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 회복교실
Sex 중독회복
인터넷 중독 회복
니코틴 중독 회복
다이어트 음식중독
  회복
쇼핑/부채중독 회복
도벽(Shoplifting)
  회복
우울증 회복
장애/만성병 회복
12단계 회복프로그램
바이블 12단계
  회복원리
바이블 회복/적용
청소년 12단계
  회복프로
이혼 12단계
  회복프로그램
음성/영상 12단계
  회복
정서/심리 회복
  프로그램
회복참고자료
신문잡지 회복기사
회복자의 편지란
중독증 회복 방송국
영상 회복방송
중독/의존증 회복
  모임교재
베데스다 연못
  회복목회
 

today_9 / total_440206




별거/이혼이해l부부갈등증상l
결혼 7가지원칙
l배우자사별/재혼l이혼12단계회복l이혼회복방송

결혼 7가지 원칙


아주 훌륭한 결혼생활에서는 남편과 아내는 말, 행위, 기호 등에 서로 깊은 의미와 감각(Sense of meaning)을 나눌 수 있다.
그래서 결혼은 친구사이와 같이 그냥 어울리(Getting along)는 것과는 다르다!

부부는 상대 배우자의 희망과 포부(Hopes & aspirations)도 지원해 주며~
함께 살아가는 삶의 목적 감각을 구축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부부는 상호 존중하고 존경(Honoring & respecting) 해야만 원만한 결혼 생활을 할 수 있다!

행복한 결혼생활 7가지 원칙


다음은 고트먼 박사가 제시한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7가지 원칙들" 이다.

1
당신 애정지도의 질을 높여라
(Enhance your love maps)
2
상대편 배우자를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도록 당신의 마음을 양육시켜라
(Nurture your fondness and admiration)
3
등을 돌리는 대신에 서로 가깝게 마주대해라
(Turn toward each other instead of away)
4
상대방 파트너로 하여금 당신에게 영향을 미치게 허용해라
(Let your partner influence you)
5
당신이 해결 가능한 문제들은 해결해라
(Solve your solvable problems)
6
정체상황을 극복해라
(Overcome grid lock)
7
함께 나눌 수 있는 인생에 의미 있는 일을 만들어봐라
(Create shared meaning)

첫 번 원리 - 당신 애정지도의 질을 높여라!
(Enhance your love maps)

상대 배우자가 기뻐하는 일, 좋아하는 일, 싫어하는 것, 무엇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지 등을 알지 못하면~ 무관심한 부부 사이가 되어버려서... 결혼 생활이 원만해지지 못한다. 그래서 애정지도가 필요하며, 애정지도는 결혼생활이 폭풍에 휩쓸렸을 때에도 잘 견뎌낼 수 있는 강력한 힘이 되어 준다는 의미이다.

두 번째 원리 - 배우자를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도록 당신의 마음을 양육시켜라!
(Nurture your fondness and admiration)

배우자를 좋아하고 감탄하는 마음이 있으면, 비록 의견이 어긋나고 모욕적인 말이 더러 있어도 상대방에게 화를 내는 일이 적어지므로~ 상대편 배우자로부터 칭찬거리를 찾아내서...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기르라는 의미이다.

셋째 원리 - 등을 돌리는 대신에 서로 가깝게 마주대해라!
(Turn toward each other instead of away)

부부 사이가 원만해지는 진짜 비결은 일상의 평범한 일에서도... 상대방과 진지하게 마주대하는 데 있으므로~ 자꾸 상대방에게서 달아나지 말고 진심으로 대하며 대화를 나누라는 의미이다.

넷째 원리 - 파트너로 하여금 당신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허용해라!
(Let your partner influence you)

아내들은 뭔가를 결정할 때 남편이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귀담아 들어주기를 원하는 반면에... 남편들은 아내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경향이므로~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의견을 존중하라는 의미이다. 실제로, 남편이 아내의 의견을 들어주지 않는 부부는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부부보다 4 배나 이혼율이 높다.

다섯 번째 원리 - 당신이 해결 가능한 문제들은 해결해라!
(Solve your solvable problems)

부부 당사자 간의 문제보다는... 의외로 직장 스트레스, 친척 간에 갈등, 가사일, 금전문제, 자녀 양육 등으로 결혼생활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해결 가능한 문제는 두 사람이 서로 해결을 해서 안전한 결혼생활 기반을 유지하라는 의미이다.

여섯 번째 원리 - 정체상황을 극복해라!
(Overcome grid lock)

종교 문제든 사소한 습관 문제든~ 심각한 갈등은 상대방에게 이해나 존경을 받지 못한다는 징조이다. 서로 상대 배우자의 이상(Dreams)을 이해하려고 하는 부부도 있고, 비웃는 부부도 있을 것이다. 갈등과 반목을 계속하기 보다는 타협을 해서 막다른 정체상황을 극복해야 좋다는 의미이다.

일곱 번째 원리 - 함께 나눌 수 있는 인생에 의미 있는 일을 만들어봐라!
(Create shared meaning)

단지 아이를 키우고, 가사를 돕고, 성생활을 하는 것만이 결혼생활의 다가 아니라는 것 이다. 결혼은 둘이서 만들어나가는 내면적인 삶이어서, 정신적인 측면도 중요하다. 즉, 함께 인생의 의미를 나누어 공유할 때에 관계성은 더 깊어지게 마련이라는 의미이다.

1. "당신 애정지도의 질을 높여라"의 의미와 중요성(Enhance your love maps)

1
당신 애정지도의 질을 높여라 (Enhance your love maps)

고트먼 박사는 주로 Dr. Rory 라는 한 소아과 의사부부의 상담사례를 예로 들면서 설명을 하였다.

소아과 의사는 병원에서 유모와 재치가 있는 유능한 의사로 알려졌지만, 1 달에 20일 정도는 병원에서 잠을 자고, 집에 들어가는 날은 10일 정도만 되어서~ 자녀들의 친구이름이나, 아내가 키우는 애완용 강아지 이름을 모르며, 집에 뒷문이 어디에 있는지 조차도 모를 정도로~ 남편과 아내가 정서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사례를 들어서... 애정 지도(Love maps)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왜, 소아과 의사는 가정이나 아내에게 무관심해 졌을까? 이런 경우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이 소아과 의사의 머리 안에는 온통 자신의 병원 일들에 관한 사항들만 가득해서... 아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관심이 있는 가에는 전혀 관심을 쏟을 수가 없는 경우이다.

행복한 결혼 생활을 위해서는 부부간에 서로 상대편 배우자가~

  • 기뻐하는 일들(Joys)은 무엇이고,
  • 무엇을 두려워(Fear) 하고,
  • 좋아(Likes)하며,
  • 어떤 상황들로 스트레스(Stresses)를 받으며,
  • 무엇을 싫어(Dislikes) 하는 지 등을 알고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정서적지능이 풍부한 부부일수록 파트너의 관심분야나 마음을 더 잘 이해 할 수 있기 때문에...

고트먼 박사는 “당신 애정지도의 질을 높여라(Enhance your love maps)”를 행복한 결혼 생활의 첫번 원리로 삼은 것이다. 즉, 상대편 배우자가 추구하는 삶에 관련된 정보들(Relevant information)을 뇌(Brain) 안에 수록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부부는 서로 상대편의 경력과 생각하는 사항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가령, 남편이 아내에게 샐러드를 요청하면~ 아내는 남편이 어떤 드레싱을 좋아하는지도 알아서 함께 서브해야... 사소한 일이 행복한 결혼생활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남편 또한 아내가 늦게 귀가를 하면~ 아내가 즐겨서 시청하는 TV 프로그램을 녹음해 두는 일은 “부부간에 애정지도의 질을 높이(Enhance your love maps)”는 일이 된다. 좋아하는 사항 이외에 서로의 목적(Goals), 두려움(worries), 희망(Hopes) 등에 대해서도 서로 알고 도와줄 수 있어야한다.

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상대편의 관심사항들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진정 사랑한다는 말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애정 지도(Love maps)에 관한 연구 조사

신혼부부들 67%가 첫 아이를 낳은 다음에 결혼생활 만족도가 떨어진 반면에... 33%는 별 차이가 없다고 했으며, 이들 중에 절반은 전보다 결혼 생활이 오히려 향상되었다는 말들까지 했다.

이 조사에서 첫아이가 태어난 다음에 결혼생활 만족도에 이상이 없거나 더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33% 부부에게서는~ 서로 "세부적인 애정지도(Detailed love maps)"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결혼생활 만족도가 떨어진 67%는~ 평소에 "세부적인 애정지도(Detailed love maps)"를 갖고 있지 못했었기 때문에... 자연 아기가 태어나면서 아내의 관심이 자녀에게 더 쏠리게 마련이었고, 가사 일 증가로 스트레스가 많아져~ 갈등이나 스트레스 상황을 제대로 대처할 수 없어, 변화된 상황에 대해 부부간에 서로의 감정이나 생각(Feeling & thinking)을 간파하지 못하는 점들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일은 자녀 양육뿐만 아니라 직업상실, 질병, 또는 은퇴와 같은 주요 삶의 변화에도 똑 같이 적용되었다. 부부간에 서로를 더 잘 알고 이해할수록~ 삶의 변화나 위기에 대처하기가 더 수월한 것이 발견 되었다.

애정지도 자가점검 20가지 질의문
(Love Maps 20 Questionnaire )

다음은 고트먼 박사가 제시한 20가지 질의문이다. 다음 각 질문에 정직하게 그렇다(True) ___, 아니다(False)___로 답변해 보시기 바란다.

1
나는 파트너의 가장 친한 친구들의 이름을 댈 수 있다
(I can name my partner"s best friends)
2
파트너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스트레스가 무엇인지를 말할 수 있다
(I can tell you what stresses my partner is currently facing)
3
나는 최근 내 파트너를 괴롭힌 사람들의 이름을 댈 수 있다
(I know the names of some of the people who have been irritating my partner lately)
4
나는 파트너의 인생 꿈이 무엇인지를 말할 수 있다
(I can tell you some of my partner's life dreams)
5
나는 파트너의 종교적 신념과 이상들을 아주 잘 알고 있다
(I am very familiar with my partner's religious beliefs and ideas)
6
나는 삶에 대한 파트너의 기본 철학을 말할 수 있다
(I can tell you about my partner's basic philosophy of life)
7
나는 파트너가 가장 좋아하지 않는 친척들의 명단을 댈 수 있다
(I can list the relatives my partner likes the least)
8
나는 파트너가 좋아하는 음악을 알고 있다
(I know my partner's favorite music)
9
나는 파트너가 좋아하는 3편의 영화제목들을 댈 수 있다
(I can list my partner's three favorite movies)
10
내 배우자는 현재 내가 격고 있는 스트레스를 잘 알고 있다
(My spouse is familiar with my current stresses)
11
내 파트너의 생애에서 가장 특별했던 3 번의 시기들을 알고 있다
(I know the three most special times in my partner's life)
12
파트너가 어려서 겪었던 가장 심한 스트레스 사항을 말할 수 있다
(I can tell you the most stressful thing that happened to my partner as a child)
13
나는 내 파트너의 주요 인생 포부와 희망 목록을 댈 수 있다
(I can list my partner's major aspirations and hopes on life)
14
나는 내 파트너의 현재 주요 근심사항들을 알고 있다
(I know my partner's major current worries)
15
내 배우자는 누가 내 친구들 인지를 알고 있다
(My spouse knows who my friends are)
16
나는 내 파트너가 갑자기 복권에 당첨되면 무엇부터하고 싶어하는 지를 알고있다
(I know what my partner would want to do if he or she suddenly won the lottery)
17
파트너와 처음 만났을 때 그의 첫 인상을 상세히 이야기 할 수 있다
(I can tell you in detail my first impressions of my partner)
18
나는 주기적으로 파트너에게 현재 그의 세계관을 묻는다
(Periodically I ask my partner about his or her world right now)
19
나는 파트너가 나를 아주 잘 알고 있다는 느낌이다
(I feel that my partner knows me pretty well)
20
내 배우자는 나의 희망과 포부를 잘 알고 있다
(My spouse is familiar with my hopes and aspirations)

점수 종합 평가 방법
(그렇다(True) ___ 아니다(False)___)

먼저, 20가지 질문 중에~
True (그렇다)고 답변을 한 것이 몇 개인지를 점검하십시오.
그리고 “그렇다”고 답변을 한 각 답변에 1 점을 매겨서... 합산을 하십시오!

  • 10점 이상(10 or above) 이면~
    결혼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애정지도를 갖고 있다고 본다. 즉, 10점 이상이면 상대편 배우자의 희망, 두려움, 이상 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있어서 배우자를 제때 이해하고 관심을 써 줄 수 있어 원만한 결혼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의미다.

  • 10점 미만인 부부들은~
    서로 상대편 배우자의 내면을 잘 모르고 있고, 알려고 노력도 해 보지 않은 부부이다. 그래서 원만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아니다(False)” 라고 답변을 한 질문 사항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20번째 질문 - “내 배우자는 나의 희망과 포부를 잘 알고 있다.”“아니다(False)” 라고 답변을 했으면...
    배우자의 희망과 포부를 더 알수록 부부간의 관계성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애정지도 20 가지 질문 게임
(The love map 60 questions game)

채점 방법

“당신 자신을 아는 것이 당신을 사랑하는 것이다(To know You is to love You)"는 노래가사처럼.... 부족한 애정지도 부분들을 채워나가는 노력을 해야만 한다. 고트먼 박사는 상대편 배우자의 내면을 더 알게 하기 위해한~ 애정지도 20가지 질문 게임(The love map 60 questions game)을 제시했다.

  • 먼저, 종이와 볼펜을 준비하고~종이에 1번부터 20번 질문번호를 기재해서, 해당번호 질문에 옆에다 질문 끝에 부여된 1~4 까지의 점수를 적으십시오.

  • 본인이 직접 해도 되고~
    한 배우자가 다른 배우자에게 20가지 질문들을 물어보고 나서...
    상대편 배우자에게 다시 질문을 하게하여 본인도 답변을 해 볼 수 있다.

  • 질문을 하는 배우자는 답변을 하는 배우자의 말이 맞으면~ 그 질문 끝에 부여된 점수를 상대편 배우자에게 주고, 자신에게는 1 점을 매기십시오.

  • 만약 상대편 배우자가 질문에 바른 대답을 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양쪽 모두는 그 질문에 대해서 0 점으로 처리하십시오.

이상과 같이 20가지 질문을 서로 다 주고받은 다음에....
종합된 숫자가 더 높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입니다.


애정 지도 20 가지 질의문

 
질문 내용
점수
1
가장 가까운 내 친구 두 명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Name my 2 closest friends)
2 점
2
우리들이 처음 만났을 때에 내가 무슨 옷을 입고 있었나요?
(What was I wearing when we first met)
3 점
3
나의 취미 중에 하나를 말해 보십시오!
(Name one of my hobbies)
3 점
4
요즘 내가 겪고 있는 스트레스는 무엇입니까?
(What stresses am I facing right now)
4 점
5
내가 어제 오늘 했던 일들을 자세히 설명해 보십시오!
(Describe in detail what I did yesterday and today)
4 점
6
내가 좋아하는 꽃은 무엇입니까?
(What is my favorite flower)
2 점
7
나를 성적으로 동하게하는 사항은 무엇입니까?
(What turns me on sexually)
3 점
8
내가 좋아하는 색깔은 무엇입니까?
(What is my favorite color)
1 점
9
내가 가장 좋아하는 선물종류는 무엇입니까?
(What kind of present would I like best)
2 점
10
내가 마음을 가라앉히기 좋아하는 방법중 하나를 대십시오!
(What is one of my favorite ways to be soothed)
4 점
11
나의 주요 라이벌이나 적중에 한 사람을 대십시오!
(Name one of my major rivals or enemies)
3 점
12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do I fear the most)
4 점
13
내가 친척 중에 제일 싫어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Who is my least favorite relative)
3 점
14
나는 어느 분야의 책들을 가장 읽기를 좋아합니까?
(What kind of books do I most like to read)
3 점
15
나는 잠자리에서 침대 어느 쪽을 더 선호합니까?
(Which side of the bed do I prefer)
2 점
16
요즘 나의 관심사나 근심 중에 한 가지를 말해보십시오!
(Name one of my concerns or worries)
4 점
17
내가 가장 경애하는 두 사람들의 이름을 말해 보십시오!
(Name two of the people I most admire)
4 점
18
내가 가장 무안해 했던 순간은 무엇이었습니까?
(What was my most embarrassing moment)
3 점
19
내가 어떤 의료적인 문제들로 고민을 하고 있습니까?
(What medical problems do I worry about)
2 점
20
내게 비밀스런 야망이 있는 것 같습니까? 그 비밀 야망은 무엇입니까?
(Do I have a secret ambition? What is It)
4 점

누가 이겼습니까?

* 당신의 점수는 몇점 입니까? ____ 점

* 배우자의 점주는 몇점 입니까? ____ 점

명심할 사항들

부부간에 이러한 질문게임을 자주 하면 할수록 애정지도(Love map)의 개념을 더욱 이해 할 수 있어서... 상대편 배우자에 대한 정보들을 당신의 뇌리에 더 저장할 수 있어~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제 애정지도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셨으므로... 부부간에 서로 일상생활에서 그 원리들을 적용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좋다.

머릿속으로만~ 또는 생각만으로 애정지도를 갖고 있어서는 안 된다. 그 내용들을 종이에 기재해해서, 너무나 오래되어 현재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한지 여부도 점검하며... Update 해야 한다. 즉, 애정지도에 대한 필기실습(Written exercise)을 해야 좋다.

그리고 배우자간에 서로 충고를 해주게 하고~ 받아들이는 것이중요하다. 애정지도의 근본목적은 상대편 배우자를 더 경청해서 알아가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Who I want to become)

삶의 환경이나 단계에 따라서 부부는 변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결혼 5년, 10년 후에는 결혼 서약(Wedding vows)을 했던 때의 그 사람들이 될 수 없다. 그래서 부부간에 서로 자신의 내면은 물론 상대편의 내면세계(Inner world)를더 이해할수록 관계성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또, 부부간에 서로 도움을 더 주고받을 수 있기 위해서는... 앞으로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를 배우자로 하여금 알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들 모두는 자신이 원하는 사람으로 되기를 바랄 것이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악마와 싸우거나 애로점들을 극복해야만 할 것이다.

Gottman 박사는 다음과 같이 8 가지로 해볼 것을 권면한다.

1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의 모습을 기술해라!
(Describe the person you want to become)
2
그런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당신이 어떻게 최선을 다해서 도울 수 있을까?
(How can you best help yourself become that person)
3
그런 사람이 되기 위해서 이미 직면해온 장해사항들은 무엇인가?
(What struggles have you already faced in trying to become that person)
4
당신 자신의 어떤 악마나 장애사항과 대항해야 하나?
(What demons in yourself have you had to fight? Or still have to fight?)
5
당신 자신의 어느 부분을 가장 변화하고 싶은가?
(What would you most like to change about yourself?)
6
당신이 품은 꿈과 이상 중에 어느 것이 거부되었거나 실패되었습니까?
(What dreams have you denied yourself or failed to develop?)
7
앞으로 5년 이내에 당신의 삶이 어떻게 되기를 바랍니까?
(What do you want your life to be like in 5 years?)
8
당신은 어떤 사람이라는 말을 듣고 싶습니까?
(What is the story of the kind of person you would like to be?)
  • 상대편 배우자에 대해서 더 알고 내면을 나누는 일은~
    결혼생활 동안 평생작업과정(Life long process) 이다.

  • 그래서 앞으로 소개해 드릴 7가지 결혼생활 원리 중에 나머지 6 가지들을 이행하면서도... 이애정지도 학습을 자주 해야 좋다.

  • 사람들이 새해를 맞으면서.... 금연이나 단주와 같이~ 자신이 변화되고 싶은 사항들에 “새해 결심(New year's resolution)"들을 많이들 하지만... 몇 주가 지나면 그 결심이 흐지부지되기가 쉽다. 우리들도 오늘 애정지도의 필요성과 변화에 대해서 많이 알았지만... 과거 습관으로 되돌아가기가 쉽다.

  • 변화를 성공시키기 위한 비밀은... 우리들이 변화를 해낼 수 있는 능력이(Our ability to make a change) 있음을 "인정하고 신뢰(Recognize & trust)" 하는 것이다. 우리들에게는 새로운 변화에 대한 능력이 있음을 알고, 변화할 수 있는 내적 잠재력(Inner potential)을 활용해서, 우리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를 축구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우리들의 변화 능력을 신뢰하고, 실제로 변화기적이 가능한 것처럼 행동을 하면 된다.

사람들은 물위를 걸어 다녀야만 기적으로 압니다만....
부부가 평화롭게 결혼생활을 잘 해 내는 것은 더 큰 기적이다!

2. 부부의 정서적 뱅크 어카운트 (Couple"s Emotional bank account)

2
상대편 배우자를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도록 당신의 마음을 양육시켜라
(Nurture your fondness and admiration)
3
등을 돌리는 대신에 서로 가깝게 마주대해라
(Turn toward each other instead of away)

두 번째 원리 - 배우자를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도록 당신의 마음을 양육시켜라
(Nurture your fondness and admiration)

1달에 20일은 병원에서 잠을 자는 ~
일 중독자인 소아과 의사 Dr. Ro의 가정읋 다시 살펴보자.

아내는 남편에게 여러번 졸라서 일년에 한번뿐인 크리스마스이브를 가족 모두가 멋있는 곳에 가서 하루 저녁을 보내기로 했다. 그래서 아내는 약속대로 자녀들을 데리고 여행에 필요한 짐을 챙겨서... 병원 대기실로 남편을 찾아갔다.

남편은 마지못해서 약속은 했지만... 크리스마스이브 여행을 떠나기 위해 병원으로 찾아온 아내와 자녀들을 대하는 얼굴 표정은 마치 화가 난사람 같아 보였다.

이들 부부가 병원대기실에서 이야기를 주고받는 동안에... 한 인턴으로부터 남편에게 전화가 왔다. 남편이 전화를 받는 모습은 180도 다르게 음성이 부드럽고... 얼굴에 웃음이 가득했다. 그리고 전화가 끝나자마자... 다시 아내에게 화난표정으로 금방 안면을 바꾸었다!

이런 남편의 이중적인 모습을 목격한 아내는... 남편은 원래 전화를 받았을 때와 같이 친절한 사람인데도~ 아내 한테는 못마땅한 인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다시 짐을 들고 자녀들과 함께 집으로 돌아왔다.

이런 일이 있은 다음에.... 아내는 남편 없이 혼자서 나가돌아다니기를 시작했고.... 급기야 이를 안 남편은 이혼을 요구해서, 이 부부는 결혼생활 상담을 받게 되었다. 다행히 이들은 근본적으로 서로 좋아하는 감정과 데이트 시에 좋은 추억들이 남아 있어서... 2년 후에는 다시 관계가 좋아져서 이혼을 피할 수 있었다.

어떻게 해서 부부관계가 개선 되었을까?

남편은 병원 레지던트들을 교육시켜~ 그들에게 더 근무하도록 해서... 자신의 병원 근무시간을 스스로 조정하고부터, 매일 아내와 자녀들과 함께 저녁식사를 하게 되었다.

비록 부부간에 갈등이 생겨도~ 서로 근본적으로 좋아하는 감정(Fondness)과 감탄하는 감정(Admiration) 2 가지만 있어도... 부부간에 관계가 개선되어~ 이혼을 막을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어떻게 좋아하고 감탄해 줄 수 있는 시스템(Fondness & admiration system)이 부부간의 관계성을 증진시켜줄까?

한마디로 과거에 좋았던 점들을 되돌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부부간에 어떤 일로 갈등이 있게 되면.... 아무리 과거에는 좋았어도~ 현재에는 그렇게 잘 할 수가 없다.

그러나 결혼생활 상담자의 도움으로 지난날 좋았던 사항들에 초점을 두게 되면서 부터는 현재의 악화된 관계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Gottman 박사는 결혼생활에서 지난날 좋았던 점들을 적극적으로 회전(Positive spin)시켜서 생각할 수 있는 부부들의 94%가 이혼으로는 가지 않는다고 한다.

사실 결혼이후에도 좋아하고 감탄하는 일은 부부관계를 유지하는데 핵심이며, 이들 감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인식하지 못해서 양육하지 못하면.... 마치 부부관계성은 유리컵모양 깨어지기가 쉽다.

부부가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는 자체는 부부간에 흔히 있을 수 있는 “경멸감에 대한 해독제가(Antidote to contempt)” 될 수 있다. 그래서 Fondness와 Admirations은 부부간에 흔히 생길 수 있는 4 가지 갈등 사항들을 예방시켜 준다.

결혼 생활에서 아무리 존중과 존경(Honor & Respect)이 중요해도... 근본적으로 Fondness와 Admirations 이 없으면~ 존중과 존경은 이루어 질 수 없기 때문에 부부간에 Fondness와 Admirations 이 없는 결혼 생활의 미래는 어둡기만 하다.

Fondness 및 Admirations 점검 20가지 질의문

Gottman 박사는 부부가 현재의 결혼 생활에 얼마나 좋아하고 감탄하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는 20가지 질의문을 만들어 제시했다.

다음 20가지 질의문들의 각 질문에...
그렇다(True) ____ 아니다(False) _____ 로 답변 해 보십시오.

1
나는 파트너에 대해 가장 감탄하는 3가지 사항을 바로 댈 수 있다
(I can easily list the 3 things I most admire about partner)
2
서로 떨어져 있을 때는 종종 내 파트너를 좋아한다는 생각을 한다
(When we are apart, I often think fondly of my partner)
3
내 파트너에게 “사랑한다”는 표현을 하는 내 자신을 자주 발견한다
(I will often find some way to tell my partner "I love you")
4
나는 종종 파트너와 신체적 접촉, 또는 키스로 애정을 표현한다
(I often touch or kiss my partner affectionately)
5
내 파트너는 실제로 나를 존중 한다
(My partner really respects me)
6
현재 부부 관계성에서 사랑과 돌봄을 받고 있는 느낌을 받고 있다
(I feel loved and cared for in this relationship)
7
나는 내 파트너가 나를 받아들여주고 좋아하는 것을 느낀다
(I feel accepted and liked by my partner)
8
내 파트너는 나에게서 성적매력을 발견 한다
(My partner finds me sexy and attractive)
9
내 파트너는 나를 성적으로 동하게 해 준다
(My partner turns me in sexually)
10
현재 부부 관계성에 흥분감과 열정을 느낀다
(There is fire and passion in this relationship)
11
분명 우리 둘만의 관계성에는 아직도 연애감정이 있다
(Romance is definitely still a part of our relationship)
12
나는 내 파트너를 아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I am really proud of my partner)
13
내 파트너는 나의 성취감과 달성을 아주 좋아 한다
(My partner really enjoys my achievements and accomplishments)
14
나는 파트너와 결혼한 이유를 선뜻 말 할 수 있다
(I can easily tell you why I married my partner)
15
만약 내가 삶을 다시 태어나도 현재 파트너와 다시 결혼 할 것이다
(If I had it all to do over again. I would marry the same person)
16
우리는 사랑행위나 애정표현 없이 바로 잠을 자는 경우는 거의 없다
(We rarely go to sleep without some show of love or affection)
17
파트너는 내가 침실로 들어가면 나를 반기며 기뻐한다
(When I come into a room, my partner is glad to see me)
18
내 파트너는 결혼생활에서 내가 해준 일들에 감사해 한다
(My partner appreciates the things I do in this marriage)
19
내 배우자는 대체로 나의 성격을 좋아 한다
(My spouse generally likes my personality)
20
우리들의 성적 생활은 대체로 만족한 편이다
(Our sex life is generally satisfying)

답변 내용 종합 방법

과연 여러분은 Fondness 및 Admirations 20가지 질의문 중에~
몇 가지에 Yes 라고 대답하셨습니까? _____ 개

“그렇다(True)”고 대답을 하신 질문들에 1 점씩을 메기십시오.
즉 15개에 그렇다고 답변을 하셨으면 15 점이 됩니다.

답변 내용 평가 방법

* 합계점수가 10점 이상인 사람들

이들은 결혼생활을 원만히 잘 하고 있는 부부들로, 간혹 부정적인 요인들이 있어도 근본적으로는 좋아하고 감탄하는 감정 때문에 결혼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
다.

하지만 결혼 초에, 또는 지금은 Sweet 한 결혼 생활을 하는 것 같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부부간에 “좋아하고 감탄하는 그 정도가” 줄어들기가 쉽기 때문에 결혼 생활에서 배우자를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다는 것은 귀여움을 받을 수 있는 축복의 선물(Gift) 이다.

사랑하는 마음이 식어질 때에는 Fondness와 Admirations 20가지 질의문을 다시 점검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 합계점수가 10점 미만인 사람들

비록 10점 이하라고 해도 결혼생활이 아주 나쁘다고는 말할 수 없으므로... 실망하지 말아야 한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좋아하고 감탄해 줄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다만 부정성, 상처받은 감정, 또는 배신감 등으로 그 감정이 가려져 있을 뿐이다. 그래서 마음내부 깊숙이 묻혀있는 파트너를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는 긍정적 감정들을 개발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부부생활서 Fondness 및 Admirations 이 필요하다는 사실만 인식을 해도 좋아지는 경우가 있다. 결혼 생활을 오래 행복하게 영위하려면... 파트너를 좋아하고 감탄할 수 있어야만 한다.

부부간에 서로 좋아하고 감탄하는 감정이 있으면~ 부부간 관계성을 악화시키는 멸시(Contempt)는 하지 않게 되어... 갈등도 적어진다.

셋째 원리 - 등을 돌리는 대신에 서로 가깝게 마주대해라
(Turn toward each other instead of away)

이혼을 했거나, 함께 살고 있어도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하고 있다면...
부부간에 등을 돌려서(Turn away)~ 즉, 부부간에 감정연결(Connection)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내가 남편을 쳐다보지 않을수록 남편은 아내의 이야기를 경청하지 않게 마련이다. 입장이 반대가 되어도 그렇기는 마찬가지이다.

반면 매일 매일의 삶을 살아가는데... 아내는, 또는 남편은 상대편 배우자로 하여금 얼마나 소중하고 가치가 있게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게 할수록 부부간에 연결성은 더욱 생생(Alive) 해지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부부가 슈퍼마켓에 함께 갔을 때에 아내가...

  • “아마 집에 세탁비누가 다 떨어지지 않았나요?”

하는 말을 했을 때에~
남편이 아내의 말을 무시하거나 무감각하게 듣지 않고...

  • .“나도 잘 모르겠는걸! 그럼, 만약을 대비해서 하이타이를 사갑시다!”

하는 반응을 보이면 아내의 마음에 사랑 감정이 더욱 생겨나게 마련이다.

또, 파트너가 직장에서 기분 상한 일이 있을 때에는... 단 몇십 초간만이라도 짧은 격려전화를 해주거나... 문자 메시지를 남기는 것도 사랑 감정형성에 도움이 된다.

아침 출근 길에 남편과 아내와의 대화

간밤에 잠을 설친 아내는 가방을 들고 막 출근을 하려고 구두를 신고 있는 남편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 “여보! 나 간밤에 아주 무서운 꿈을 꾸느냐고 잠을 제대로 못 잤어요!”

이 말을 들은 남편은

  • “나 지금 당신 이야기 들을 시간 없어! 출근해야해! 개꿈아냐?”

하며 출근을 하기 보다는~

  • “나 지금 출근시간 때문에 무척 바쁘거든~ 지금 꿈 줄거리만 대충 이야기를 들려주면... 회사에서 생각해보고 퇴근해서 자세히 이야기 해 줄께!”

하는 대답은 “서로 마주대하라(Turn toward each other)”에 해당된다.
이렇게 부부가 등을 돌리는 대신에 “마주 대하는 일(Turning toward)”은 정서적 연결(Emotional connection)은 물론... 로맨스(Romance), 열정(Passion), 훌륭한 성적 생활(Good sex life)에도 기본이다.

고트먼 박사는 "정서적 은행 어카운트(Emotional bank account)" 라는 용어로 ... 등을 돌리는 부부와 얼굴을 마주하는 부부의 각기 다른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즉, 서로 마주하는 부부는 정서적 은행 어카운트에 정서적 머니를 저축하지만~ 등을 돌리는 부부는 정서적 어카운트에 저축을 못한다는 것이다

로맨스 테스트(Romance test) 자가 점검 질의문

정서적 저축이 충분하면 부부간에 심각한 갈등이 생겨도, 평소에 쌓아온 정서적 저축이 하나의 완충제(Cushion)가 되어서, 별거나 이혼과 같은 고비를 무사히 넘길 수 있다.

다음 로맨스 테스트(Romance test) 자가 점검 질의문 20가지로~

  • 부부가 지금 등을 돌리고 있는지?
  • 아니면 마주 대하고 있는지? 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각 질문에 정직하게 그렇다(True) ____ 아니다(False) ____로 답변을 하시기 바랍니다.

1
부부가 함께 빨래를 개거나 TV를 시청하는 등 사소한 일들을 서로 즐겨한다
(We enjoy doing small things together, like folding laundry or watching TV)
2
나는 자유 시간이 나면, 으레 파트너와 함께 시간을 보내려고 한다
(I look forward to spending my free time with my partner)
3
내 파트너는 하루 일과를 마친 나를 반겨준다
(At the end of the day my partner is glad to see me)
4
내 파트너는 통상 관심을 갖고 내 견해를 듣는다
(My partner is usually interested in hearing my views)
5
나는 정말 내 파트너와 여러 가지 일들을 의논하기를 좋아 한다
(I really enjoy discussing things with my partner)
6
내 파트너는 나의 가장 친한 친구 중에 한 사람이다
(My partner is one of my best friends)
7
파트너가 나를 아주 가까운 친구로 여기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I think my partner would consider me as a very close friend)
8
우리들은 서로 그냥 이야기하기를 좋아 한다
(We just love talking to each other)
9
우리 부부가 함께 외출을 했을 때는 사간이 너무나 빨리 간다
(When we go out together, the time goes very quickly)
10
우리들은 항상 서로 이야기할 거리가 많다
(We always have a lot to say to each other)
11
우리들은 함께 재미나는 일을 많이 한다
(We have a lot of fun together)
12
우리들은 영적으로도 아주 잘 맞는다
(We are spiritually very compatible)
13
우리들은 동일한 기본적인 가치관을 서로 나누는 경향이다
(We tend to share the same basic values)
14
우리들은 같은 방법으로 함께 시간을 보내기를 좋아 한다
(We like to spend time together in similar ways)
15
우리들은 실로 공통관심사들을 많이 지니고 있다
(We really have a lot of common interests)
16
우리들은 이상과 목표에서 많은 것이 같다
(We have many of the same dreams and goals)
17
우리들은 같은 일들을 많이 하고 싶어 한다
(We like to do a lot of the same things)
18
비록 서로 관심사항이 약간 달라도, 나는 파트너의 관심사항도 즐긴다
(Even though our interests are somewhat different, I enjoy my partner's interest)
19
무슨 일을 함께 하든, 통상 우리들은 기분 좋게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다
(Whatever we do together, we usually tend to have a good time)
20
내 파트너는 그날 기분 나빴던 일들을 나에게 말 한다
(My partner tells me when he or she has had a bad day)

Romance Test 답변 종합 방법

과연 여러분은 Romance Test 20가지 질의문 중에~
몇 가지에 Yes 라고 대답하셨습니까? _____ 개

“그렇다(True)”고 대답을 하신 질문들에 1 점씩을 메기고,
전부 몇 점이나 되는지를 종합해 보십시오.

Romance Test 내용 평가 방법

* 합계점수가 10점 이상인 사람들

20가지 질의문 중에 10개 이상에 그렇다고 대답한 사람은 아주 훌륭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평소에 함께 빨래를 개고, 쇼핑을 같이 하며, 직장에서 집에 전화를 거는 등~ 평소에 풍부한 정서적 은행 어카운트(Hefty emotional bank account)를 저축해 와서... 마음과 정신이 연결된 부부생활을 해 왔기 때문이다.

이런 충만한 정서적 은행 어카운트는 더러 기분이 나쁘고 힘든 시기가 있거나, 또는 삶에 큰 변화가 닥쳐도... 갈등이나 위기를 잘 극복해서 변함없이 사랑을 나눌 수 있게 한다.

* 합계점수가 10점 미만인 사람들

종합한 점수가 10점 미만인 사람들은 “아니다(False)” 라고 답변한 사항들에 개선이 필요하다. 즉, 서로 마주대하기에 노력을 해야만... 안정되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게 될 것이고, 상대편 배우자가 말하는 것을 더 경청해서 반응을 보일수록~ 결혼 생활이 조금씩 나아질 것이다.

결혼생활 밖에서 오는 스트레스 대처의 중요성

한 연구조사에 의하면 행복한 부부들에게서는 거의 모두가 상대편 파트너를 위하려는 긍정적인 면들이 발견 되었지만...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는 부부들의 절반(50%)은 상대편 파트너의 사랑의도(Loving intentions)를 경시하는 것이 발견 되었다.

부부가 하루 일과를 마치고 저녁에 집에서 함께 만난 시간에... 그날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를 서로 대화하는 것은 결혼생활이 아닌 다른 문제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아주 효과적 이다.

Washington 대학의 Neil Jacobson 박사는 불행한 결혼 생활의 재발은 주로 결혼생활이외의 문제에서 받은 스트레스가 발단이 되어서... 부부간에 갈등으로 비화되어~ 결혼생활이 악화됨으로... 평소 결혼생활 이외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잘 대처해야만 원만한 결혼 생활도 가능하다는 말을 했다.

처음에는 주에 1 회 정도 30분간 밖에서 스트레스 받은 이야기를 하고... 갈등을 이야기하기보다는~ 상대편 파트너의 입장을 공감해주는 지원(Support)을 해주면 부부간에 감정 이입(感情移入 - Empathy)이 형성되어 부부간에 Turning toward, 즉 마주대하기에도 도움이 된다.

* 감정이입 대화의 예

아내가~
오늘 낮에 동생으로부터 빌려간 돈을 빨리 갚지 않았다고~ 차마 견딜 수 없는 심한 이야기를 들었다는 불만(Complain)을 할 때에...

남편은~
“당신을 그렇게 화 나게 하고 상처를 주었다면 정말 처제가 너무 심했다. 내가 가능한 빨리 그 돈을 값을 수 있도록 마련해 볼게~” 하면 좋을 것이다.

또, 남편이 퇴근 길에 교통경찰로부터 Speed ticket을 받고 몹시 기분 나빠할 때에....

아내가~
“여보! 그런 어처구니없는 일을 당했구나, 그건 정말 내가 봐도 불공평(Unfair) 하다! 뭐 맛있는 거 해줄까!” 하고 말을 하면 위로가 될 것이다.

남편이 직장 상사에게 봉급을 올려달라는 요구를 했다가 거절당한 후에, 앞으로 그 일로 작장 상사가 꼬투리를 잡고 미워하지나 않을 까 걱정하는 남편에게...

아내가~
“정말 당신의 처지와 심정을 100번 이해한다!” 며 위로해 주면 좋다.

이렇게 부부가 서로 존중해주고 존경(Honor & respect) 해주는 무드일 때에는... 비록 마음에 들지 않는 사항이 있어도~ 서로 다른 견해를 받아드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반대로 부부 대화에 공평하지 못하면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은 심해지게 마련이다.

Fondness와 Admirations으로 회복안내에 성공한 사례

중독가족들중에서 평소에 배우자를 좋아(Fondness)하고 감탄(Admirations) 해서... 즉, 서로 가깝게 마주대해서(Turn toward)~
배우자를 회복으로 안내한 실제 사연들이 많다.

한 젊은 부인은 도박문제로 2 달간 뭉치 돈을 들고 집을 나갔던 남편을 우연한 장소에서 만났을 때에~ 부등켜 안고 울면서....

[고생했지. 잘 돌아왔어. 괜찮아!]
이 3 마디밖에 더는 할 말이 없었다고 했다.

그 후 이들 부부는 온라인으로 회복을 시작했고,
3개월 만에.... 남편은 이런 말을 했다.

[옛날에는 가족에게 실망을 주기 싫어서 어떻게든 혼자 해결해 보려고 했지만, 노력 할 수록 미궁으로 빠졌다. 하지만 지금은 가족 모두가 알고 이해해 주니...부담감이 많이 줄었다.
도박하고 돌아온 날 당신이 안아주면서 고생했지. 힘들었지. 괜찮아!
이런 말들을 듣고 “정말 나에게 무언가가 잘못 되었구나” 하는 것을 알았다. 얼마 전까지도 도박을 끊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 체, 다만 빨리 해결해지...하는 생각뿐이었지만 회복 12단계를 이행하면서부터~ 이제, 내 상태를 조금 알기 시작했다!
]

또, 그 남편 분은~
[중독을 이길 수 있는 힘은 강압과 자신의 결심이 아니라...바로 주위의 따뜻한 사랑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는 말을 했고,

아내 분은~
[12단계 회복 전에는 문제가 생기면 남편을 추궁하며 지금에 그의 상태를 볼려는 것이 아니라... 나의 분노심을 가라앉히기 위해 .... 남편이 다시는 “도박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의 말을 해주기를 바랬던 것 같습니다. 이제는 중독을 객관적으로 병으로 인정을 하고나니.. 누구를 미워하거니, 원망할 일도 아님을 알았습니다. 중독은 앞으로 우리부부가 함께 싸워나가야 할 상대일 뿐입니다!]

이 부부는 중독으로 처참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 있을 때에...
“고생했지. 잘 돌아왔어. 괜찮아!”
부부간에 이 3 마디의 감정이입(Empathy) 대화가...
남편이 마음을 돌려서 회복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파트너가 당신에게 영향을 미칠수 있게 해라

4
상대방 파트너로 하여금 당신에게 영향을 미치게 허용해라
(Let your partner influence you)

아내의 말을 중요시해서 이익을 본 사례

우리 모두 중고차를 사는 장면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Used Car를 사려고하는 A 씨는 신문광고를 뒤져서 차 종류나 가격이 마음에 드는 광고를 하나 발견하고... 차를 파는 B 씨를 만났다.

차를 사기로 마음먹은 A 씨는 “차 성능 점검”를 하고 나서 구입하겠다는 말을 했고... 차를 파는 B씨는 이 차를 구입한지는 1년도 되지 않아서~ 아직 Full Warranty 가 남아있는 새 차라... 고장에 대해선 아무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만 되풀이 했다.

이들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계속 이어집니다.

  • A 씨 - “아직 Full Warranty가 있는 것은 알지만... 아내와 중고차를 살 때에는 ~받듯이 차 성능검사를 한 다음에 사겠다는 약속을 했거든요...” 하는 말을 했다.

  • 차를 파는 B씨는 좀 시들한 표정으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Full Warranty가 있는 차를 사는데도~ 꼭 아내의 말대로 차성능검사를 해야 합니까?”

  • A 씨 - “그럼 당신은 아내와 상의 없이 차를 구입 하십니까?”
  • B 씨 - “글세요! 전 이혼해서 혼자 살거든요!”
  • A 씨 - “아~ 그러시군요!”

A 씨는 예정대로 차 성능을 검사시켜본 결과... 차 뒷 범퍼가 심하게 받친 적이 있어서 뒤 범퍼를 새로 갈아야 한다며... 견적이 $1500 이 나왔습니다. 차를 파는 B씨가 수리비만큼 가격을 깎아준다고 다시 제의했지만, 차 접촉사고로... 차 얼라인 멘트나~ 다른 곳에도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 A씨는 그 차를 결국 사지 않았다.

하지만 A 씨가 B 씨의 차를 구입하지 않은 것만이 아니라~
A 씨는 B 씨의 “여성에 대한 견해태도(Attitude toward women)”도 사지(Buy)를 않은 것다!

아내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고트먼 박사가 130 쌍의 신혼 부부를 대상으로 8 년간 연구한 결과에서도... 남편이 아내로 하여금 영향을 미치도록 허용한 신혼부부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할 수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가정 중에서는 이혼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통계적으로도 아내의 의견을 존중하지 못한 남편들의 경우는81%가 결혼 파국을 맞았다고 했다.

아마, 남성들 중에서는 왜, 아내가 남편의 말을 잘 들어야 한다는 이야기는 하지 않느냐는 말을 할 것이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부분 아내들은 결정과정에서 남편의 말을 듣는 경향이지만~ 남편들은 아내만큼 아내의 말을 잘 들어주지 않는 경향이라는 것이 여러 연구조사에서 밝혀졌다.

남편이 아내를 존중하면...
아내도 그렇게 저항(Resist)은 하지 않을 것이며, 흔히 아내의 말을 잘 듣지 않는 남편들은 그럴싸한 이유를 대개 마련이다.

고트먼 박사의 실험결과에서도~
아내가 남편에게 자신의 말을 안 들어 준다고 화를 내면...
남편이 “내 말을 더 들어봐!” 하면...
대부분 아내들은 “미안해(Sorry)" 하고 남편 말을 경청하는 편이었다고 한다.

반대로 남편들이 아내와 같은 입장이 된 상황에서는~
남편들의 65%가 아내의 말을 끝까지 경청하지 않아서...
아내들을 더 부정적이거나 화를 나게 만들었다고 했다.

통상 남편들이 아내의 말을 듣지 않을 이때에는~
비난, 멸시, 방어적, 돌 담벽쌓기 등의 수단들을 재빨리 적용하며...
이런 상황에서 아내들은 또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남편에 대한 아내의 반응

“당신은 내 말에 코 방귀도 뀌지 않는 거지!” ~
이 말을 들은 남편은 돌담벽을 쌓아서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거나...
말을 해도... “그래, 당신 말마따나, 난 코 방귀도 뀌지 않는다!” 하고 방어적이거나 “당신은 전혀 말도 되지 않는 말을 하는데... 왜 내가 그런 말에 시간을 낭비해!” 하며 경멸적인 말로~ 부부간에 갈등을 고조시켜서... 남편은 아내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저항할 것이다.

이렇게 남편이 아내의 의견을 받아들이기 보다는 비난, 멸시, 방어적, 돌 담벽쌓기 등으로 아내의 감정을 묵살해 버리면... 결혼생활이 파국으로 될 확률이 81%나 된다고 한다.

물론 아내들도 Four horsemen 갈등들을 야기 하지만~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파트너의 말을 더 잘 받아들이는 경향임으로... 남편들이 더 조심을 해야 한다. 아내의 의견을 잘 받아들이지 않는 남편들은 아내에게 자신이 그런 행위를 하고 있는지를 모르는 경향들이라~ 더 문제가 되기도 한다.

한 조사에서 정서적 지능이 풍부한 남편들은 약 35% 정도 이었으며, 이들은 아내의 이야기를 더 잘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자녀들에게도 훌륭한 아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가정들의 내면변화

지난 30~40년 동안에 참으로 많은 변화가 있어왔습니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바지를 입는 것은 오직 남성의 고유의복으로만 여겼던 적이 있었지만... 오늘 날에는 여성들도 바지를 많이 입고 다닌다.

요즘은 결혼한 주부들의 60%가 직장을 갖고 있어서, 더 이상 남편 혼자서 가족들의 생업을 전담하지는 않는 사회가 되었다. 사실 여성들이 직장을 갖게 되면... 수입이나 경제적 지위가 우세해질 뿐만 아니라~ 자아심(Self-esteem) 또한 상승하게 되어... 남편들은 역할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면에서도 아내를 대하는 태도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예전에는 아내들이 주로 해왔던... 세탁이나 취사, 자녀돌보기 등을 남편들이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인류가 시작된 이래 지난 수세기 동안 남성들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왔고... 아버지는 아들에게 가업을 승계시키는 세습이 있어 와서~ 아직도 일부 남편들은 결혼생활에서 성별역할 개념이 희박해지는 것에 저항을 하기도 하지만, 요즘과 같이 음식물이 풍부하고 많은 여성들이 직장을 갖고 있는 사회에서는 수렵민 채집시대의 남성 역할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남편들은 대신 여성들이 해오던 가사 일들을 분담하게 된 것이다.

이제, 남성들은 남녀 간의 성별문화 변천(Gender cultural transformation)에 어떻게 대처하느냐 하는 결정들을 해야만 한다.

변화 도전에 화를 내기보다는~
변화를 수용해서.... 아내로 하여금 남편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허용해야만 한다!

남편들의 선택

모든 남성들은 현재의 남편상과 앞으로 요구되는 새로운 남편상에 대한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이해해서.... 과거와 같은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남편상을 중단(Stop) 하거나~ 아니면 아내와 갈등을 피하며 문제가 될 사항들은 피해가면서 살아가야 할 것이다.

정이나 아내의 영향력을 받아들일 수 없으면...
결혼생활에서 해소되지 못한 문제들을 대처(Coping with) 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해야만 한다. 행복한 결혼생활의 6 번째 원리 “정체상황을 극복해라(Overcome grid lock)”에서 제시하는 충고들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아내보다는 남편이 더 배우자로 하여금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고, 여성들은 남성보다는 더 배우자의 말을 듣는 경향임으로... 가정에서 남편들이 먼저 마음을 열고 아내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영향 수용 자가점검 질의문

남편은 물론 아내도 다음 20 가지 질의문으로 자신을 점검해보기 바란다.
각 질문에 그렇다 ___, 아니다 ____ 로 대답하십시오.

1
나는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해서는 실제로 배우자의 의견에 관심을 보인다
(I am really interested in my spouse's opinions on our basic issues)
2
비록 부부간에 의견이 상반되어도, 나는 통상 배우자로부터 많이 배운다
(I usually learn a lot from my spouse even when we disagree)
3
나는 파트너가 실제로 나도 포함시켜서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느끼기를 바란다
(I want my partner to feel that what he or she says really counts with me)
4
나는 내 배우자가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싶어 하기를 바란다
(I generally want my spouse to feel influential in this marriage)
5
파트너의 말을 들어 줄 수는 있지만, 단지 어느 한계까지만 그렇다
(I can listen to my partner, but only up to a point)
6
내 파트너는 기본적인 공감대를 많이 지니고 있다
(My partner has a lot of basic common sense)
7
부부간에 의견 일치가 되지 않아도~ 대화를 존중하려고 노력한다
(I try to communicate respect even during our disagreements)
8
만일 내가 계속 파트나를 설득하려고 노력 하면, 결국 내가 이길 것이다
(If I keep trying to convince my partner, I will eventually win out)
9
나는 파트너의 의견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거절하지는 않는다
(I don't reject my spouse's opinions out of hand)
10
내 파트너는 함께 주제들을 진지하게 이야기할 정도로 이성적이지 못하다
(My partner is not rational enough to take seriously when we discuss our issues)
11
나는 우리 부부간의 토의에서 많이 주고받고 있다고 믿는다
(I believe in lots of give and take in our discussions)
12
나는 아주 설득력이 강해서, 통상 내 파트너와의 언쟁에서 이길 수 있다
(I am very persuasive and usually can win arguments with my spouse)
13
부부가 결정을 해야 할 때에는 나도 당연히 할 중요한 말이 있다고 느낀다
(I feel I have an important say when we make decisions)
14
내 파트너는 통상 훌륭한 아이디어들을 갖고 있다
(My partner usually has good ideas)
15
근본적으로 내 파트너는 문제해결사로, 큰 도움이 된다
(My partner is basically a great help as a problem solver)
16
나는 비록 동의 하지는 않아도, 말을 경청하려고 노력한다
(I try to listen respectfully, even I disagree)
17
통상 문제해결에 관한 내 아이디어는 내 배우자보다는 훨씬 낫다
(My ideas for solutions are usually much better than my spouse's)
18
통상 나는 내 파트너의 입장에서 동의할 수 있는 사항들을 찾아 낸다
(I can usually find something to agree with in my partner's position)
19
통상 내 파트너는 대화 시에 너무 정서적으로 치우친다
(My partner is usually too emotional)
20
나야말로 결혼생활에서 주요한 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사람이다
(I am the one who needs to make the major decisions in this marriage)


질문내용 종합 방법

이번 질문 종합은 좀 특이 하다.

  • 첫째는 - 질문 5, 8, 10, 12, 17, 19, 20 질문을 제외한... 나머지 질문들 중에 “그렇다”고 답변한 질문에는 각각 1 점을 매겨서 점수들을 종합하십시오.

  • 두 번째는 - 질문 5, 8, 10, 12, 17, 19, 20 에 그렇다고 대답한 질문들에 1 점씩 매기십시오.

  • 첫째 종합점수에서 두 번째 종합점수를 빼신 것이 종합점수 이다.

답변 내용 평가 방법

* 이렇게 해서 나온 숫자가 6점 이상이면...

6점 이상에 해당하는 배우자는 결혼 생활이 원만한 상태로, 배우자에게 권한을 양보하고 싶어 해서, 결혼생활에서 부부간에 정서적으로 양호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 종합점수가 6 점 미만인 배우자들은~

6 점 미만인 사람들은 상대편 파트너의 영향을 제대로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향임으로... 결혼생활 관계성에서 개선이 필하다. 여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상대편 파트너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일이 올바른 것이라는 것부터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무인도 섬 생존 방법 게임
(Gottman Island Survival Game)

다음은 “Gottman Island Survival Game” 즉, 고트만 박사가 고안해 낸 “무인도 섬 생존 방법 게임” 이다.

* 가상적인 상황

회복참여자 분들은 1,000 여명이 큰 크루스 선박을 타고 여행을 하다가~ 심한 풍랑으로 선박이 침몰되었고... 부부가 함께 손을 잡고 표류되다가~ 구사일생으로 근처 무인도 섬에 단 둘이만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는 가정을 하면서 이 글을 읽어 주십시오!

아내는 몸에 상처가 나서 아프고, 지금 당신은 도무지 망망대해에 어느 지점에 있는지도 모르는 상태이다. 아마, 지금쯤 1,000 여명을 태운 크루스 선박이 침몰되었다는 뉴스가 전 세계에 알려져서... 곧 구명정들이 올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금방, 다시 폭풍이 몰아칠 기세이다.

아무래도 얼마간은 단둘이서 섬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강구하면서 구명자들이 우리들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당신은 상황판단을 했다. 다행히 해안가 근처에는 파손된 선체 일부가 떠 내려와 있었고... 배에서 가져올 수 있는 생필품 목록들은 다음과 같다. 하지만 당신은 그 중에 단지 10 가지 아이템만 들고 올 수 있는 상황이라는 생각을 하십시오!

* 임무 부여

지금부터 여러 분들이 할 임무를 부여합니다.

  • 첫째 - 당신의 임무는 다음 26가지 아이템들 중에서 오직 10 가지만 배에서 섬으로 가져올 수 있다는 가정 하에... 10가지 필요한 목록을 작성하고~ 그 아이템에 중요도에 따라서 A 1, A 2, A3~ A10 까지 우선순위를 메기십시오.

  • 둘째 - 당신이 작성한 목록을 파트너와 함께 나누는 일이다. 파트너와 자세히 의논해서 정확히 10 가지의 우선순위를 메기십시오! 이러한 절박한 순간에 부부가 한 팀이 되어서 나누는 일에서는... 양측 모두가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파산된 선체에 있는 26가지 아이템들

1
갈아입을 수 있는 옷 2벌
(Two changes of clothing)
14취사 스토브와 등불 (Cookstove and lantern)
2
AM-FM 단파 라디오 수신기
(Short wave radio receiver)
152 개의 워키토키 송수신기(Two walkie-talkie units)
3
식수 10 갤런
(10 gallons of water)
16 7일간 먹을 수 있는 냉동건조 음식류 (Freeze-dried good)
4
취사 냄비와 그릇
(Pots and pans)
17갈아입을 수 있는 옷
(One change of clothing)
5
성냥 (Matches)18긴 밧줄 (Long rope)
6
땅을 팔 수 있는 삽 (Shovel)19조명탄 (Flares)
7
캠핑용 배낭 (Backpack)20나침반 (Compass)
8
화장지 (Toilet paper)21콘돔 50개 (Condoms)
9
페니실린 및 기타 응급 처치대 (First-aid kit with penicillin)226발 총알이 장진된 총
(Gun with 6 bullets)
10
2 개의 침낭
(Two sleeping bags)
23인근 지역 지도
(Regional area maps)
11
(Knife)242개의 천막 (Two tents)
12
작은 구명용 고무보트
(Small life raft)
2570ml 위스키 1병
(One fifth whiskey)
13
선탠 크림 (Sun block lotion)26산소 탱크 (Oxygen tanks)

이러한 10가지 품목리스트작성 실습을 마친 다음에는...
부부간에 다음과 같은 10 가지 질문들을 더 나누면서~
과연 “무인도 섬 생존 방법 게임”이 어떠했는 지를 알아보십시오!

  • 첫째 - 당신이 배우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합니까?

    a) 전혀 효과적이지 못했다(Not at all effective)
    b) 효과적이거나 비효과적이지도 않았다 (Neither effective nor ineffective)
    c) 다소 효과적이었다(Somewhat effective)
    d) 아주 효과적이었다 (Very effective)

  • 둘째 - 당신의 배우자가 당신에게 영향을 미치는데 얼마나 효과적이었습니까?

    a) 전혀 효과적이지 못했다(Not at all effective)
    b) 효과적이거나 비효과적이지도 않았다 (Neither effective nor ineffective)
    c) 다소 효과적이었다(Somewhat effective)
    d) 아주 효과적이었다 (Very effective)

  • 셋째 - 두 사람 중에 어느 배우자가 결정을 독단적으로 지배했습니까?

    a) 아주 많이 그랬다(A lot)
    b) 다소 그랬다 (Somewhat)
    c) 약간은 그랬다 (A little)
    d) 전혀 그러지 않았다 (Not at all)

  • 넷째 - 당신은 결정에 참여 할 수 없어서 토라졌었습니까?

    a) 아주 많이 그랬다(A lot)
    b) 다소 그랬다 (Somewhat)
    c) 약간은 그랬다 (A little)
    d) 전혀 그러지 않았다 (Not at all)

  • 다섯째 - 혹 당신의 파트너가 결정에 참여 할 수 없어서 토라졌었습니까?

    a) 아주 많이 그랬다(A lot)
    b) 다소 그랬다 (Somewhat)
    c) 약간은 그랬다 (A little)
    d) 전혀 그러지 않았다 (Not at all)

  • 여섯째 - 당신은 결정하는 과정에 즐거웠습니까? (Did you have fun)

    a) 전혀 즐겁지 않았다(Not at all)
    b) 다소 그랬다 (A little)
    c) 좀은 그랬다 (Somewhat)
    d) 아주 많이 그랬다 (A lot)

  • 일곱 번째 - 당신도 한 팀이 되어서 결정을 했습니까?

    a) 전혀 그러지 않았다(Not at all)
    b) 조금 그랬다 (A little)
    c) 다소 그랬다 (Somewhat)
    d) 아주 많이 그랬다 (A Great deal)

  • 여덟 번째 - 결정과정에서 당신은 얼마나 불편했고, 화가 났었습니까?

    a) 아주 많이 화가 치밀었다 (A lot)
    b) 다소 화가 났었다 (Some)
    c) 약간 화가 났었다 (A little)
    d) 전혀 화를 내지 않았다 (None)

  • 아홉 번째 - 당신의 파트너는 얼마나 불편해 했고, 화가나 있었습니까?

    a) 아주 많이 화를 냈다 (A lot)
    b) 다소 화를 냈다 (Some)
    c) 약간 화가 났었다 (A little)
    d) 전혀 화를 내지 않았다 (None)

  • 열 번째 - 10가지 생존품목 결정과정에서 두 사람이 합심해서 결정을 한 것 같습니까?

    a) 전혀 그러지 않았다(Not at all)
    b) 조금 그렇다 (A little)
    c) 다소 그렇다 (Somewhat)
    d) 아주 많이 그렇다 (A Great deal

* 점수 종합 방법

여러분이 체크한 답변 중에 a)에 그렇다고 답변한 것에는 1 점을, b)에는 2점, c)에는 3점을, 그리고 d)에 답변한 것에는 4점을 메기십시오.

그리고 10 가지 답변을 합계한 점수가~
* 24점을 넘으면(Over) - 당신은 결정과정에 다른 파트너의 영향을 아주 잘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고, 부부가 함께 팀이 되어서 함께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 24점 미만이면(Below) - 파트너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로... 더 노력이 필요한 사람들입니다. 24점 미만인 사람들은 우선... 자신이 배우자의 영향을 받아들이는데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파트너와 상의해서~ 본의 아니게 자신이 배우자를 지배하려고 들 경우를 알려 줄 것을 당부하는 것이 좋다. 아무도 하루 아침에 과거 습관(Old habits)을 바꿀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만약에, 의도적으로 파트너가 영향을 미칠 수 없게 하면서까지~ 어느 한 배우자가 결혼 생활에 중요한 결정들을 독단적으로 계속 결정 한다면... 부부가 합심해서 결정을 할 때에 누릴 수 있는 유익한 점들을 포기하게 되어... 자연 결혼 생활에 어려움과 직결되게 마련이다.

4. 결혼 생활의 2 가지 주요 갈등과 해결 가능한 문제들

5
해결 가능한 문제들은 해결해라 (Solve your solvable problems)

결혼생활의 2 가지 주요 갈등
해결할 수 있는 갈등과 만성적인 갈등

누구나 결혼생활에서 사랑(Love) 감정보다는 갈등 감정(Conflict)을 더 많이 대하게 될 것이다.

* 왜, 결혼 생활에 갈등요인이 대두 될까?

사실, 결혼은 각자의 견해(Opinion), 개성(Personality), 가치관(Values) 등이 서로 다른 2 사람간의 결합(Union) 이다. 그래서 아무리 행복한 결혼생활을 자부하는 아내와 남편도 수많은 결혼생활 문제들을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고... 갈등이 심해지면 각자는 보호방책(Protective device)으로 상대편 배우자를 멀리하기도 한다. 각 배우자들은 자신만 그런 갈등을 겪는 것 같지만~ 모든 기혼자들은 일상적인 고뇌(Mundane annoyances)로부터 마치 전쟁이나 지옥과 같은 갈등을 겪게 된다.

결혼생활에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부부간에 일치하지 못하는 사항들(Disagreements)을 확인해서 규명(Identify & define)부터해야... 그 대처 전략(Coping strategies)도 세울 수 있게 된다.

결혼 생활 갈등에는~ 해결할 수 있는 갈등과 만성적인 갈등이 있다.

* 계속 반복되는 만성적 갈등문제들 (Perpetual conflict problem)은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

고트먼 박사 연구팀이 4년간 연구조사한 바에 의하면... 결혼 갈등 중에 69%가 만성적 갈등에 해당되는 것을 발견했다. 다시 말해서 만성적 갈등 부부들은 4년간 똑 같은 문제를 가지고 부부가 승강이들을 했다고 한다.

고트만 박사는 부부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5 가지 만성적 특유 갈등문제들(Typical perpetual problems)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1
아내는 아기를 갖고 싶어 하지만, 남편은 아직 그럴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하며 언제 자녀를 가져야할지를 모르겠다는 말을 한다
(Wife wants ti have a baby, but husband says he is not ready yet - and doesn't know if he ever will be)
2
남편은 아내보다 아주 더 자주 성행위를 원한다
(Husband wants sex far more frequently than wife)
3
남편은 가사 일에 태만하며, 아내가 추궁할 때까지 남편은 자기 몫의 일을 하지 않아서, 결국 아내는 잔소리를 하며 화를 낸다 (Husband is lax about housework and rarely does his share of the chores until wife nags him, which makes him angry)
4
남편은 자녀들을 천주교 신자로 키우고 싶어 하지만 아내는 기독교 신자로 양육하고 싶어 해서, 아내는 자녀들이 자신의 신념을 따르기를 원한다
(Husband wants to raise their children as Catholics. Wife is Christian and wants their children to follow her faith)
5
아내는 남편이 아들에게 너무 심하게 대한다는 생각을 하지만, 남편은 “자녀가 일들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만 한다”며 자신의 양육 방법이 옳다고 생각 한다
(Wife thinks her husband is too critical if their son. But husband thinks he has the right approach - their son has to be taught the proper way to do things)

* 물론 이런 문제들을 지닌 부부들이 별 문제 없이 지내는 경우도 있지만 ~ 이는 아직 부부간에 그런 차이점에 대해서 서로 심각한 갈등으로 비화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일부 부부들은 상대편의 그런 점을 도저히 바꿀 수 없는 사항으로 여겨서... 아예, 그러 여느니~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만성적 정체 증상 8 가지
(8 Gridlock signs)

1
당신은 갈등으로 파트너로부터 거절당한 기분이다
2
당신은 갈등에 대해서 계속 이야기를 하지만 통 진전이 없다
3
당신에게 여러 문제들이 있지만 변화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4
당신이 파트너와 문제를 토의를 할 때에는 좌절감과 상처만 더 해진다
5
당신은 문제들에 대한 대화에서 유머나, 기분 좋은, 또는 애정을 보이지 못한다
6
당신은 시간이 흐를수록 부부 대화 시에 서로 더 비방을 하게 되는 태도를 고수 한다
7
당신은 비방으로 더욱 단호하고 반대적인 위치를 구축하며, 극단적인 견해를 보여서 좀처럼 타협을 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8
당신은 결국 정서적으로 파트너와 단절 된 기분이다

만성적 정체 증상이 있는 부부는 서로 마음에 있는 꿈과 이상들을 들어내 놓고~ 나누는 일이 관건(Key) 이다. 정체상황의 핵심요인은 대부분 “보답이 없는 무미건조한 꿈(Unrequited dreams)" 때문인 경우가 많다.

5번째 원리 해결 가능한 문제들은 해결해라
(Solve your solvable problems)

5번째 원리 “해결 가능한 문제들은 해결해라"는... “해결가능하지 않은 문제(Unsolvable problems)"와 정반대일 정도로만 이해를 해서... 해결 가능한 문제들을 제때 해소하지 못하면 파트너 간에 상당한 고통이 야기된다는 사실은 잘 모르는 경향들 이다.

그래서 파트너 간에 갈등이 생기면... 정체사항(Gridlock) 인지? 또는 해결가능(Solvable) 한 것인지? 가 분명하지 않을 경우가 많다. 해결 가능한 것은 만성적 정체사항보다는 덜 고통스럽게 마련이다. 또 해결 가능한 사항으로 부부간에 말다툼을 할 때에는 당시에 어떤 특정한 상황에만 초점을 두어서 그렇지... 내면적으로 근본적인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남편과 아내가 한차로 출근을 할 경우에~ 남편이 차를 너무 빨리 운전한다고 아내가 불평을 할 때에... 이는 해결 가능한 갈등에 속하며... 아내가 남편이 운전하는 차를 탔을 상황에서만 생기는 갈등인 것이다.

하지만 남편이 차 속도를 계속 내다가는 Speed 티켓을 받거나 차사고까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빨리 운전하는 습관을 해결하지 않으면 심각한 정체문제가 될 수 있다.

해결 가능한 갈등과 만성적 갈등의 차이점
(Solvable conflict & Perpetual conflict)

남편이 최근 돌아가신 부모로부터 $10,000불 상속을 받았다.

* 남편은 이 돈으로 체력단련 러닝머신과 옥돌 침대를 구입하려고 하고,
* 아내는 그 돈을 저축하여 나중에 집을 사는데 보태자고 한다.

그래서 부부간에 논쟁이 벌어져서~
* 남편은 이 돈으로는 집을 사는데 부족하니 당장 건강과 생활을 즐기는데 사용하자고 계속 우기고~
* 아내는 그 돈을 저축해 놓으면 나중에 집을 사는데 보탬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는 어느 쪽에 해당될 까요?

* 이 경우는... 남편과 아내는 단지 “저축(Saving)”에 대한 생각이 다를 뿐이지... 돈 문제 자체가 부부간에 갈등을 야기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결 가능한 갈등(Solvable conflict)”에 속한다.

평소 팁을 주는데 좀 인색한 남편과 동행한 아내가 식당에서...
자신의 이미지까지 망가지는 기분이어서 남편이 팁을 적게 주는 것에 불만을 표시하며 남편을 경멸할 경우에...
남편은 아내가 너무 돈을 헤프게 낭비한다고 할 것이고~
아내는 남편이 돈에 지나치게 짜다는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이런 경우는 어느 쪽에 해당될 까요?

아내와 남편은 돈에 대해서 “다른 의미(Different meaning)”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만성적 갈등(Perpetual conflict)”에 해당된다. 그런 이유는 돈에 대한 중요성은 통상 유년기 성장부터 학습되기 때문에 남편은 평생 팁을 충분히 주려고 하지 않을 것이며, 아내는 팁을 하나의 체면으로 생각할 것이다. 그래서 이들 부부는 팁 지불에 대한 만성적 갈등을 해소서해야만 관계성도 좋아질 것이다.

다섯 번째 원리인 “해결 가능한 문제들은 해결해라”로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흔히 결혼생활 상담자들은 갈등 해소(Conflict resolution) 어프로치를 적용해서~ 파트너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듣고 감정이입(Empathy)을 하라는 조언을 해 줄 것이지만... 그런 말과 이론은 좋지만 실제로 싸워서 화가 난 상태에서는 전문가들의 말대로 이행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고트먼 박사는 부부간의 갈등 해소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5 가지 일들을 하면~ 결국 행복한 결혼생활 5번째 원리 “해결 가능한 문제들은 해결해라”를 이행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1
시작을 부드럽게 해라 (Soften your startup)
2
복구시도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법을 배워라
(Learn to make and receive repair attempts)
3
당신과 상대편의 마음을 달래라 (Soothe yourself and each other)
4
타협을 해라! (Compromise)
5
서로 상대편의 잘못을 용인해라!
(Be tolerant of each other's faults)

* 우리들은 집에 식사초대를 한 손님이 술잔을 엎지르면...
괜찮다는 말을 하면서~ 다시 친절한 얼굴로 술을 딸아 주면서도...
파트너가 그런 일을 했을 때는 화부터 낸다!

이제부터 부부생활에서 이러한 5 가지 단계들을 적용하는 습관(Habit)을 지니면 도움이 될 것이다.

* 이상 5가지가 다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첫번 "시작을 부드럽게 해라!"가 아주 중요하다.


행복하든, 불행한 결혼 생활이든... 남편보다는 주로 아내가 먼저 논쟁이 되기가 쉬운 주제(Touchy issue)를 꺼내서, 해결을 촉구하려는 경향이므로, 아내가 어떻게 먼저 대화를 시작하느냐가 더 관건일 때가 많다.

대화 시작이 부드럽지 못하면~ 관철될 주제가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부부간에 Four horsemen 증상인 비난, 경멸, 방어적, 돌담벽 쌓기 사이클만 더 강화시킬 우려가 있다.

한 조사에서 이혼한 사람들의 40%만이 부부간에 잦은 싸움 때문에 이혼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시 말해서 이혼자의 60%는 부부간에 싫거나 잘못된 일을 따지거나 싸워서라도 “문제를 해소” 하기 보다는... 불만 사항을 “회피(Avoid)” 하려고만 해서~ 즉, 정서적으로 관계성이 멀어져서... 결국 이혼을 한 경우라는 것이다.

시작을 부드럽게 하라고 해서... 반듯이 외교적으로만 말을 하라는 것이 아니다. 비난이나 경멸적인 언어만 피해서 하라는 것이다.

대화시작을 부드럽게 하기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
(Soften your startup)

고트먼 박사는 시작을 부드럽게 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20가지 질의문도 제시하고 있지만, 우선 다음과 같은 5가지 사항들을 적용해보면 대화를 부드럽게 시작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
불평은 해도 되지만~ 비난만은 하자 말자!
(Complain but don't blame)
2
당신(You) 대신에 “내가(I)" 라는 용어로 말을 시작하자!
(Make statements that start with "I" instead of "You")
3
평가나 판단하지 말고 ”무슨 일이 생겼는지“를 설명하자!
(Describe what is happening, don't evaluate or judge)
4
명확히, 정중하게, 감사한 태도로 말을 하자!
(Be clear, Be Polite, Be appreciative)
5
해야 할 이야기를 너무 참아서 내면에 쌓아두지 말자!
(Don't store things up)

* 이에 해당하는 성경 말씀은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라”는 예배소서 4장 26절 이다.

부부간 갈등 야기 6 가지 요인들
(6 Conflict factors)

대부분 부부간 갈등 요인들은 "외부 또는 직장 스트레스(Work stresses), 시집 또는 친정식구들(In-laws), 돈에 관련된 일(Money), 성적인 문제(Sex), 가사일(Housework), 신생아에 관련된 일(New baby)" 등 6 가지이다. 그래서 역으로 이런 갈등사항들을 잘 활용하면 부부관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든 부부들에게는
정서적으로 해소해야만 할 일들이(Emotional tasks) 몇 가지씩은 있게 마련이어서 남편과 아내는 결혼생활이 성장되도록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 함께 노력하기 위해서는 부부간에 “깊은 이해심(Rich understanding)"이 선행해야만 한다.

만약 부부간에 이들 6 가지 사항에 대한 갈등이 있게 되면, 통상 그 사항에 대한 중요성이나 달성 아이디어가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봐야 한다.

1. 외부 또는 직장 스트레스(Work stresses) 대처 방법


스트레스 해소방법은 하루 일과를 마친 다음에 자신에게 스트레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서 부부간에 상호행동을 하기 이전에 스트레스부터 해소해야만 좋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해소하지 못한 상황에서 파트너의 언행에 기분이 상하면 우선 내 자신의 스트레스 때문인 것으로 생각을 해 봐야 한다. 이럴때는 직장에서 돌아온 다음에 좀 쉬거나 기도, 또는 명상을 한 다음에 부부간에 대화를 시작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2. 시집 또는 친정식구들(In-laws)로 인한 강등 해소 방법

아내는 남편이 친정식구들을 험담하면 기분이 상하고, 남편은 아내가 시집식구들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를 듣기가 싫어한다. 특히 이런 일들은 행복해야할 신혼 시기에 많다. 그래서 부부는 시집이나 친정시구들에 대해서 “우리 모두 라는 감각(We-ness sense)"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고부간에 갈등이 심할 경우 해결책은 주로 남편이 “자신은 누구인가”를 판단해서, 어머니보다는 아내의 편을 들어주는 것이 효과적 이다. 그래야 어머니는 아들에게는 아내가 먼저라는 메시지를 전달받게 된다. 물론 이때 어머니는 마음에 상처를 받겠지만 부모들는 아들이 결혼을 했다는 현실에 차차 적응하게 될 것이다. 또, 아내도 남편이 이런 태도를 취하면 "친정으로부터 시집 쪽으로" 마음이 더 기울어지게 될 것이다.


3. 돈에 관련된 갈등(Money) 대처방법

돈이 삶의 전부이며, 부부간 신뢰심의 상징이라는 개념으로부터 자유스러워 져야 한다. 부부가 공통어카운트를 갖고 있을 경우에는구좌에 돈이 많든 적든 대부분 돈 문제로 심각한 갈등이 있게 마련이다. 흔히 돈을 "안전과 위력(Security and power)의 상징"으로 보기가 쉽기 때문에 부부간에 돈에 대한 갈등은 각자의 가치체제의 핵심으로까지 비화 되기 쉽다.

돈으로 쾌락(Pleasure)도 살 수 있고... 안전(Security)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부부는 돈의 2 가지 역할에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요즘 대학생들은 융자를 받아서 공부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결혼을 한 다음에 융자금 상환 문제로 의견이 엇갈려서 이혼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해결책은 수입, 생활비, 상환금, 용돈 등등... 가계부를 투명하게 하고 돈에 관한한 부부가 한 팀이 되어서~ 서로의 관심사와 욕구를 자유롭게 말을 하게 해서 지출계획을 짜야만 한다. 어느 한 배우자가 금전문제에 희생자가 되면~ 분노심을 갖게 되어... 갈등의 씨앗이 된다.

4. 부부간 성적인 문제(Sex) 갈등 해소 방법

성에 대해서는 성장하면서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많이들 아는 것 같으면서도 서로 터놓고 이야기 할 수 없는 사항이라 실제로는 성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 부부간 성 생활에는 서로 "근본적인 감사와 수락이(Fundamental appreciation & acceptance)" 있어야만 원만해질 수 있다. 사실 결혼생활 중에 가장 많이 무안, 상처,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성적인 문제이다.

주로 남성들이 성행위를 더 자주 원하는 편이고, 대개 성적 욕구(Sexual needs)를 간접적, 묵시, 또는 미온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한 대화나 받아드릴 준비 없이 관계를 갖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분명 성관계는 기분 좋고 부부간에 친밀감을 강화시켜 주지만 긴장상태에서 성행위를 하게 되면 좌절감이나 상처를 받게 된다.

해결책은 부부간에 안전한 성관계를 할 수 있도록 성에 대해서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 즉, 성에 대해서 상대편 배우자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즉각 알아차리고, 적절한 방법으로 배우자의 성적 요구에 반응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부부간의 성생활에는 서로 친밀감, 좋은 감정, 만족감, 가치인정, 받아들여주는 감정 등이 함께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5. 가사일(Housework)에 대한 갈등 해소 방법

부부간에 공평하게 함께 팀으로 집안일들을 해야 한다는 감각을 만들어가야 좋다. 아마 대부분 가정에서 남편은 입었던 옷이나 양말을 아무데나 벗어 놓지만, 아내는 지정된 장소에 놓아두라거나 세탁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할 것이다. 그러나 남편은 그런 아내의 말들을 제대로 지켜주지 않아서 아내는 남편으로부터 존경과 지원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기가 쉽다. 이런 일로 아내는 결혼을 후회하거나 결혼생활 만족도가 떨어질 수도 있다.

해결책은 남편이 더 가사 일들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흔히 여성들은 기꺼이 가사 일들을 돌보는 남성으로부터 더 성적 자극을 느끼게 된다. 남편이 별로 가사 일들을 제대로 도와주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아내보다는 남편이 가사 일을 분담해서 잘 해 준다고 믿는 아내의 침실에서는 부부행위가는 더 만족하다는 조사가 있었다. 부부간에 만족스런 성생활을 위해서도 남편의 가사일 분담은 필요하다.

가정에서 할 일들을 목록으로 작성해서, 현재는 누가 하고 있는데... 당연히 그 일은 누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서로 이야기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6. 신생아에 관련된 갈등(New baby) 해소 방법

시부모나 친정부모의 경우와 같이 자녀들에 대해서도 “우리 모두 라는 감각(We-ness sense)” 형성이 필요 하다. 자녀문제는 마치 언제 터질지 모를 수류탄(Grenade)과 같아서 아기를 낳고 나서 결혼 생활이 폭발하게 되면, 그 폭발 여파로 아기가 태어나기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결혼생활을 하게 될 우려가 있다.

첫 아이를 낳은 아내의 70%가 결혼생활 만족도에 급격한 감소(Precipitous plummet)를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아내의 이러한 반응에 대해서 통상 남편도 결혼생활에 불만족을 느끼게 된다. 첫 자녀 출산 이후에 느끼는 불만으로는 수면 부족, 하는 일들은 많은 것에 비해 감사받지 못한다는 감정, 아직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아기를 돌봐야 하는 책임감, 경제적 부담감, 자기만의 시간 감소 등에서 온다.

해결책은 애정이 쏟아진 신혼 생활에서 아내와 남편은 자녀 출산으로 부모의 역할로 변천되는 과정 슬기롭게 넘어가야만 한다. 실제로 첫 자녀를 출산한 어머니들의 67%가 비참하게 느겼다는 조사는 33%의 부모는 변화를 잘 극복 했다는 것을 의미 한다. 특히 남편들은 어머니가 된 아내의 의견을 존중하고, 더 가사 일을 분담해서, 이제 자녀를 양육하는 일을 남편이 아닌 아버지의 역할을 다 감당하는 일로 생각해야 한다.

신혼부부에서 부모로의변천과정 준비사항
(6 Preparations)

준비 사항들을 6가지로 살펴 볼 수 있다.

1. 첫째준비사항

부부간의 우정에 초점을 두어라 ! (Focus on your marital friendship)

자녀를 출산하기 이전부터 부부간에 더 우정을 쌓으면 자녀가 태어난 다음에도 부부가 팀웍으로 자녀를 더 잘 양육할 수 있다.

2. 둘째 준비사항

자녀를 돌보는 일에 남편도 참여시켜라! (Don't exclude dad from baby care)

아내 혼자서는 자녀를 키우는데 한계점이 있음을 알고, 남편으로 하여금 어린 아이를 돌보는 일을 직접해보게 하면, 후일 자녀 양육문제로 남편에게 잔소리를 하는 경우도 줄어들게 된다.

3. 셋째 준비사항

아빠로 하여금 자녀와 함께 놀아주도록 해라! (Let dad be baby's playmate)

일부 아빠들은 자녀가 성장한 다음에나 부자지간에 대화를 시작한다는 말들을 많이 할 정도로, 자녀가 어렸을 적에는아빠들이애들과 놀아주지 못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부자지간에 관계가 멀어지거나 자녀가 아버지를 평생 어렵게 대하게 만들 수도 있다.

여러 연구 조사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어머니는 주로 자녀를 양육시키지만 아버지는 자녀와 놀아주는 경향임으로 어릴때 일수록 아빠가 함께 놀아주면 후일 부자지간에 관계성이 더 공고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4. 넷째 준비사항

부부 둘만을 위한 시간 갖기를 열망해라! (Carve out time for the two of you)

흔히 자녀를 낳고나서부터는 아내가 자녀에게 최우선권을 두고 남편은 그 다음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가끔은자녀를 친척이나 친구에게 맡겨두고 둘만의 시간을 보내는 일이아주 중요하다. 이때 주의 할 것은 너무 아기 이야기만 늘어놓는 일은 삼가야 좋다. 자녀들은 스스로 성장하여 결혼을 하면 부모 곁을 떠나가게 되어 있다. 결국 끝까지 삶을 함께할 사람은 부부밖에 없다.

5. 다섯째 준비사항

아빠의 욕구에 민감해라! (Be sensitive to Dad's needs)

남편이 아무리 아빠 역할을 잘 해내도 남편은 자녀에게 아내의 애정 일부를 빼앗긴 기분으로 외로울 수 있고, 심지어는 아내의 애정을 심리적으로 더 갈구할 수도 있다. 아내가 이러한 감정을 이해해주지 못하면, 남편은 부부관계성을 멀리할 우려까지 있다.

6. 여섯째 준비사항

엄마에게도 여유시간을 갖게 해라!(Give mom a break)

아내는 아기를 돌보다 보면 심신이 다 지칠 수 있다. 남편은 주중에 가능한 일찍 집에 오고, 주말에는 집에서 아기를 대신 돌봐주며, 그간 부족한 잠을 자게 하거나 친구, 영화관람 등 무엇인가 아내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하도록 도와야 좋다. 아내의 심신이 재충전 되어야 부부간의 성생활도 더 원만해질 수 있다.

5. 정체상황을 극복해라 (Overcome grid lock)

6
정체상황을 극복해라 (Overcome grid lock)

여섯 번째 원리 - 정체상황을 극복해라
(Overcome grid lock)

6섯번째 원리 “정체상황을 극복해라(Overcome grid lock)”는 결혼생활에서 한 배우자는 상대편 배우자의 성격이나 심리적인 타성 때문에 더는 자신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상태를 의미한다. 고트먼 박사는 만성적인 정체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대화(Dialogue)”로 그 정체사항들을 해소시킬 수는 있다고 보고 있다.

그 정체내용이 중요하 던아니든 정체지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원인(Causes)을 이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정체내용(Grid lock)은 자신이 한때 그렇게 되기를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사항이지만 뜻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거나, 또는 상대편 배우자가 그 이상을 존중해 주지 않아서 생기는 증상이다.

희망(Hopes), 포부(Aspiration), 소망(Wishes) 등이 이상(Dream)에 해당되므로, 이상은 자기존재(Identity)의 일부분과 같아서 삶에 목적과 의미를 부여해 준다.그래서 은행구좌에 자신이 원하는 액수만큼 돈이 저축되어 있어야 이상이 달성 된 것 으로 생각하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아주 더 심오한 꿈을 이상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은행구좌에 자신이 원하는 액수를 저축하는 것을 이상이나 꿈으로 여기는 사람도 실은 돈이 그렇게 많이 저축되면 그 돈으로 무엇을 해야 하겠다는 내면적인 욕구나 안전(Security) 사항들이 있게 마련이어서, 돈을 많이 저축하는 자체만이 이상의 전부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이상이 망가지면 여러 내면적인 사항들도 덩달아서문제가 되는 것이다.

꿈을 갖게 하는 내면적인 사항들
(Dream)

꿈은 유년기시절부터 형성되며, 가족들과 식사를 함께 하고, TV를 시청하며, 교육을 받으면서, 꿈은 자꾸만 수정되게 마련이다. 왜 어린 아이들에게 너 커서 무엇이 되고 싶냐고 하면 "경찰이나 군인이" 되고 싶다고 하다도10대가 되면 대통령이 되고 싶다는 말들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트먼 박사는 꿈을 갖게 하는 35가지 사항들 중에 10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유 감각 (Sense of freedom)
2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기 위해서 (Becoming all I can be)
3
위력감을 갖기 위해서 (Having a sense of power)
4
노년을 대비하기 위해서 (Dealing with growing older)
5
나 자신의 창조적인 면을 발굴하기 위해서
( Exploring a creative side of myself)
6
과거 상처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Getting over past hurts)
7
상실된 자신의 과거를 되찾기위해서
(Exploring an old part of myself I have lost)
8
아주 편안해 지기 위해서 (Being able to truly relax)
9
무언가 중요한 일을 끝내기 위해서
(Finishing something important)
10
속죄하기 위해서 (Atonement)

* 이러한 내용들은 우리들이 꿈을 갖게 하는 내면적인 사항들 이다.

결혼을 한후에 상대편 배우자가 성장과정 전반을 통해서 형성된 자신의 이상이나 꿈을존중해 주지 않을 때에는 문제가 생긴다. 배우자의 무관심이나 반대로, 자신의 꿈을 이루지 못하게 될 때에는 대개 2 가지 반응을 보이게 된다. 하나는 공공연하게 적대감(Open battle)을 보이거나 다른 하나는 내면으로 꽁하는 불만감정을 차곡차곡 쌓아두게 되어서 부부간에 정체사항(Gridlock)은 불가피 해진다.

그래서 결혼생활에 크든 적든 정체감이 있을 때에는, 무슨 이상이나 꿈이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내서 해소해야만 한다. 특히 유의할 것은 꿈 이면에 깔려있는 “숨은 내면(Hidden view)”을 알아내어서 부부간에 충분한 대화로 서로 이해를 해야만 한다.

훌륭한 부부들은 각자의 평소 꿈을 결혼생활 개념에 함께 통합시켜서 공동 꿈이나 목표를 세운다. 예를 들면 5년 후에는 새 집을 사서 이사를 하자거나 자녀는 몇을 나아서 양육하고, 교육은 어디까지 시키고, 노후 대책이나 어떤 모습으로 나중에 Grand parents 가 되겠다든지 하는 등의 공동목표를 세울 수도 있다.

각자의 꿈을 서로 존중 지원해주거나 함께 통합시키는 것은 부부간에 정체사항을 극복하게 만들고 가정과 결혼생활을 자신의 꿈을 성취하는 기반으로 삼게 되어 성취감이 충만하고 희망찬 결혼생활을 영위하게 될 수 있다.

정체사항 해소 5단계 과정

한마디로 정체사항은 당신의 꿈(Dream)에 대해서 배우자가 “반대 표명”을할 때에생기므로 서로가 어디까지 양보하고 이해해야 하느냐로 고심을 하게 된다. 하지만 정체사항을 해소하지 못하면 결혼생활이 계속 더 불행해지게 됨으로 다음과 같은 5 단계과정을 따라서 정체사항을 해소해야만 좋다.

1. 첫 번 단계 - Work on a gridlocked marital issue

나의 꿈이 탐지될 수 있도록 해라!


종종 결혼을 한 후에 부부관계성에 해가 될까봐, 또는 파트너가 “유치(Childish)” 하다거나 "실현 가능성이 없다(Impractical)"고 할까봐, 숨기는 경향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평소 간직해온 꿈이 지워지지는 않는다.

결혼생활에서 자신의 꿈이 존중받지 못하면 부부간에 갈등은 불가피해지며, 비록 꿈을 접고 결혼생활에 적응을 해도, 정체상황(Gridlock) 이라는 다른 형태로 표면화되어 불행하게 된다. 그래서 파트너가 나의 꿈을 알아차리도록 해야 좋다.

2. 둘째 단계 - Work on a gridlocked marital issue

정체로 야기된 결혼문제를 서로 알아보십시오!

부부가 서로 자신의 위치와 입장을 종위에 기재하고, 각자 파트너의 욕구, 바램, 현재 상황에 대한 감정 등에 초점을 두면서, 당신의 잠재해 있는 꿈을 기술해봐서, 어디에서 그런 꿈이 생겨났고, 자신에게 그 꿈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를 적어보십시오.

이렇게 결혼생활에 정체를 야기하는 꿈들을 이해한 다음에는 파트너에게 말을 하십시오. 혼자서만 이야기 하지 말고, 서로 기재한 내용을 15분간 이야기하고, 또 상대파트너의 기재 내용을 15분간 들어보십시오. 정체사항을 완전 해결하려는 시도는 하지 말고, 단지 왜 각자의 주장이 강경한지만 이해를 하십시오!

3. 셋째 단계 - Soothe each other

서로의 마음을 달래주십시오!

상대편 입장에서 꿈을 이야기 한 자체만으로도 성공적이다. 어느 한쪽 배우자가 자기 주장만 내세우며 잔소리를 장광하게 늘어놓게 되면, 아무런 효과가 없기 때문에 부부간에 정체사항을 이야기하기 전에 서로의 마음을 달래십시오!

4. 넷째 단계 - End the gridlock

정체사항을 끝내십시오!

부부 두 사람 간에 서로 다른 점을 받아들이고, 앞으로 정체 사항들을 더 다룰 수 있도록 일종의 타협 같은 것을 하십시오! 이 단계에서 당신의 목적은 갈등을 해소하려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제거하려는 것임으로, 상처를 제거하도록 노력해서, 더 이상 문제가 고통의 원인으로 되지 않도록 중지시켜야 한다.

5. 다섯째 단계 - Say thank you

감사하다는 말을 하십시오!

부부간에 정체해소 작업은 이상과 같은단계들을 따라서 해야 할 때도 있고, 해소 작업 중에 스트레스가 증가될 수도 있다. 하지만 결혼 생활에서 서로 감사하는 정신을 개발하려는 것도 목적이므로, 정체해소 작업을 마친 다음에는 반듯이 상대편에 감사하다는 표현을 하십시오. 그러면 갈등 해소 작업에 더 효과적인 반응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6. 함께 나눌 수 있는 인생에 의미있는 일을 만들어 봐라

7
함께 나눌 수 있는 인생에 의미있는 일을 만들어 봐라
(Create shared meaning)

일부 결혼한 여성들 중에는 사랑은 해도 정서적으로 연결된 것 같지는 않다는 말들도 하며, 직업을 갖고 있는 주부들은 자신만의 캐리어(Careers), 관심사(Interests), 친구들(Friends)을 사귀어서 독자적인 자세를 취하고 싶어 한다. 이런 여성들은 자녀를 성장시키고 나서는 더욱 독자적인 노선을 취하는 경향들 이다.

이런 현상을 사회환경이나 문화 때문 이라는 말들을 자주 하지만,문화(Culture)도, 가족들이나 부부가 함께 나누는 생활을 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그래서 삶의 근본적인 사항들에 더 동의할수록 더욱 결혼생활의 의미가 깊어지고 풍족해질 것이다.그래서 결혼생활의 필수적인 목적은 자신의 잘못이나 신념에 대해서 정직하게 말할 수 있도록 서로 격려해 줄 수 있는 가정 분위기를 만들어 가야만 한다. 더 솔직담백하게 이야기하고, 그 이야기를 존중해 줄 때에, 서로 의미 있는 일을 더 만들게 된다.

배우자와 얼마나 나누고 있을까?

한번 “연결의식(Your rituals of connection)” “역할(Your roles)”, “목적(Your goals)”, “상징(Your symbols)” 등을 중심으로 현재 어느 정도 배우자와 나누며 살고 있는지을 살펴보자.

1. “당신의 연결의식(Your rituals of connection)”

다음 13 가지 각 질문에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대답을 해 주십시오.

1
우리들은 식구들이 함께 식사할 때는 물론, 여러 가정 의식들에서, 서로 눈을 마주 쳐다보면서 한다
2
추수 감사절, 명절, 크리스마스, 또는 가족의 생일 때는 가족들이 함께 각별하게 식사를 한다
3
서로 일과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는 통상 특별한 시간을 갖는다
4
우리들은 집에서 TV를 시청하면서도 서로 눈을 마주친다
5
통상 침실에서 잠자리를 같이하면서 친밀한 좋은 시간을 나눈다
6
우리들은 주말에 함께 즐겁고 가치 있는 일들을 많이 한다
7
우리들은 집에서 파티나 친구를 초정해서 식사를 나누는 등의 일에 동일한 가치와 의미를 둔다
8
우리들은 생일파티나 결혼기념일을 함께 중요하게 챙기기도 하지만, 함께 싫어하기도 한다
9
내가 아플 때는 배우자가 돌봐주고 사랑해 준다는 기분이 든다
10
나는 배우자와 함께 휴가나 여행가기를 고대하며 그러기를 아주 좋아한다
11
우리들에게 아침 시간을 함께 보내는 일은 아주 특별하다
12
우리들은 심부름을 할 때에도 통상 함께 기분 좋게 시간을 보낸다
13
우리들은 지치거나 피로할 때에도 새롭게 기분전환 할 수 있는 방법을 갖고 있다

이상 13가지 질문들 중에 "그렇다"고 대답한 질문에 1점씩을 메기십시오!

* 당신의 종합 점수가 3점 미만이면, 결혼생활에 향상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다고 답변한 사항들에는 더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 가정들의 1/3 미만만이 가족들이 규칙적으로 함께 저녁식사를 하고 있으며, 또 그 중에 절반은 식사 중에 TV를 본다고 한다. 요즘은 컴퓨터와 인터넷 때문에도 가족들 간에 대화가 없어져서 연결의식이 더 적어지고 있을 것이다.

2. “역할(Your roles)”에 관련된 7가지 질의문

각 질문에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대답을 해 보십시오.

1
우리들은 남편 및 아내로서의 역할에 동일한 가치를 많이 나눈다
2
우리들은 엄마와 아빠로서 역할에서도 동일한 가치를 많이 나눈다
3
우리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 대해서도 동일한 가치 의식을 많이 지니고 있다
4
내 파트너와 나는 삶에서 일을 해야 한다는 역할에 대해서도 동일한 견해를 갖고 있다
5
내 파트너와 나는 직장일과 가족 삶에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데 동일한 이념을 지니고 있다
6
내 파트너는 내 삶에서 나의 기본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7
내 파트너는 우리들의 삶에 가족과 친족들도 함께 중요하다는 내 견해를 존중해준다

이상 13가지 질문들 중에 "그렇다"고 대답한 질문에 1점씩을 메기십시오!

* 당신의 종합 점수가 3점 미만이면, 결혼생활에 더 향상을 필요로 한다. 실로 우리들의 역할은 가정에서의 역할, 사회 또는 직장에서의 역할 등 다양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결혼이라는 결합을 통해서 여자와 남자 두 사람 각자의 역할을 하나의 의미 있고 조화 있는 부부역할로 만들어 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3. “목적(Your goals)”을 알아 볼 수 있는 10가지 질의문

각 질문에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대답을 해 보십시오.

1
우리 부부는 삶속에서 동일한 목적들을 함께 많이 나누고 있다
2
아마 내가 늙어서 내 삶을 되돌아보아도 우리들이 결혼 생활을 아주 잘 해냈었다는 말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3
내 파트너는 나의 성취를 가치 있게 봐준다
4
내 파트너는 결혼생활과는 관련이 없는 내 개인적인 목표도 존중해 준다
5
우리 부부는 자녀, 친척, 친구, 이웃 등 우리들에게 중요한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많은 동일한 목적들을 나눈다
6
우리 부부는 아주 동일한 경제적 목표들을 지니고 있다
7
우리 부부는 위험한 경제적 재난에 대해서도 동일한 염려를 한다
8
우리들은 자녀들, 단 둘이만의 삶, 노후 대책 등에 관한 희망과 포부가 아주 같다
9
우리들의 삶에 대한 이상도 비슷하거나 같다
10
비록 지금 형편이 달라도 우리들의 꿈과 이상을 서로 존중해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10가지 질문들 중에 그렇다고 대답한 질문에 1점씩을 매기십시오!

* 당신의 종합 점수가 3 점 미만이면 결혼생활 향상이 더 필요 하다.
각자는 유년기 시절부터 건강, 성공, 영적 성장, 돈을 많이 버는 것과 같은 개인적인 목표들(Personal goals)을 지녀 왔을 것이다. 결혼 생활에서 부부간에 자신의 목표들을 함께 나누는 일은 서로의 친밀감을 돈독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함께 공동으로 나눌 수 있는 목표도 세우게 되어 서로의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해주게 된다.

4. “상징(Your symbols)”에 대한 20가지 자가점검 질의문

각 질문에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대답을 하십시오.

1
우리들은 가정이(Home) 무엇을 의미에 하는가에 대해서 완전 일치한다
2
우리들은 사랑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이념이 아주 일치한다
3
우리들은 삶 속에서 평안함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비슷한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4
우리들은 가족이 주는 의미에 대해서도 비슷한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5
우리들은 삶에서 성생활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
6
우리들은 삶에서 사랑과 애정의 중요성에 대해서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
7
우리들은 결혼에 관한 의미에 대해서도 동일한 견해를 보인다
8
우리들은 삶에서 돈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
9
우리들은 삶에서 교육의 중요성에 관해서도 같은 의견이다
10
우리들은 삶속에서 재미와 플레이(놀이)의 중요함에 대해서 같은 의견이다
11
우리들은 때로는 모험도 중요하다는데 뜻을 같이 한다
12
우리들은 신뢰심에 대한 가치관도 같다
13
우리들은 각자의 자유에 대해서도 의견을 같이 한다
14
우리들은 자치와 독자적이 면에서도 견해가 일치 한다
15
우리들은 결혼생활에서 권력을 나누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도 같은 의견이다
16
우리들은 “우리(We)" 이면서도, 독립적일 수 있다는데 견해를 같이 한다
17
우리들은 자동차, 책, 의복, 집 등을 소유하는데도 거의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
18
우리들은 자연에 대한 의미와 계절감각에 따른 가치의식도 같다
19
우리들 모두는 감상적이라 그리운 과거에 추억을 많이 하는 경향이다
20
우리들은 나이가 들어 은퇴생활에서 하고 싶은 사항들도 같다

이상 20가지 질문들에도 "그렇다"고 대답한 질문에 1점씩을 메기고 가산하십시오.

당신의 종합 점수가 3 점 미만이면 결혼생활 향상이 더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가치와 신념 면에서 일치가 되면, 결혼 생활에서 더 나눌 수 있게 될 것이다.

* “우리들의 참된 홈(Our True Home)” 기도문을 함께 기도하ㅏㅂ시다.

하나님!

현제이 순간이 저희들에게는 바로 참된 홈 입니다
기적은 물위를 걷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저희들이 살아있는 그 자체가 기적입니다!

그러므로 기적은 현재 이 순간에 푸른 대지 위를 걸으며,
가능한 결혼 생활에 평강과 아름다움을 인식하며 감사하는 일입니다.

평강은 하나님께서 창조해 주신 세상과 대자연 도처에~
그리고 우리들의 영육 간에 있습니다.

평강은 신념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알고 실천하는데서 비롯됩니다!

저희들이 결혼생활 갈등에서 회복되어 변화될 수 있도록,
결혼생활에 하나님의 사랑과 평강이 늘 함께하심을 깨닫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 멘-

온라인 회복참여자 여러분들께서는 행복한 결혼생활 7가지 원리 회복자료를 보시면서, 진작 그렇게 변화를 시도해보지 못한 것에 후회나 자책을 하실 분들도 있을 것이고 ...

* “그것 봐! 당신도 변해야 돼~” 하고 말하는 배우자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자책이나 비평(Criticism)은 결혼 생활을 향상시켜주기보다는 더 악화시킬 뿐입니다!

이제 행복한 결혼생활 7 가지 원리 중에, 단 1 가지만이라도 적용해보아도~ 전과는 다른 삶으로 되실것입니다.

여러분들의 가정에 행복과 평안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니다!

2006년 9월 17일

-이해왕 선교사-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제공



(Practical Miracles/7 Principles/Starting over/Divorce 12 Steps 참조)
"본 문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사, 출판 또는 다른 홉페이지에 사용을 금지 합니다"
-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