을 하는 지를 관찰 하며, 참석자들의 두려움 정도를 점검해서 실제 회복간섭 시에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필요한 시정조치를 하게 된다.

비록 예행연습이지만,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철저히 고려해야 한다.

* 좌석배정 안내

회복간섭에서 참석자들의 좌석배정은 의외로 중요하다. 회복간섭 전문가는 중독자 옆에 누가 앉아야하고, 참석자들이 어떤 순서로 앉고, 누구부터 차례로 말을 해야 할지 등을 심사숙고해서 결정해야 한다.

* 중독자의 좌석과 양옆 좌석배정에 신중을 기해야한다

예행연습을 실제 상황과 같이 하기 위해서는 중독자 좌석에 중독자역할을 대신할 사람을 앉히고, 그 양옆에는 중독자의 직계 가족이 아닌, 친구나 이웃, 또는 중독자가 편안이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을 앉히는 것이 좋다.

* 분노심 대처방법

만약 참석자들 중에 분노심을 나타내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에게는 준비작업이 더 필요함을 의미한다. 화를 내는 사람은 중독자로부터 받은 상처와 두려움 때문일 수도 있으므로, 그 상처와 두려움을 해소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예행연습 후속조치 사항

예행연습을 마친 다음에는 각 참석자들에게 회복간섭 과정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한 것 같은 가를 질문하며 서로 의견을 나누게 하면서 다음 사항들을 더 알아 봐야 한다.

* 만약 예행연습이 실제 회복간섭이었다면 중독자가 회복치료를 수락했을까?

10% __ 50% __ 90% __

* 참석자들은 실제 회복간섭이 잘 될 것으로 낙관하는가?

* 처음에 가망이 없다고 생각했던 참석자들이 여행연습을 마친 다음에 힘과 용기를 갖게 되었는가?

* 실제 회복간섭에서 반듯이 중독자를 회복으로 안내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겼는가?

▶ 실제 회복간섭 실시 장소 선택

예행연습으로 참석자 전원이 확신을 갖게 된 다음부터는,

* 어느 장소에서 회복간섭을 실시해야 하고,
* 어떻게 하면 중독자를 회복간섭 장소에 데려올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된다.

장소를 선택할 때 주의 할 것은 중독자의 집이나 사무실과 같은 홈베이스는 피해야 한다.

가능한 회복간섭 전문가 사무실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간혹 가족들은 회복간섭을 실시해야 할 정도의 방어적인 중독자를 속여서~
바로 중독자 회복모임으로 데려가거나,
친척이나 친구들이 함께 중독자를 불시에 방문하게 하는 깜짝쇼를 벌이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유는 속은 것에 대한 방어메커니즘이 생겨서 중독자로 하여금 모든 것을 회피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합리화로 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 가족의 회복참여를 굳이 숨길필요는 없다

회복간섭 전문가를 만나서 필요한 정보를 구한 가족은 다른 가족들에게 전문상담자를 만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다닐 것이라는 뜻을 전하고 함께 참여해 보지 않겠느냐는 말을 할 수 있다. 단 중독자가 약물 사용이나 중독행위를 하지 않고 정신이 온전할 때에 말을 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말을 하면 가정폭력을 당하게 되거나, 그런 말로 중독자가 집을 뛰쳐나갈 위험이 있을 때에는 말을 하지 않는 편이 좋다.

치료사를 만나거나 회복모임에 참석한다고 말하는 것은 언쟁이나 싸울 사항이 아니며, 단지 사실대로 말을 하는 것뿐이다.

▶ 전문가를 만나러 다니는 것을 알릴 때의 긍정적인 점과 중독자의 변화

가족이 전문가로부터 회복도움을 받고 있다는 말했을 때에, 중독자가 방어적이면, 다투거나 더 이상 토론도 하지 말며, 단지 통보(Inform) 하는 식으로만 해야 한다.

그러나 중독자에게 알릴 때에 다음 2 가지 긍정적인 측면을 기대할 수 있다.

* 첫째 - 회복도움을 받는 가족은 더 이상 중독자 몰래 전문가를 만나러 다니지 않아도 된다.
* 둘째 - 중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중독문제에 대해서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 한다.

중독자는 속으로 자신의 중독증에 대해 관심을 갖거나 앞으로 언젠가는 회복을 시작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 중독자의 일시적인 중독행위 자제모습을 믿는 것은 금물

가족이 회복간섭 전문가를 만나러 다닌다는 말을 들은 중독자는 가족의 회복간섭 노력을 중단시키기 위해서, 종종 자신의 중독행위 패턴이나 기타 행동에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가족들은 이러한 일시적인 변화에 현혹되어 상황이 나아졌다고 믿어서는 절대 안 된다.

가족들은 중독자가 회복을 시작하지 않으면, 중독증은 자꾸만 더 악화되고 미리 예측 가능한 처참한 결과로 치닫는 “진행성 질병(Progressive disease)" 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혼자서 하는 중단은 일시적일 뿐이며, 언젠가 중독증은 다시 표출되어서, 중독증은 자꾸만 "나선형 소용돌이(Spiral downward)"로 점점 더 심해지게 마련이다.

처음부터 중독자에게 가족이 참석하는 모임에 참여하라고 하거나 당신의 중독문제 때문 이라는 말을 할 필요는 없지만, 최소한 중독자에게 치료자를 만나러 다니고 있다는 이야기는 해야 한다.

▶ 회복간섭 참석자들이 유의해야 할 사항들

참석자들이 예행연습을 통해서 회복간섭 성공을 확신하고, 중독자를 회복간섭 장소로 데리고 올 사람이 그렇게 할 수 있는 준비가 되면, 실제 회복간섭을 실시할 스케줄을 잡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고려해보아도, 회복간섭 준비에 참여하는 가족이 나중에 중독자를 회복간섭 장소로 안내할 수 있는 최 적임자가 아닌 것 같으면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함은 물론이다.

오전 9 시로 시간이 정해 졌으면 중독자를 데리고 올 사람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은 8시 30분까지 회복간섭 장소에 도착해서, 예행연습 이후에 생각했던 관심사항들을 더 알아보며 중독자를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

회복간섭 전문가는 참석자들에게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라는 안심을 시켜주고, 중독자가 도착할 때에 참석자들의 차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다른 곳에 주차시키는 세심한 주의와 당부도 해야 한다.

-이해왕 선교사-


 

다음글 :

여성 중독자들에 부족한 회복지원환경과 그 대책

이전글 :

인간의 뇌와 중독증의 금단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