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
가족교실 회복방송 듣기로 가기
▶ 마약
회복 간증방송 듣기로 가기
오늘날 미국과 전세계에는 알코올과 마약 남용이 가장 심각한
"사회 문제"와 가장 큰 "건강문제"로
대두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알코올, 마리화나, 코카인, 및 기타 마약들을 상습적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육체적 심리적 건강은 물론 국가 전체의 사회 및 경제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미국에는 약 1,200 만명 이상이 마약을 남용하고 있으며 매년
25,000 여건의 청소년 인명 피해 교통사고 중 약 40%가 음주운전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매년 5,500여명의
살인 피해자의 30%에서 약물이 검출되고 있다고 한다. 알코올과 도박으로 중독 되기까지는 3년 이상이 걸리지만,
마약은 "단몇 개월" 안에도
중독이 될 수 있는 무서운 병이다.
중독증에는 마약과 알코올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고 각자의 중독
동기와 시작은 달라도 중독증의 경제적, 정서적, 심리적, 및 영적
그 마지막 결과는 거의 동일하다!
마약중독자는 자신의 문제 원인을 마약행위로 보지 않고 통상 다른
것에 둔다. 마약중독이 자신과 가족들에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약남용에 대해서 더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마약 문제의 증상, 영향, 및 결과 등에 대해서 더 알면 알수록 두려움은
그만큼 적어져서 회복 용기를 갖기 쉽다. 마약 문제를
더 이해하는 것은 사실상 회복의 첫걸음이다.
|
1. 마약의 기원 (The Origin
of Drugs)
|
고대부터 인간이 자연 식물로부터 채취하여 사용하여온 의약품들이
현대에 와서는 독약, 또는 중독 남용물체들로
사용되고 있다.
고통 완화는 인간이면 누구나 추구하는 목표이다. 아편,
몰핀, 헤로인 등은 모두 감정변화를 일으킨다. 3000 여년 전 "테벳의
치료학적 파피루스 사본 (Therapeutic Papyrus of Thebes)" 이
고통치료를 위해서 아편 (Opium) 상용 법을 설명한 가장 최초로 쓰여진 기록 중에 하나로
알려 졌다.
모든 약품은 그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방법으로
"중추신경체계"에
영향을 준다.
* 알코올과 정신안정제 같은 "진정제(Sedatives)"
-
* 모르핀과 헤로인과 같은
"마취제(Opioids)"
* 마리화나, LSD, PCP, STP등과 같은
"환각제(Hallucinogens)"
* 암페타민과 코카인 같은
"흥분제(Stimulants)" 등
대략 4 가지로 구분된다.
일부 약품들은 평상시에 할 수 없었던 감정이나 일들을
하게 하는 성분을 지니고 있다. 특히 감정과 개성을 변화시켜주는 약품 종류들은 잘못 사용하거나
남용되기가쉬워서 마약으로 분류하여 개인 소지나 그 사용을 불법으로 하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 "실제세계(Real
World)"에서 일어나는 문제들로부터
회피하려는 "도피창구(Escape
Route)"로 마약을 사용한다.
자신의 현실과 삶이 어려워 질 때 인위적인 수단(Artificial Means)으로 자신의 문제들을
대처하려고 한다. 현실 도피로 시작된 마약 의존은 대부분 "중독(Addiction)"으로
치닫게되고 육체적 및 정신적 상처를 주게 된다.
마약은 사용자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영향을 주며
사회는 중독물체가 가용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준다. 이렇게 마약남용은 개인, 마약, 및 사회간에 상호
작용한다.
|
|
2. 마약 중독 관련 용어
|
마약의존과 치료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중독에 관련된 용어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중독증 (Addiction)
마약 중독증은 육체적 및 심리적 위험을 초래하는 마약
물체의 강압적 사용과 마약의 해로운 점을 알고도 마약 물체를 계속 사용하는 "만성적
병(Chronic Disorder)" 이다.
폐렴과 같은 육체적인 병들이 완치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중독증은 만성적 요인 때문에 완전히 치료될 수 없다!
일단 중독증으로 고통을 당했던 사람은 언제고 다시 재발될지
모른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수년간 중독증이 없다가도 갑자기
재발되기도 한다. 마약의 위험한 결과를 알면서도
계속 마약을 사용한다는 사실은 중독증이 얼마나 강압적인 가를 반영해 준다. 마약 중독자는 마약사용
욕구가 너무 강해져서 문제를 부정 하게되며 "마약행위가
생활의 중심" 이 된다. 그래서
거부현상(Denial)은 마약문제를 극복하는데 주요 장애요인이 된다. 중독증 결과로는 육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문제가 있다.
- 육체적 결과로는
- 알코올이 간세포기능을 상실하게 하고 간을 통과하는 혈액유통을 원활하지 못하게 한다. 마약
흡연 또는 흡입은 폐암 또는 폐기종을 유발한다
- 심리적 결과로는
- 우울증, 만성적 흥분제 사용(Amphetamine, PCP 등), 고립감,부정적 관념,
금단증상으로 인한 각종 심리현상 등이 있다
- 사회적 문제는
- 부도수표, 직장 상실, 경찰력 소비, 공적자금 낭비 등이다. 중독증 은 중독자의 "의지력
만(Willpower Alone)"으로는 도저히 통제될 수 없는 병이다.
▶
금단증상 (Withdrawal)
치료 과정에서 마약 사용을 완전히 중단 될 때까지 마약을
점차 또는 급격히 줄이게 된다. 이때 체내 마약 성분 부족에서 오는 육체적 심리적 특징들이 일어나는데
이를 "금단 씬드롬(Withdrawal Syndrome)" 이라고도 한다.
이런 증상은 처음 몇 일간은 아주 극심하며 그 후 수개월 동안 경미한 증상을 보인다.
▶
해독과정 (Detoxification)
체내에서 마약성분을 신진대사(Metabolism)시키거나
배출(Excretion) 시키는 작업으로 약물 중독증 치료에서 "필요한 첫 단계"
이다. 해독 작업은 신장(Kidneys), 폐(Lungs), 장(Intestines) 등을 통해서
한다. 코케인 이나 알코올은 몇 시간 내에 신진대사 되지만 발름 정신 안정제(Valium),
메타돈 진통제(Methadone) 등과 같은 장시간 효력이 지속되는 마약은 몇 일에 걸쳐서 신진대사
된다. 배출작업도 몇 시간에서 여러 주(Many Weeks)가 걸릴 수 있다.
▶
온전작업 (Sobriety)
온전함은 단지 금주나 마약사용 중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회복자의 "생활 형태와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것을 말한다. 중독증의
복합성 때문에 완전히 온전해지기 위해서는 알코올 회복 모임, 마약회복모임, 12단계 회복모임
등에서 "장기적인 회복치료" 를 받아야 가능하다. 온전과정 없는 금주나 마약
사용 중단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재발되기 쉽다. 태도나 행위 면에서 실제로 변화되지 못한 체
알코올이나 마약을 중단한 사람들을 "Dry Drunk" 또는 "Dry
High" 라고 부른다.
▶
재발 (Relapse)
상당기간동안 마약을 사용하지 않다가 마약행위를 다시
하는 것을 말한다. 중독증의 만성적 특성 때문에 재발은 자주 발생한다. 재발된 중독자는 죄책감을
느끼고 다시 시작한 마약사용을 숨기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오랫동안 재발이 발견되지 않으면 환자
치료는 더욱 어려워진다. 일단 재발이 되었으면 가능한 빨리 치료를 다시 시작해서 그 동안 회복된
사항들이 없어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
|
3. 마약 도취 형태 (Types
of Drug Intoxication)
|
긴급한 마약 도취 치료는 반듯이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성분이 정확하지 않은 마약(Street Drugs)을 했을 지도
모르기 때문에 환각상태를 구별할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해독해야만 한다.
▶
아편 마취제 도취 (Opiate Intoxication)
아편 마취제는 양귀비(Poppy plant)에서 축출된
우유 같은 주스로 만든 약으로 아편(Opium), 모르핀(Morphine), 코데인(Codeine),
및 파생 물인 헤로인(Heroin) 등이 있다. 이 중독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약이 개발되었다고
한다.
▶
진정 및 최면
도취 (Sedative-Hypnotic Intoxication)
퀘일루드(Quaalude), 발름(Valium), 세코날(Seconal),
알코올 등이 진정 및 최면으로 사용되는 물체다. 비교적 알코올은 빨리 흡수되지만 다른 물체들은
체내에서 6시간 이상 작용한다. 심한 경우 뇌의 호홉센터를 마비시킬 수 있으므로 즉시 의료기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흥분제 도취 (Stimulant
Intoxication)
암페타민(Amphetamine), 코케인(Cocaine)
같은 흥분제는 과도한 활동을 야기하여 심한 경우 혼수상태(Coma)가 될 수 있다. 또 흥분제에
중독된 사람은 과대망상증(Paranoia)을 보이거나 정신이상 행위(Psychotic behavior)를
할 수 있다.
▶
환각제 도취 (Hallucinogenic
Intoxication)
엘에스디(LSD), 메스칼린(Mescaline), 페이오티(Peyote),
사일로 사이빈(Psilocybin) 등은 환각상태나 현실에 맞지 않는 감각을 느끼게 해준다.
놀라움, 어리둥절, 공포 등을 경험하며 심할 경우 졸도(Seizures) 할 수도 있다.
경미한 환각증상을 보이는 사람에게는 "대화
진정(Talk-down)" 방법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먼저 중독자를 주위에 흥분을
자극하지 않을 조용한 장소로 옮기고 누군가 조용한 어조로 환자와 말을 계속하게 해서 환자의 불안을
축소시켜 주는 것이다. 이런 대화 경험이 있는 사람이 하면 더 효과적이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환자 체내의 마약기운이 감소되어 환자는 덜 괴로워하게 된다. 그러나 정도가 심하면 곧바로
전문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
4. 마약 남용을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증상 (Signs that reveal drug abuse)
|
가족들은 육체적. 심리적, 사회적 및 행위적 증상 등으로
마약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마약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다를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증상들은 대략 다음과 같다. 가족은 가능한 환자의 입장에서 자문 자답하면 도움이 된다.
▶
육체적 증상 (Physical Signs)
- 의료적으로 문제가 더 심각한가?
- 체중이 감소되었나?
- 상부 호흡기관의 염증, 감기, 콧물, 눈 염증
또는 눈충혈 등이 자주 생기나?
- 더 더욱 도취감을 추구하기 위해서 마약을 더 많이
사용하는가?
마약 사용자는 장기간 몸을 돌보지 못해서 건강이 악화된다.
▶
심리적 증상 (Psychological
Signs)
- 마약에 몰두하는가?
- 마약 중단 노력들이 거듭 실패되는가?
- 자신에 대한 감정이 점점 더 악화되어 가는가?
- 흥분, 위안, 또는 정상감정을 되찾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마약을 사용하는가?
- 점점 더 변덕스럽고, 성급하고, 갑자기 성을 내는
것 같은가?
심리적 문제는 감지하기가 어려워서 추측으로만 가능할
뿐이다. 통상 마약 사용자들은 마약을 구하는 일에 열중하게 되고 마약 중단에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가족들은 그들의 행동을 잘 관찰하면 알 수 있다.
▶
사회적 증상 (Social Signs)
- 가족들이 모르는 새로운 친구들이 있는가?
- 마약이 없는 사교모임에서는 불편해 하는 것 같은가?
- 가족 행사나 가족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려고 하는가?
- 수입에 맞지 않는 생활양식을 하는가?
마약 남용자는 마약을 구하는 일에 많은 돈을 지출해야
하기 때문에 가족의 생계가 위협받는다. 마약행위가 더 진행되면 마약을 파는 일에 관여하거나 자신의
중독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불법적인 일들도 자행” 하게 된다.
▶
행위적 증상 (Behavioral
Signs)
- 학교나 직장을 자주 빠지는가?
- 점점 가족을 돌보지 않는 듯한 반응을 보이는가?
- 마약을 사용한 것을 부정, 극소화, 또는 숨기는가?
한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일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고,
식욕이 없고, 사고를 잘 일으키고, 성적으로 관심이 없고, 또는 개인적으로 청결하지 못한 반응
등을 보인다.
▶
가정에서 볼 수 있는 자녀들의 증상
- 부모, 자매, 가정 규칙들에 대한 태도 변화
- 가사 일들을 멀리함
- 자기 방에서 혼자 오래 지냄
- 무책임한 행동을 남에게 비난
- 거짓말
- 불규칙한 식사 습관
- 불규칙한 수면 습관
- 폭언
- 육체적 난폭 또는 폭력
- 반항적
- 비밀이 많음
- 학교 생활 및 성적 부진
자녀들은 육체적, 행동적, 및 심리적 증상 이외에 어른들과는
좀 다른 증상들을 보일 수 있다.
|
|
5. 마약과 에이즈 감염 (Aids
Infection)
|
▶ 감염 경로
에이즈는 체내의 면역체제를 망가트리는 비정상적인 바이러스(Virus)에
의해서 발생되는 "믿을 수 없는
질병(Treacherous Disease)" 이다.
에이즈는 발병 후 5년 이내에 사망할 수도 있는 치명적인 병이다. 에이즈 95%가 동성연애자(Homosexual),
정맥 마약 사용자(Intravenous Drug Abusers), 혈우병 환자(Hemophiliacs),
또는 난잡한 성관계자 등에서 생긴다. 이중 17%가 정맥 마약 사용자이고 8%가 동성연애자에게서
나타난다고 한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주로 체액(Body Fluids)을
통하여 감염된다. 에이즈는 주로 난잡한 성관계와 이미 감염된 사람이 사용한 주사바늘의 재사용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마약사용자와 그 가족들에게는 감염 위험이 높다. 감염은 주로 혈액 접촉(Blood
to Blood Contact)이나 정액(Semen)을 통해서 전염되나 타액(Saliva),
땀(Sweat), 눈물(Tears) 등에서도 바이러스가 발견된다.
▶
에이즈 바이러스와 발병
에이즈 바이러스를 보균하였다고 해서 모두 바로 발병되는
것은 아니다. 발병되기까지는 몇 개월에서 몇 년이 걸리며 보균자의 약 5%가 매년 에이즈 병으로
발병된다고 한다.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서 감염자의 육체는 항체(Antibodies)를
생산한다. 이 항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혈액검사를 한다. 항체혈액 검사는 에이즈 발병 테스트가
아니고 에이즈를 발병할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기 위한 것이다.
감염되었다고 모두 발병되는 것이 아닌데도 검사 결과가 알려지면 보험 가입이나 직장을 구하는데
차별될 수 있다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마약을 남용하는 과정에서 에이즈 감염위험이 많은 행위들을
한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 임신, 및 다른 가족들의 건강을 위해서 혈액검사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
에이즈 증상
에이즈 초기증상은 대개 감기나 복부독감(Stomach
Flu) 증상과 비슷해서 환자 스스로는 진단할 수 없다. 이러한 증상이 계속되거나 반복되면 "면역체제"가
손상된 것임으로 검진을 받아야 한다. 일반적인 에이즈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 이유 없이 계속 피로함 (Unexplained,
persistent fatigue)
- 이유 없이 계속 열이나 거나 잠잘 때 땀을 많이
흘린다 (Unexplained, persistent fever, or drenching night
sweats)
- 체중이 갑자기 10 파운드 이상 감소 (Unexpected
weight loss of greater than 10 pounds)
- 다른 병이 없는데도 림프샘이 붓고 2주 이상 지속한다
(Swollen glands unexplained by other illness and lasting
longer than 2 weeks)
- 혀나 입에 크림 같은 하얀 반점들이 생겨남 (Creamy
white patches on the tongue or mouth)
- 설사를 계속한다 (Persistent diarrhea)
- 계속된 잦은 마른기침 또는 호흡 곤란 (Persistent,
frequent dry cough or difficulty breathing)
- 피부에 무통의 핑크 자주색 부스럼이 나며 잘 없어지지
않고 눌러도 빛깔이 변하지 않음 (Pink or purple painless skin blotches
don't go away and do not pale when pressed)
위와 같은 증상들이 있거나 에이즈에 노출된 것같으면
"의료검진"을 필히 받아야 한다. 또 성적 파트너나 마약을 사용하는 다른 가족은
에이즈 감염에 신경을 써야한다.
|
|
6. 마약 금단현상 신드롬 (Drug
Withdrawal Syndromes)
|
마약중독 치료에서 그 "첫 단계"는
환자에게 메타돈(Methadone)을 계속 투여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체내에서
마약성분을 축출" 하는 치료다. 마약이 체내에 너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마약도취 상태(State of Drug Intoxication)" 와는 달리
회복치료 과정 중이나 또는 마약행위를 중단했을 때 체내에 마약기운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것을 "금단현상"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금단증상을 보이면 그만큼 마약을 하지 않았다는 증거로 보아서 중독증이 충분히 치료된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금단증상을 심리적인 중독보다는 "육체적 의존성(Physical
Dependence)"으로 더 보게 되었다. 만약 마약 중독자가 중독증 문제들을 치료하지
않고 마약행위만 중단한다면 거의 “99%가
6개월 안”에 금단증상을 견디지 못해서 다시
마약을 하게되어 재발한다. 그래서 금단증상 치료는 중독증
회복 치료 개념에 포함되어야 한다.
통상 금단증상은 마약 효과의 반대 증상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진정작용(Sedation)을 야기하는 마약을 사용했던 사람은 마음의 동요(Agitation)나
발작(Seizures) 등과 같은 금단 증상을 경험한다. 대신에 흥분작용(Stimulants)
마약을 사용했던 사람은 우울증(Depression) 같은 금단현상을 보인다.
▶
아편
마취제 금단현상 (Opiate Withdrawal)
흔히 아편 남용으로 인한 금단증세가 가장 극심한 것으로
생각하지만 독감(Flu)을 앓는 정도이다. 불면증(Insomnia), 하품(Yawning),
메스꺼움(Nausea), 구토(Vomiting), 설사(Diarrhea), 콧물(Runny Nose),
근육 경직(Muscle Cramps), 빠른 심장박동(Rapid Heartbeat) 등의 금단증상이
있다.
▶
진정 및 최면
금단현상 (Sedative-Hypnotic Withdrawal)
마취제 아편과는 달리 진정 및 최면 금단증상은 생명에
위험하다. 졸도(Seizures), 환각(Hallucinations), 일시적 실신(Delirium
Tremens)과 같은 증상이 있고 혈압과 심장박동에 동요(Fluctuations)가 생긴다.
일시적 실신 5건 중 1건 정도는 죽음으로 몰고 갈 수 있음으로 반듯이 의료치료를 받아야 한다.
▶
흥분제 금단현상
(Stimulant Withdrawal)
장기간 흥분제 마약을 사용한 환자는 종종 잠을 오랫동안
자고 난 다음에 두통(Headaches), 메스꺼움(Nausea), 동요(Agitation),
우울증(Depression) 등의 증세를 보이며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한다. 우울증이 심하면 의료치료와
정신치료를 받아야 한다.
|
|
7. 치료 단계와 치료내용
|
마약 치료내용은 중독 정도, 육체적 증상, 심리적 증상
등을 평가하여 결정해야 한다. 중독증 치료에는 긴급 입원치료(Inpatient) 부터 시작해서
상담 및 자립적 회복모임 (Outpatient) 등 여러 과정이 있다. 중독자의 회복 및 진전
상태에 따라서 치료 지원도 점차 줄어든다. 어느 회복 프로그램이든 최대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한 단계씩 서서히 그리고 무리 없이 넘어가는 것이 좋다.
▶
긴급 병원 치료
(Acute-Care Hospital Program)
증상 정도가 심하고 가장 긴급한 치료는 주요 의료쎈터
같은 곳에서 실시하며 대략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한다.
- 중독증 진단 테스트와 관찰을 통한 환자의 심리적
육체적 상태 평가
- 환자의 증상을 안정
- 안전한 의학적 방법으로 중독물체 배출
- 환자에게 마약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
- 중독증에 대한 환자 교육
- 병원 치료 후 다른 회복프로그램을 계속하도록 격려
병원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약 3일 - 30일간
지속되며 의료진, 정신과 의사, 정신 심리가, 중독증 상담자, 간호원, 사회봉사자 등이 관여하고
많은 의료장비가 사용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3주 병원치료에 약 $10,000 이상이
든다.
▶
주거 치료 (Residential Care)
병원치료 다음 단계로 필요한 치료로 24시간 교육과
치료에 중점을 두는 "재활(Rehabilitation)" 프로그램이다. 의사와
정신심리가 보다는 정신 건강을 돌보는 사람과 중독증 상담자가 더 많이 관여하여 비용은 병원치료보다
적게 든다. 혼자서 마약을 하지 않을 수 없는 환경에 있거나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회복지원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게는 주거치료가 좋다. 주거치료는 대략 6-9개월간 실시한다.
▶
일부 병원 프로그램
(Partial Hospitalization Programs)
이제 24 시간 치료는 필요하지 않지만 아직도 마약이나
알코올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상당한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주 5일 하루에
3-4시간씩 참석하고 자기 집에서 살면서 직장이나 학교에 다닐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생활에
큰 지장을 받지 않는다. 주거 치료와 같이 회복모임(Self-help group), 교육영화,
세미나 등이 제공되며 개별, 가족별, 또는 그룹별로 치료를 받는다. 비용은 주거치료 보다도 더
적게 든다.
▶
외래치료 (Outpatient
Services)
병원 및 주거치료가 아닌 거의 모든 마약남용 치료를
외래치료라고 한다.
일부 주거치료 기관들은 "후속치료(Aftercare)" 목적으로 외래치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어떤 외래치료소는 마약대신에 메타돈 사용 (Methadone Maintenance),
교육 세미나, 직업 및 교육 상담 등을 제공하기도 한다.
정신적 증세가 심한 환자에게는 중독 상담과 심리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외래치료 기관은 치료목표(Goal-oriented)와 회복과정(Process-oriented),
장 단기, 일반 또는 특수 치료냐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다양하다. 외래치료기관은 자립적 회복모임들(Self-help
groups, AA, NA, Nar-Anon Co-A, Co-Anon)이 가장 많고 회복 참여자도
많다.
12단계 회복 프로그램은 1938년 알코올 회복모임에서
처음 작성된 것으로 오늘날에는 모든 중독증회복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에서 사용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 약 2백만 명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3백만 이상이 매년 12단계 회복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회복 1-3 단계는 원상복귀과정(Rehabilitation
process)으로 중독 문제의 심각성과 중독증 앞에 어쩔 수 없음을 환자에게 인식시켜주며 나머지
각 단계들은 환자의 잘못에 대한 수정작업과 다른 중독자들에게 자신의 회복 체험을 나누워 주며
자신의 회복을 더욱 성숙시키는 작업들이다.
12단계 회복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 "공개 회복모임 (Open
Meeting)" 과 중독자나 중독자 가족들만 참석할 수 있는 "비공개 회복모임
(Closed Meeting)" 이 있다.
|
|
8. 치료에 도움이 되는 자연식품
(Helpful Natural Treatments)
|
마약 의존성을 치료하려면 극심한 금단증상 때문에 먼저
"의료적인 도움(Medical Help)"을 구해야 한다. 의사와 상의하여
약초(Herbs), 비타민(Vitamins), 효소(Enzymes), 음식류(Foods) 등을
병행하면 회복에 도움이 된다. 일부 자연 식품도 잘못 사용하면 생명에 위험하므로 제조업체의 "사용법과
경고문"을 읽고 따라야 한다. Drugs & Beyond에 소개된 중에서 일반적으로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일부 식품들은 다음과 같다.
|
식품명
|
효과
|
사용방법
|
대치 사항
|
셀러리(Celery)
|
연한 진정성
|
씨를 섭취 또는 엽차
|
경미한 우울증
|
계피(Cinnamon)
|
흥분성
|
건조시켜서 섭취
|
담배 또는 카페인
|
생강(Ginger)
|
흥분성
|
엽차 또는 캡슐
|
카페인
|
인삼(Ginseng)
|
흥분성
|
뿌리 섭취 또는 엽차
|
담배 Amphetamines
|
양박하(Spearmint)
|
흥분성 및 들뜬 기분 완화
|
생잎파리 또는 엽차
|
일반 금단증상에 사용
|
야생 벚나무 껍질 (Wild Cherry Bark)
|
진정성
|
껍질 내부를 액기스, 캡슐 또는 엽차로
|
정신안정 경미한 우울증
|
|
9. 마약 문제 자가확인 질의문
- 20 가지
|
마리화나, 코카인, 크랙, 헤로인 등 다른 종류의 마약 사용자는 "마약" 용어
대신에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마약 명칭을 적용하면 도움이 된다. 가족은 중독자의 입장에서 읽고 답변하면
문제의 정도를 알 수 있다.
- 마약이 다 떨어질 때까지 마약을 사용하는가?
(Do you use drug until there
is none left)
- 돈이 더 있었으면 마약을 더 사용하였을까?
(Would you use more drug if
you had more money)
- 마약을 하지 않으면 작업 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까?
(Do you think you'd be less
productive without drugs)
- 마약 사용이 당신의 사회생활이나 직장 일을 더
용이하게 만듭니까? (Does drug
make it easier to socialize or work)
- 마약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노력해 본 적이 있습니까?
(Have you tried to stop using
drugs)
- 도취감 고조를 위해서 전보다 더 많은 량의 마약을
필요로 합니까?
(Do you need more drug than
before to get high)
- 대부분의 당신 친구들도 마약을 사용합니까?
(Do most of your friends get
high)
- 마약 사용 때문에 약속을 지키지 못한 적이 있습니까?
(Have you missed an appointment
because of drug use)
- 밤새도록 마약을 사용한 적이 있습니까?
(Have you stayed up all night
doing drugs)
- 식당, 화장실, 자동차, 비행기와 같은 공공 장소에서도
마약을 사용합니까?
(Do you use drugs in public
places like restaurants, restrooms, cars, planes)
- 자주 마약으로 흥분에 빠지고 싶은 생각이 듭니까?
(Do you think about getting
high frequently)
- 혼자 있을 때 마약을 사용합니까?
(Do you use drugs when you are
alone)
- 마약이 다 떨어진 다음에 더 구할랴고 노력합니까?
(Do you try to get more drugs
when your supply ends)
- 허락 없이 다른 사람의 마약을 가져다 사용했던
적이 있습니까?
(Did you take people's drug
without their permission)
- 다른데 사용했어야 할 돈으로 마약을 구입한 적이
있습니까?
(Have you bought drug with money
that should have been used for something else)
- 사람들로부터 당신이 마약을 너무 많이 사용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까?
(Has anyone said that you may
use drugs too much)
- 실제로 당신이 사용하는 량보다 적게 마약을 한다고
말합니까?
(Do you say you use less drug
than you really do)
- 가족이나 친구들을 회피합니까?
(Do you avoid your family or
friends)
- 마약행위로 다른 사람들로부터 수치를 당한 적이
있습니까?
(Are you ashamed by some of
your actions)
- 마약 사용 때문에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습니까?
(Are you having financial difficulties
that could be related to your drug use)
이상 20가지 질의문 중에 3
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마약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회복
도움을 받도록 해야 한다.
|
|
10. 코카인 남용 (Cocaine
Abuse)
|
인간이 자연물체를 잘못 사용하는 예로 수세기 동안 페루
인디안 들이 피로와 기근(Fatigue and Hunger)을 견디기 위해서 사용하였던 "코카
잎(Coca Leaf)"을 들을 수 있다. 코카 잎에서 축출된 코케인은 국부 마취제의
중요한 의학품으로 사용하였으나 불행히도 1980년대부터 마약으로 대 유행 되었다.
▶
코케인의 유래
코케인은 수세기 전부터 중남미 지역의 인디안 원주민들이
자연 그대로 사용해 오다가 1800년 중엽에 구라파로 반출되어 마취제(Anesthetic) 와
흥분제(Stimulant)의 두 가지 주요 성분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의료용으로
눈 수술 마취제로 사용되었고 신체 다른 부부에까지 적용하였다. 그러나 "흥분성 효과"
때문에 코케인이 비의료용 사용(Nonmedicinal uses)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도
합법적으로 수입하게 되었고 한때 코카콜라 음료수에 코케인 성분을 사용한 적이 있었으나 미 의회의
"Harrison Act" 제정으로 그 사용이 금지되었다.
가격이 비싼 코케인은 주로 부유층이 1960년대부터
사용하여 왔으나 1970년대에 그 값이 싸져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1985년경부터는
코케인 보다 값이 싼 크랙 (Crack) 이 코케인을 사용하지 못했던 젊은 층에까지 확산되어서
첫째 마약 복용을 충족하기 위한 "절도사건이 증가" 되었고, 둘째 어른보다는
청소년층에 더 확산되어서 그들의 "뇌 손상과 육체적 발달"에 문제가 대두되었고,
셋째 Crack의 높은 중독성 때문에 "중독자가 급속히 증가"하게 하는 등
미국과 다른 국가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다.
▶
코케인 사용의 생화학적 영향 (Biochemical Effects of Cocaine Use)
코케인은 그 흥분제 성분 때문에 심장 맥박과 혈압이
증가되고 식욕도 없어진다. 코케인을 점점 더 사용하게 되는 이유와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코케인을 사용을 사용하면(Cocaine intake)
->
- 도취감정(Euphoric feeling) ->
- 와해(Crash) ->
- 다시 코케인 갈구(Carving for cocaine)
->
- 코케인을 사용하나(Cocaine intake)
->
- 처음 보다 도취 감정이 덜 하여져서(Feeling
of lesser euphoria) ->
- 더 크게 무너져서(Bigger crash) ->
- 더 많이 그리고 더 자주 코케인을 (More &
often cocaine) 하게 만든다
이러한 과정은 육체적으로 견딜 수 없게되거나 돈이 다
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초기 도취와 갈구의 반복주기를 뇌에 필요한 "도파민
호르몬의 감소 이론(Dopamine-depletion theory)"으로 본다.
우리의 뇌에는 신경자극 전달 부(Synapses)로
알려진 상호 의사 전달을 하는 수억 개가 넘는 신경세포로 구성된 신경회로가 있다. 뇌 속에는
신경전달 물체(Neurotransmitters)로 알려진 화학 물질들이 있어 각 신경세포의 의사를
전달한다. 에피네프린(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
등이 뇌에 필요한 3가지 주요 호르몬들이며 이들은 뇌의 쾌락쎈터(Pleasure center)에
영향을 주어 우리들의 "긍정적 감정(Positive mood)"을 좌우한다.
각 신경세포는 신경전달 물체를 수신 신경세포(Receiving
nerve cell)의 감각기관(Receptors)으로 보낸다. 도파민 호르몬이 감소되면 코케인이
신경세포가 도파민을 받지 못하게 만들어 도파민은 전달 부(Synapse)에 남어있게 된다. 이때
도파민은 계속해서 "고도의 긍정적 감정 신호를 계속 방출"하여 마약 사용자에게
"쾌락"을 가져다 주게된다. 그러다가 도파민은 전달 부서에서 사라지며 쾌락센터의
해당 신경세포에 신경신호들(Neural signals)이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동시에 수신
신경세포들은 부족한 도파민 호르몬을 보충하기 위해서 과도하게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이렇게 코케인이 체내의 신경전달물체의 "균형을
방해" 하기 때문에 코케인 사용자의 육체적 금단 현상은 "도파민 호르몬의 균형을
추구하는 신체적 증상"으로 볼 수 있다. 또 코케인은 갈증(Thirst) 및 기근(Hunger)과
같은 기본적 욕구가 저장된 대뇌부분(Limbic portion)에도 영향을 주어서 마약이 중독자의
생활에 필수적인 것 같은 감정을 유발한다.
코케인을 처음 사용할 때 누구나 도취감을 경험하나 코로
들여 마시느냐(Snorting), 주사로 주입하느냐(Injection) 또는 파이프로 피우느냐(Smoking)
등의 사용방법에 따라서 도취감 체험도 달라질 수 있다.
즉, 코키인의
영향은...
- 코카인의 질
- 사용 방법
- 사용빈도
- 알코올 또는 다른 마약과 혼합사용 여부
- 사용자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 파티, 혼자, 또는 크랙 모임 등...
어떤 환경에서 하느냐에 따라서 다르다. 그러나 사용방법에
관계없이 코카인 중독의 행위적 및 심리적 영향(Behavioral and psychological
effects)은 거의 동일하다.
▶
코카인의
영향
코케인을 사용하면 감정이 기쁨에서 격분으로, 사랑에서
미움으로, 얌전한 사람이 난폭하게 감정이 변화될 수 있다. 코케인을 하는 사람들은 말이 많고,
다리를 흔들거나 손가락으로 테이블을 똑똑 친다. 이들은 탈수(Dehydration) 현상 때문에
종종 입술을 혀로 핥든가 많은 량의 수분을 마신다. 간혹 이를 갈던가, 입술을 깨물거나 껌을
많이 씹고, 줄담배를 피우기도 한다. 또 그들의 지각력(Perceptions)이 변해서 환상(Hallucinations)을
경험하며 사고(Thinking)가 비뚤어지며 누구에게 쫒기는 것같은 편집병(Paranoid)도
생긴다.
코케인 남용자는 식욕이 떨어져 음식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한다. 실제로 중독자 73%가 비타민(B-6) 결핍으로 고생한다는 보고가 있다. 코케인은 성적욕구(Sexual
Desire)를 증가시켜준다고 알려졌으나 오랫동안 상습적으로 사용한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성적욕구가
감소" 된다. 코케인 사용은 심장 떨림증(Palpitations), 협심증(Angina).
부정맥(Arrhythmis), 심장마비(Heart Attack) 등에도 위험하다.
▶
중독 과정 (The
Addiction Process)
코케인 중독은 다른 마약중독과는 좀 다르다. 첫째 알코올이나
헤로인과 같은 진정 또는 마취성분(Sedative or Opiate) 때문에 육체적 허용한도가
증가하며 중단시 육체적 금단증상을 유발한다. 표준해독(Standard Detoxification)
과정시 진정제를 투여하여 금단증상 기간의 고통을 완화시킨다. 알코올과 헤로인은 "몇
년"에 걸쳐서 중독 되는 반면에 코케인 이나 크랙(Crack)은 "몇 개월
안"에도 중독이 된다. 그래서 코케인 중독은 육체적, 정신적, 경제적으로 삶을 더욱
급속도로 파괴시킨다. 대부분 코케인 중독자들은 코케인을 사용하는 사람들만을 친구로 사귄다. 코케인
때문에 약속을 잘 지키지 못하며 점차 마약이 중독자의 생활에 중심이 된다. 그러나 그들은 코케인
사용 초기에 체험하였던 도취감에 도달하기가 힘들어진다. 어떤 중독자는 "마약을 처음
시작할 때 생겼던 황홀한 감정들을 얻기 위해 계속 코케인을 더 많이 더 자주 사용해도 그 황홀감은
점점 덜 해졌다"고 회상 한다.
코케인 중독의 특징 중 하나는 과대망상증(Paranoia)
으로 누가 자신을 감시하거나 뒷조사를 하는 것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일부 중독자들은 마약을 구하기
위해서는 거짓말, 절도, 착취, 심지어는 매춘 등 아무 일이나 마구 한다. 사실 마약은 정상적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성적행동을 하게 만든다. 여성 중독자들은 코케인을 공급해주는 친구나 애인을 찾게되고
마약 딜러를 보이후렌드로 삼기 쉽다.
코케인 사용이 "사교적인 마약(Social
drug)" 차원을 넘어서면 스스로 고립되어 혼자서 마약을 하며 과대망상증세를 보여서
중독자는 더욱 고립하게 된다. 중독자들은 도덕 법규를 지키지 못하고, 가치관을 위반하고,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망가진 것 등으로 자신을 미워하며 죄의식에 사로잡힌다.
이런 상황에 처하면 중독자는 경제적으로 정서적으로 모두
망가진다. 그러나 아직도 자신이 왜 이렇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중독자들은 "코케인 중독이 자신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믿지 않고 다른
것이 문제일 것이라고 생각하여 다른 외적 요인들이 자신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믿는다.
흔히 중독자들은 돈이 없기 때문이라고 절규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중독자 입장이
되면 문제의 원인을 볼 수 없게 된다.
|
|
11. 마약남용이 가족에게 어떻게
나타나나
|
가정에 마약 문제가 있는 것을 알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이를 안 가족들의 첫 반응은 “문제를 부정(Deny)" 하며 남들에게 이 사실이
알려질까 봐 은폐(Cover up) 하려고만 한다. 중독자 배우자는 재정을 관리하는 일에서부터
자녀들을 키워야하는 모든 일들을 갑자기 도맡아야하고 가족모두는 중독자의 변화되는 욕구와 행위들에
강제적으로 적응해야한다. 가족 모두는 당혹스럽고 수치스런 생각에 잠기게 되며 "왜 우리
가족에게 이런 일이 생겼는가?" 탄식하게 된다. 그러나 가족들은 이를 수치스럽게 생각하거나
외부도움을 주저할 필요가 없다.
가족들은 마약을 하는 사람과 너무 가까운 사이이기 때문에
- 내게 무슨 잘못이 있어서 그런가?
- 친척들이 이 사실을 알면 어쩌나?
- 내 혈육이 정말 그렇게 나쁜 문제를 가졌단 말인가?
하고 자신을 “자책”하기 쉽기 때문에 문제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생각하기 어렵다. 가족들은 우선 거부감을 극복하고 가정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해야한다. 마약 남용자와 직접 대화가 어려우므로 마약 회복자나 그 분야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마약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마약사용자와 가족 양측 "모두의
용기" 가 필요하다. 일단 가정에 마약 문제가 생기면 가족 모두는 고통을 당하며, 마약
사용자는 죄의식, 분노, 및 자제력 상실 등을 보이고, 형제 및 자매들은 마약 사용 형제에 분노하고,
자녀들은 자신들도 마약을 하게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등으로 가족 모두는 문제를 통감하게 된다.
이렇게 가족 각 구성원은 어떤 형태로든 죄의식(Guilty)과 분노를 표출하여 변화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가족들은 중독증을 이해하고, 대화방법을 배우고, 자신과 상대를 용서할 필요가
있다."
▶
대화 방법
“일방적인 (One-sided) 대화”로는 중독자를
변화시키기가 어렵다. 변화를 위해서는 가족간의 “관계 수정이” 요구 된다. 과거 불만족스러웠던
역할들에서 탈피해야 한다. 여태껏 가족들은 문제를 대처하는데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본적이 없을 것이다. 중독자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는 전과는 "다른
대화 방법"을 개발 해야한다. 새로운 문제 접근방법은 가족 모두를 새로운 이해의 세계로
안내 할 것이다.
▶
비밀과 부담
가족들은 마약사용자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또는 가족들의
수치감과 고통을 보호하려는 차원으로 마약 문제를 "은폐"하려고 든다. 마약
사용자를 은폐해주기 위해 자신의 생활양식까지 바꾸는 가족들을 "중독 협력자(Co-addict)"
이라고 부른다. 마약행위를 은폐하는 것은 가족들의 삶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마약 사용자로 하여금
더 중독 되기 쉽게 만들어 준다. 중독협력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중독자가 마땅히 스스로 해야할
일들은 그 사람이 하도록 하게 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그래야 중독자는 자신의 중독증 결과들로
고통을 당할 수 있어 문제를 인식하게 된다.
▶
정상적 삶을 살아가는
노력
가족들은 가족의 질병, 죽음, 및 영적 어려움 등에
적응하는 것과 같이 마약 문제로 생기는 스트레스에도 적응해야 한다. 남편이 마약으로 문제가 생겨
직업을 그만두면 그 아내는 두 직업을 가져서라도 부족한 가족의 생활비를 메꾸려고 하며 누가 집에
찾아오면 수치심 때문에 마치 개인생활이 침해받는 것 같은 감정이 생겨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지 못하게 된다.
▶
자녀들의 어려움
어린 자녀들은 조심과 의구심이 많은 가정환경 속에서
성장한다. 때로는 자녀들이 마약 하는 부모를 돌봐야하는 "소년 소녀 가장(Parentified
child)" 역할도 하게 된다. 이들은 결혼 후 가족 중 한사람이 어떤 중독행위로
고생하면 성장 환경에서 참고 부모를 돌보던 마음으로 자신의 가족을 지나치게 보호하여 회복을 어렵게
하는 "중독적 환경을 재연" 할 수도 있다. 실제로 중독자 가정에서 성장한
자녀들은 중독증이 없는 일반 가정에서 성장한 자녀들 보다 더 중독자가 될 확률이 높다.
▶
회복기간 중에
마약 중독자가 회복치료를 받는 동안에 가족들은 마치
겨란 위를 걸어다니는 것과 같이 매사에 조심해야하는 스트레스 속에서 살아간다. 이들은 다시 재발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가족들은 마약문제로 좌절만 하고 있을 수 없다. 가족은 마약사용자가 신뢰심을
기르고 회복동기를 지니도록 도와주고 회복에 함께 "동참"하면 가족간에 대화도
향상된다.
|
|
12. 가족은 어떻게 도와야 하나
|
여러 증상들을 통해서 가정에 마약문제가 있는 것이 확인되면
가족들은 어떻게 마약행위를 중단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가가 주요관심사가 된다. 가족들은 "자신을
돕는 일" 과 "마약자를 돕는 일"로 나누어서 생각해야 한다.
가족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마약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
마약행위를 하지 않았을 때 이야기
마약이나 알코올을 한 상태나 또는 금단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대화를 하기가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마약사용에 관한 대화로 중독자를 간섭 해 보아도
울분만 생기고 도움을 줄 수 없다. 어떤 가족은 "중독자에게 스트레스가 있으면 나 자신에게도
스트레스가 생겨서 더 이상 아무 말을 할 수 없고 나중에는 서로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가족들은 가능한 마약사용자가 "정상"에 가까울 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
▶
개인적인 관심을
표현
듣기 좋지 않은 말을 하기란 쉽지 않고 더욱이 마약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그런 말을 듣기 싫어한다. 가족들은 단지 중독자의 마약행위가 싫다고 말하는
것보다는 마약사용이 "걱정스럽다"는 표현을 하며 "마약자의 편"에서
말하는 것이 좋다. 강압보다는 관심을 보이며 가능한 "간단명료" 하게 무엇이
걱정스러우며 무엇을 알고싶은 가를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마약사용자는 이때가 처음으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기회이다. 사람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또는 달래면서 관심을 표현한다. 어떤 형태든
마약 사용자가 가족들의 "관심을 이해" 할 수 있으면 좋다.
▶
금전적 도움은
삼가야
마약 남용자의 문제를 돈으로 해결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통상 가족들은 돈을 주고도 혹시 그 돈으로 마약을 사는데 사용하지 않을까 걱정한다.
부모가 렌트비를 도와주어도 아들은 그 돈을 마약 구입비로 사용하기 쉽다. 중독증이 악화되면 가족들은
돈으로 마약 문제들을 해결하여 "편안해" 지고 싶어하나 이는 "일시적(Temporary)"
일 뿐이다. 마약 문제자에게 돈을 주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는 것을 상기해야 하며 이는 마약자와
가족 모두에게 나쁜 관계와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
▶
마약 사용 금지를
위한 가족의 결속
가족들은 마약남용자가 마약이 없는 새로운 생활을 하도록
다음과 같이 도와 줄 수 있다.
아들이 마약을 하는 경우
- 아들을 치료기관으로 안내
- 마약 자녀와 함께 운동 또는 취미생활
- 직장을 구하는 지원서를 함께 작성 등
무엇이든 자녀와 함께 "시간을 같이"
하는 일은 마약을 멀리할 수 있게 하고 건전한 태도를 격려해 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족 모두는 각자의 입장에서 마약 남용자와의 "관계강화"를
통하여 마약행위를 저지하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 할 수 있다. 마약 문제자를 회복으로 안내하고
가족이 함께 노력하는 과정에서 가족들의 새로운 생활 태도와 관계가 정립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
|
13. 12단계 회복모임 참석을
통한 치료접근
|
다른 중독증과 같이 마약 치료도 환자의
"변화하려는 동기(Motivation to change)"가 가장
중요하다. 가정에 무슨 문제가 생기면 통상 가족들은 전문적인 도움 없이 가족들의 힘으로만 해결하려고
한다.
오늘날 건강회복의 85%가 각종 자립회복기관(Self-Help Organizations)에서
이루어진다. 가족들이 중독증에 관련된 가족회복모임에 참석하면 마약남용자 에게 어떤 조치를 취하고
대처해야 하는 지에 관한 실제적인 정보와 지혜를 얻게 된다. 이들 회복모임은 전문기관에서 경험하기
힘든
- 상호 위안(Mutual caring)
- 확고한 지원(Concrete support)
- 동일한 문제를 지닌 사람들만의 모임 안에서 오는
안도감
등을 받을 수 있다.
▶
가족 회복모임
마약 가족회복 모임(Nar-Anon)은 가정에서 마약
사용자들로 영향을 받아온 가족들을 위한 모임으로 1967년부터 시작되었다. 가족들은 모임에서
자신들이 겪은 체험을 서로 나누고 자신과 마약사용자의 문제를 더 알고 이해하며 그들의 공통된
문제를 해결하려는 희망으로 함께 만난다. 가족모임에서 제공되는 회복 12단계는 마약 사용자를
변화시키려는 것보다는 오히려 가족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가족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며
회복 12단계의 순서에 따라서 회복계획을 세워 나아간다.
회복모임에서 자주 듣는 "문제에 매달리지 말고
하나님께 맡겨라(Let go and let God)"는 말은 가족들이 마약문제에 대해서
무기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은 마약자를 변화시킬 수는 없지만 "가족 자신들의 태도와
행동은 변화시킬" 수 있다. 감미로운 사랑(Tender Loving)으로는 마약행위를
잠시 동안만 중지시킬 뿐이다. 마약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족의 사랑은
준엄해야(Tough Love) 한다. 대부분 가족 참석자들은 모임과 회복내용을 위대한 힘이 안내하는
것으로 받아드린다. 가족이 중독자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회복모임 참석하는 것이 첫 과정이며
모임에서 동일한 문제를 겪은 다른 가족들과 만나 체험을 서로 나눈다. 코케인 가족모임(C0-Anon)은
1985년부터 생겨서 약 30여개 모임이 있다.
▶
부모들의 지원모임
(Parent Support Group)
자녀들이 마약에 노출되었거나 영향을 받을 경우 부모들이
개별적으로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부모들이 정기적으로 만나는 모임이다. 이 모임은 개별적인
지원과 지역활동에 목적을 둔다. 1980년대에 시작되어 미국에는 Toughlove, PRIDE,
청소년 마약방지 전국 부모 연합체 등 수천 개가 넘는다. 이들 단체는 치료보다는 "마약
방지책"에 더 초점을 두며 무모의 역할 또는 마약관련 입법추진 등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
마약 사용자 회복모임
(Narcotics Anonymous)
알코올 중독자 모임(AA)은 1935에 시작되어 전
세계에 약 95,000 여개가 있다. 알코올 모임에 영향을 받은 마약자 회복모임(Narcotics
Anonymous)은 1953년에 처음 시작하여 전세계적으로 약 21,000 개가 넘는다. 일반적으로
마약 회복 모임(NA)은 여러 종류의 마약 사용자가 참석할 수 있는 모임이다. 이 외에도 코케인,
마리화나, 헤로인, 메타돈 등의 회복모임이 있다. 코케인 모임(CoA)은 1982년에 시작하여
2,000개가 넘는다. 가족들은 마약사용자가 이들 회복모임에 참여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족이 먼저 마약관련 가족 회복모임에 참석하는 것이 좋다.
▶
가족 치료요법
(Family Therapy)
중독증은 가족 전체의 병(Family Disease)
임으로 "가족단위 치료"가 요구된다. 가족체제 상의 일부 문제가 마약 남용의
원인이 되었을 수도 있다. 마약자를 항구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전체가 함께
변화" 되어야 한다. 가족들에게 문제가 없어도 최소한 가족들의 활동은 마약사용자의 행위에
따라서 "조절(Adjustments)" 되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가족 구성원
각자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마약사용은 반복되기 쉽다. 마약 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가족들은
각자 자신의 문제를 설명하고 치료자의 도움으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통상 10 여차례 실시되며
마약사용자와의 대화 형태변화(Changing Patterns of Communication)와
관계증진(Improving Relationships)에 중점을 둔다.
|
|
14. 회복을 저해하는 물질적
도움과 정신적 도움제공
|
가족들이 문제를 잘 모르고 한 최선은 오히려 "중독증을
악화" 시키고 "회복을 방해" 할 수 있다. 통상 무모 또는 아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약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나면 그들의 "첫 반응" 은 마약자를
돕고 싶은 마음에 어떤 방법으로든 중독자가 고통을 덜 당하게 하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일들" 을 하게 된다. 그러나 중독증의 경우 "가족의 도움"은 마약사용을
더 오래 지속시키고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아마 가족들은 이 말을 처음에는 잘 이해할 수
없지만 중독자를 위해서 몇 년간 온갖 모든 일들을 다 시도해 보고 난 다음에야 이 말을 수긍하게
된다.
▶
물질적 도움 제공
(Enabling)
남을 도와주고 싶은 것은 인간의 욕구다. 문제는 매번
마약자의 어려운 상황을 도와주는 한 그는 왜 자신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터득하지 못하게 만든다.
마약행위로 빚이 생길 때 마닥 가족들이 매번 돈을 갚아주면
그는 영원히 마약행위로 생긴 부채 결과로 고통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런 일이 몇 번 있은 후부터
중독자는 보란듯이 마약 구입 또는 음주 등으로 생긴 부채를 가족이 대신 갚아줄 것을 기대하는
습성이 생긴다. 사랑하는 사람이 돈 때문에 고통 당하는 것을 뒷전에서 지켜보는 일이 아무리 힘들어도
장기간 중독증으로 가족들이 겪을 고통과 중독자가 더 망가지는 결과보다는 못할 것이다.
계속된 마약행위는 수개월 동안 전기 없이 또는 직장을
잃고 사는 것보다도 더 위험한 일이다. 중독자가 무엇에 "관심"을 갖느냐에
따라서 정확히 똑같은 중독행위 "결과" 가 생기게 마련이다. 만약 가족들이
항상 마약자를 "은폐"하여 준다면 그는 결코 자신의 행위에 대한 "고통"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누군가 항상 "더 낮게 처리" 해주는 사람이 있는데 어떻게
마약자가 자신의 문제를 깨달을 수 있겠는가? 자신의 문제가 "계속 쉽게 해결"
되면 중독자는 다시 모든 것이 좋게만 느껴질 뿐이며 동일한 중독행위는 반복 된다.
다시 말해서 문제를 "도와" 주는
것은 마약자가 자신의 행위 결과들을 직면하지 못하도록 "보호" 해주는 격이고
마약자 역시 도움을 구하려는 동기의식을 갖지 못하게 만든다. 가족들이 마약자의 문제를 계속 도와주는
것은 실질적으로 그를 도와준 것이 아니라 가족들은 마약자가 중독행위를 계속하도록 소위 "물질적
도움(Enabling)"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물질적 도움 행위에도 여러 형태가
있다. 중독증의 원인이 무엇이든 가족과 중독자와의 "상호행동" 그리고 "직접적인
환경이"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든다. 가족들은 마약자를 향한 그들 자신의 물질적 도움
행위를 확인하여 중단하는 것을 배울 책임이 있다.
▶
물질적 도움 점검표 (Enabling Checklist)
당신이 삶 속에서 중독자에게 과연 "물질적
도움"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다음 질문들을 가능한 "정직"
하게 대답하면 도움이 된다.
- 중독자의 재정적 빚을 은폐해 준 적이 있는가?
- 중독자를 대신해서 그의 약속을 취소하는 전화를
건 적이 있는가?
- 직장이나 학교에 중독자를 위해서 아프다거나 다른
변명을 한 적이 있습니까?
- 중독자에게 육체적으로 학대당하고도 경찰을 부르지
않은 적이 있습니까?
- 중독자가 돈이 다 떨어졌기 때문에 당신 집에서
살도록 허용한 적이 있습니까?
- 중독자에게 거듭 돈을 빌려주어 왔습니까?
- 마약관련 행위로 구속된 중독자를 석방하기 위해서
보석금을 내준 적이 있습니까?
- 중독자가 침울해졌기 때문에 중독행위를 묵과한 적이
있습니까?
- 폭력이 두려워 마약사용에 대해서 제대로 말을 하지
못합니까?
- 중독자가 당신을 떠날 것이 겁이 나서 마약사용에
대해서 중독자와 이야기하는 것이 두렵습니까?
- 이따금 집에서만 마약을 사용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까?
- 중독자가 가끔 거짓말로 핑계 대는 것을 알면서도
믿어주는 것같이 행동합니까?
- 이따금 중독자가 마약행위를 하는 것이 당신 때문이라고
생각합니까?
- 수치심 때문에 가정의 중독문제를 아무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습니까?
- 중독자가 육체적으로 다 망가진 후에도 집으로 돌아오도록
합니까?
- 중독자의 마약행위 유발을 자녀들에게 변명합니까?
- 실제로는 마약행위를 했었는데도 중독자가 아픈 것같이
가장해 줍니까?
- 중독자와 함께 하기 위해서 마약을 한 적이 있습니까?
- 중독자를 위해서 마약을 획득한 적이 있습니까?
- 중독자에게 떠나겠다고 협박하면서도 떠나지 않습니까?
만약 위의 20가지 질문 중 3가지 이상 해당되면 아마
당신은 중독증이 계속 되도록 누군가에게 "물질적
도움"을 제공하여 온 것이다. 비록 당신의 의도는 최선을 다하려고 한 것이지만
당신의 사랑하는 사람이 마약 사용을 중단하게 하고 싶으면 당신은 이제
물질적 도움을 중단하는 "역할"을
해야한다.
▶
정신적 도움제공 (Co-dependency)
의존증 중독 분야에서 종종 자아 상실을 "정신적
의존"으로 간주한다. 정신적 의존은 자신의 욕구는 무시한 체 다른 사람의 욕구를 지나치게
돌보아 줄 때 생긴다. 의존자들은 자신들의 정서적, 육체적, 심리적, 및 영적 욕구들이 아주
무시될 정도로 다른 사람의 문제나 행위를 골똘히 생각하는데 지나치게 "에너지와 시간"을
소모한다. 만약 한 여성이 의존자인 경우 종종 다른 사람의 욕구가 그녀 자신의 욕구보다 더 중요하다고
느껴진다. 그 여성은 종종 자신보다도 더 심각한 문제가 많이 있는 사람과 같이하는 선택을 하며
순종과 자기 희생이 필요하도록 상황을 만든다. 표면상으로 이러한 자기희생은 존경받고 칭찬 받아
마땅한 것 같이 보인다.
남을 도와주고 싶어하는 원칙에는 나쁠 것이 없다. 그러나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 측에 "고통과 병이 초래" 된다면 이는 다른 사람을 도와주려다가
자신의 내적 자원들을 너무 많이 고갈시키는 결과가 된다. 다른 사람에 초점을 두다 보면 의존자는
종종 자신의 경력과 자아심에 손상을 줄 정도로 "자기발전은 무시" 하게 된다.
의존자는 다른 사람을 만족시켜 주기만 하면 그 사람이 자신을 만족시켜 줄 것으로 믿는다. 이런
믿음 때문에 의존자들은 자신의 행복을 다른 사람의 손에 맡기며 자신의 행복을 자신이 아닌 외부에서
추구하려고 한다.
이러한 일은 마약이나 알코올을 할 때와 같이 "일시적
위안감" 만 가져다줄 뿐 결국은 내적 고갈을 초래한다. 행복대상으로 삼았던 사람은 마약이나
알코올의 마지막 단계로 진행되어 결국 쓰러지게 될 것이다. 중독자가 중독증으로 발전되는 것과
똑같이 의존자 가족도 점점 다른 사람의 욕구를 충족해 주는데 전력을 다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정신적 의존 그 자체도 가족이 겪게되는 또 다른 "중독증" 이다.
가족은 중독자를 통제하려는 마음에 사로잡히기 쉽다.
동기는 중독자를 도와주려는 것이지만 결과는 그러다가 자신의 "내적 균형을 잃게"
된다. 얼마 안가서 가족들은 "이용당한 피해자" 가 된 기분을 느끼기 시작한다.
어떤 가족들은 이러한 일을 몇 년동안 계속하기도 한다. 그들은 중독자의 혼잡한 상황에 비해서
어느 정도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자신이 "의롭고 중독자 보다 우월하다"는
생각까지 한다. 이는 의존자가족이 중독자가 해야할 많은 부분의 책임들을 떠맡아 하고 있으면서
자신들이 중독자 보다 우월하다고 믿게되는 "비뚤어진 병" 이다. 가족들은 중독자와
똑같이 강박관념, 실망, 성취감 결여 등의 감옥 안에 스스로를 가둔다. 중독자를 정신적으로 도와주려는
가족들의 주체는 "자기 희생"을 통해서 중독행위를 막아보려는 "힘의
환상(Illusion of Power)" 이다.
정신적 의존성은 본인에게 육체적 병, 우울증, 근심,
스트레스 또는 정서적 마비와 같은 것들을 가져다준다. 종종 더 더욱 통제해 보려는 과도한 통제욕구는
오히려 통제력 상실을 초래한다. 가족이 중독자를 더 통제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가족은 더 좌절되게
마련이다. 아무도 다른 사람을 통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이따금 의존성 가족은 중독자의
행동을 지나치게 규제하려고 한다. 아버지가 마약 또는 알코올 중독자인 가정에서 성장한 아동들은
치료자에게 가장 "미친(Crazy)" 모습을 보인 부모는 중독자가 아니라 어머니였다는
이야기를 자주 한다.
정신적 도움을 제공하는 가족 입장을 탈피하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의 욕구와 자신의 삶에 초점"을 다시 두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런
가족들은 다음과 같은 도움으로 자신을 도울 수 있다.
- 가족 또는 의존자를 위한 회복모임을 정기적으로
참석한다
- 의존자를 위한 그룹치료나 개인 상담을 받는다
- 병원 또는 재활센터에서 실시하는 의존성 및 중독증에
관한 교육에 참석한다
- 회복모임에서 물질적 및 정신적 도움 형태를 탈바꿈하는데
필요한 행동변화를 추 구할 수 있는 지원체제를 구축한다
▶
정신 및 물질적
도움을 지양하는 방법
중독자를 도와주고 싶은 충동을 느낄 때 "잠시
중단" 하고 정말로 이 일이 "당신의 책임" 인가, "중독자의
책임" 인가, 또는 "당신이 꼭 갚아야하는 돈" 인가 등을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중독자와 관련된 중요한 일들은 책임소재를 분명히 가려서 처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당신과 중독자를 모두 위하는 길이다.
그러나 갑자기 책임을 중독자에게 돌린다고 해서 당신이
바라는 데로 다 된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차선의 방법들"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중독자와 함께 사는 경우 중독자가 전기세를 내지 못하면 당신이 전기세를 지불하던지
아니면 전기가 끊기도록 내버려두던지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하는 어려울 때가 있다. 당장
전기가 없으면 당신과 다른 가족의 생활에 불편을 주게 됨으로 우선 전기세를 지불하고 나중에 받아내는
차선의 방법도 생각해야 한다.
1. 한계를 정해야 한다
상담자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중독자의 어떤 행위는
받아주고 거절해야하는 지를 결정할 수 있는 도움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육체적
학대" 는 받아 줄 수 없는 행위이다. 당신이 어떤 결정을 내렸으면 열쇠나 돈을 빼앗고
또는 집을 나아가거나 경찰을 부르는 등 확고한 자세로 밀고 나아가야 한다. 중독자는 곧 당신이
겁만 주는지 그 진위를 곧 알게 된다.
집안에서 몇 년간 돈이나 크레딧카드를 도난 당하고도
묵인해온 어느 한 중독자의 부모는 참다 못해서 아들을 내쫓고 집 자물쇠를 모두 바꾸었다. 부모는
그 날밤 아들이 혹시 교통사고나 죽지 않았을까 하는 염려로 생애에서 가장 고통 스런운 밤을 보내야
했지만 이 일로 아들이 곧 회복도움을 받아 드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때로는 "강경한 행동(Firm Action)"이
중독자가 자신의 현실을 직면하게 하는데 가장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각 가정의 경우와 상황이
각기 다르므로 전문 상담자의 도움을 받아서 가족들이 상황에 알맞게 한계를 정하고 행동해야 한다.
2. 중독자를 보호하지 말아야 한다
중독자가 사회적, 육체적, 심리적, 또는 정서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하면 그 결과로부터 중독자를 보호해 주지 않는 것이 더 현명할 경우가 있다.
문제를 축소해서 생각하지 말고, 어떤 경우에도 물질적인 도움을 주지 말고, 또 다른 가족에게
비밀로 해달라는 부탁을 받아 드리지 말아야 한다. 오히려 중독자에게
- 미안하다. 이번에는 너의 청을 들어 줄 수 없다
- 내 책임이 아니니 너 스스로 처리해 봐라
- 너를 사랑하지만 네가 먼저 회복도움을 받아야 도와
줄 수 있다
등으로 말을 하는 것이 좋다.
3. 중독자의 회복에 너무 관여하지 말아야 한다
가족들은 마약, 알코올, 도박 등의 문제가 있고 중독증의
말로가 어떻게 된다는 현실은 제시해 주지만 회복은 어디까지나 중독자가 하는 것이지 가족이 대신해
줄 수 없다. 일단 회복이 시작되면 가능한 상담자나 다른 참석자에게 회복 결과를 알아보려고 하지
말고 스스로 회복을 시작하도록 회복책임을 중독자 자신에게 두는 것이 좋다.
회복 상담이나 모임에 가지 못할 때는 "중독자가
직접 전화 걸도록" 하여 가족 도움 없이 중독자가 도움을 구하고 받도록 책임 소재영역을
늘려 나아가는 것이 좋다.
어떤 가족은 중독자가 회복모임에서 너무 시간을 보내고
회복동료를 새기는 것을 질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일로 화가 나는 가족들은 친구를 사귀든지
자신의 취미생활로 무료한 시간을 채우는 것이 좋다. 회복초기에 중독자로부터 많은 것을 기대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회복자는 장기간 서서히 변화되기 때문에 가족들은 인내가 필요하다. 가장
좋은 회복 결과는 중독자에게 가족의 변함없는 사랑과 확고한 회복 지원을 알도록 하며 회복은 본인
스스로 하게 할 때 이루어진다.
4. 가족도 회복도움을 받아야 한다
가족들은 오랫동안 중독행위를 외부의 도움 없이 혼자의
힘으로 막아보려고 최선을 다하는 과정에서 정서적으로 지치게 된다. 그래서 중독증 회복은 첫째
중독자를 도와주는 것과 둘째 가족들이 자신들을 위해서 도움을 청하는 일로 구분된다.
중독자가 스스로 회복도움을 구하는 계기는 "Hit
Bottom(중독의 처참한 마지막 끝에 도달)" 되었을 때이다. 가족들이
중독자를 회복도움을 받도록 할 수 있는 일은
- 첫째 물질적 및 정신적 도움을 중단하여 중독자의
"Hit Bottom을 앞당기”게 하며
- 둘째 가족회복모임 참석을 통하여 가족 자신이 회복하며
중독자를 어떻게 더 잘 다루고 회복동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를 아는 것이다
외부 도움을 받아드리는 가족들의 행동변화는 중독자에게도
회복도움을 받아드려야 할 때가 임박해 오는 구나하는 마음을 갖게 해 준다. 이외에도 가족들이
회복모임에 참석하면 많은 회복지혜를 얻을 수 있다. 중독자가 회복할 준비가 되지 않았어도 가족들은
가능한 빨리 회복모임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가족들의 회복모임 참석 사실을 중독자가 빨리 알수록
중독자는 더 이상 가족에게 자신의 문제 해결을 말할 수 없음을 인식한다. 가족모임 참석으로 중독자에게
줄 수 있는 또 다른 영향은 중독자에게 가족이 회복도움을 받는다는 것을 알리고 중독자도 회복할
준비가 되자마자 참석하라는 "공개적으로 초청"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가족은
당장 도움을 구하기는 너무 이르다 거나 아직 준비가 덜 되었다는 말을 결코 하면 안된다.
5. 의구심은 버려야 한다
일부 가족들은 회복도움을 받은 것을 후회하며 그들은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 중독자를 위해서 모든 것을 다 해온 사람은 바로
나다. 나는 다른 일을 할 필요가 없다
- 문제가 있는 사람은 그 사람이므로 회복은 그 사람만
하면 된다
- 가족인 내가 왜 치료를 받아야 하나? 치료받아야
할 사람은 마약 문제가 있는 그 사람이다
- 나는 이미 회복모임 내용 따위는 다 알고 있으므로
누구의 도움도 필요 없다
- 그 사람이 진정 나를 사랑했다면 그런 일은 더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 정작 필요한 일은 마약 딜러 또는 술집들을 모두
없애 버려야 한다
- 왜 중독자가 나에게 이런 일을 하게 하는가?
- 나는 중독에 처한 남편을 떠나려고 한다. 나는
더 좋은 남자를 만날 수 있다
- 그는 나에게 다시는 안한다고 약속했고 나도 이번에는
다르게 나갈 것이다
- 나는 가족 회복모임에 다니는 사람들과는 다른 사람이다
- 나의 상황은 그들과 다르다
- 내 가족 문제는 내 힘으로 처리 할 수 있다
많은 가족들은 위와 같은 생각들을 한 두 번은 다 해본다.
중독자와 생활하면서 생기는 긴장감은 대단하기 때문에 분노감정과 모든 것을 중독자에게 비난하고
싶은 것은 당연하다. 종종 회복도움을 구하는데 수치감도 수반된다. 혼자서 오랫동안 중독 문제를
처리하려고 노력해온 가족은 결국 외부도움을 받아드려야만 한다는 사실에 "실패감"
같은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일반인들은 중독자를 "의지가 약하다"
거나 "나쁜 사람"으로 보지만 치료 전문가나 회복모임 참석자들은 자신들도 똑같은
경험을 하였고 중독증을 "병으로 이해" 하기 때문에 새로운 참석자들을 형제같이
대하고 위로한다. 가족들은 회복모임에서 필요한 교육과 지원을 받기 시작하면 좌절감과 무기력감이
사라져서 마약 사용자를 대하기가 전 보다 더 쉬워지게 될 것이다.
|
|
15. 가족은 가족만의 회복 열쇠를
사용해야
|
마약의 종류, 사용 동기, 도취형태, 그리고 금단현상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회복 방법만이 옳다고 할 수 없으나 마약추구 행위는 병원치료 후
"개인상담" 또는 장기적인 "12단계 회복프로그램(Outpatient
Program)"으로 회복될 수 있다. 회복치료에는 의료적(Medical), 정서적(Emotional),
및 영적(Spiritual) 사항들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이제 가족의 수치심과 거부감은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회복하려는 의지만 있으면 어느 지역에서나 마약회복 기관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 회복 문을 열 수 있는 "열쇠"는 중독자보다는 가족이 더 많이 가지고 있다.
가족들은 회복으로 들어가는 열쇠를 갖고만 있지 말고 당장 그 키(Key)를 사용하는 "용기"를
보여야 한다.
가까운 회복기관들은 항상 여러분의 회복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가족이 먼저 회복기관에 참석하면 가족의 회복은 물론 중독자의 회복 안내도 더욱 쉬워질
것이다. 회복책임을 마약사용자와 가족 모두에게 두고 함께 회복할 때 회복은 빠르고 재발 방지도
할 수 있다.
불행이도 어렵게 시작한 회복을 중독자의 갖은 이유와
구실로 회복이 중단되면 가족들도 같이 회복을 중단하는 사례가 많다. 중독증 자체가 중독자로 하여금
가족의 이론적인 충고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만든다. 이런 상황에서는 가족들이 먼저 이성적으로 중독증
문제를 통찰하고 가족들이 회복기관을 통해서 더 자신을 회복하며 어떻게 중독자를 대해야 하는가를
알아가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더 악화되기 전에 회복을 "시작" 하는 일이다.
가정에서 알코올 중독자가 있다는 것을 알기까지는 약
7년이 걸리고 이를 안 가족이 회복결심을 하기까지는 2년의 세월이 더 걸린다는 조사가 있었다.
가족들은 시간을 아껴야한다. 이제 회복시작은 여러분의 선택 사항이고 올바른 "회복
선택"은 중독자와 가족 모두에게
"희망" 과 "미래"를 가져다 줄 것이다.
- 마약의 심각성, 증상, 진행과정, 확인방법,
치료 회복 내용 등을 소개하고 가족의 회복개입과 관심에 초점을 두려고 노력하였습니다
- 어떤 문제이든 그 내용을 많이 알수록 두려움은
적어지고 해결할 수 있는 자신감은 더 생기게 마련입니다
- 이 글을 읽으시고 여러분이 선택하시는 모든 사항과
그 결과에 대해서
본 선교 센터는 여하한 책임을 질 수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 좋은 회복 결실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여러분의 회복체험담이나 회복지혜를 환영합니다.
이 회복 사이트의 “회복참고자료”와
“12단계 회복 프로그램”을
계속 회복에 적용하시고 회복에 관한 질문 또는 상담은
“마약중독 상담 게시판이나 e 메일 상담코너”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마약
중독 상담 게시판으로 가기
2001년 1월 1일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제공
-이해왕 선교사-
|
|
 |
AA/ NA/ Getting Help/ Family
Like Yours/Drugs & Beyond/Cocaine Solutions 참조
"본 문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사, 출판 또는
다른 홉페이지에 사용을 금지 합니다"
-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