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 회복교실
Sex 중독회복
인터넷 중독 회복
니코틴 중독 회복
다이어트 음식중독
  회복
쇼핑/부채중독 회복
도벽(Shoplifting)
  회복
우울증 회복
장애/만성병 회복
12단계 회복프로그램
바이블 12단계
  회복원리
바이블 회복/적용
청소년 12단계
  회복프로
이혼 12단계
  회복프로그램
음성/영상 12단계
  회복
정서/심리 회복
  프로그램
회복참고자료
신문잡지 회복기사
회복자의 편지란
중독증 회복 방송국
영상 회복방송
중독/의존증 회복
  모임교재
베데스다 연못
  회복목회
 

today_34 / total_440079




가족 교실 l 장애 정서감정 l 만성병 정서감정 l 12단계 회복 l
긍정적 감정학습
l 회복 방송

장애/만성병 회복 - 긍정적 감정 학습장


우리들이 이야기를 하다보면 "긍정적으로 말"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부정적인 말"을 많이 하는 사람들도 본다.

물론 성장과정에서 가정환경이나 여러 조건들로 형성된 성격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부정적인 말을 하는 사람은 객관적으로 그렇지 않은 일에도 부정적으로 말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연 대화를 회피하게 만든다.


부정적 감정으로 가장 피해를 보는 사람은 주위 사람들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 이다.

맑고 화창한 날에도 기분이우중충해서 슬프다고 생각할수록 스트레스는 증가되고,
누적된 스트레스는 관계성뿐만 아니라, 자신의 육체적 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3 차례에 걸쳐서 “사랑과 기쁨,” “희망과 신념,” “평온과 긍정적 정서감정” 등을 살펴 보기로 한다.
이는 우리들의 긍정적인 정서감정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긍정적 정서감정 학습은 회복 1 ~ 4 단계를 이행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도움이 될 것이다.

1. 긍정적 감정 - 사랑과 기쁨 (Love & Joy)


사랑(Love) - 영적성장 양육으로 이어져야!

Peck 박사는 그의 저서 “The Road Less Traveled(1978)” 에서 사랑, 전통적인 가치의식, 및 영적 성장에 대한 새로운 심리내면들을 소개했다. 문제를 대면하고 해결하는 일은 너무나 고통스런 과정이라 대부분 사람들은 회피하려고 들 하지만, 결국 이는 자신의 영적성장만 방해하게 됨으로, 우리들은 긍정적인 고통대면과 해소로 영적성장에 변화를 추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사랑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랑은 자신이나 주위 사람들의 영적성장을 양육할 목적으로 자기 스스로가 행사하는 의지이다”

(Love is the will to extend one's self for the purpose of nurturing one's own or another's spiritual growth)

또, 목회자겸 치료자인 Wayne Muller는 “How/Then/Shall we live"에서...

“사랑을 선택하는 일은 아주 중요한 일이며, 무엇을 사랑 하느냐에 따라서 우리들의 눈, 귀, 마음은 삶의 본질을 형성하는 한 인생항로에 쏠리게 마련이라”고 했다.

흔히 사람들은 사랑을 자신의 의지나 선택된 행동으로 생각하지 않고, 우연히 생기는 것으로 들 믿지만
그렇지가 않다. 배우자, 부모, 자녀, 연인 모두의사랑에는 의지(Will), 의도(Intention), 행동(Action) 등이 포함 되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렇게 사랑은
자기 의지로 이루어지는 행동임으로, 영적성장을 위해서 우리 자신이 노력하려는 선택을 할 때에랑은 형성 되게 되며, 우리 스스로가 사랑하려는 의지를 갖는 일은 영적으로도 헌신하는 일이 된다.

한번 영적성장에서 주위 사람들을 위한 것과
우리 자신을 위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자!

우리 자신이 다른 사람의 영적성장을 향해서 영역을 넓히려는 일은 연결, 친밀, 돌봄 등과 같은 영적충만 정서감정들을 갖게 하여, 자연 우리들의 파괴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생각은 지향되어 우리자신 만에 초점을 두어온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어 점차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이 많아진다.

때로는 주위사람들에 대한 사랑은
지원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그들이 좋아하는 방법으로 우리 자신들이 처신하기도 한다. 정원을 가꾸거나 병원 입원 환자들을 돌봐주는 일들이 이런 사랑에 속한다.

사랑을
목적 면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부모가 자녀에게 여름방학에 보충수업을 받도록 주선 하는 일은 자녀로서는 이해하기가 힘들겠지만 이 또한 부모의 사랑행동임으로, 다른 사람의 영적성장 양육을 위해서 취하는 행위를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자신을 위한 영적성장 또한 중요하다. 회복 12 단계는 영적으로 문제가 된 점을 고쳐주도록 고안된 것이므로, 회복 12 단계 프로그램 참여는 자신의 영적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

사람들은 회복 12 단계를 따라서 하면서부터는
자신의 정서적 고통을 제거하려고 할 것이며, 회복원리를 일상생활에 적용하려고도 해서, 우리들의 영적성장은 양육되어 자신을 사랑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기쁨(Joy) - 그 가능성에 항상 마음을 열고 있어야!

시인들은 ~
“기쁨은 인간의 삶이다!”
“기쁨은 날개가 있어 머물지 않고 날아다닌다!”고도 하며....
"만족은 부귀보다 낫다(Contentment is better than riches)"는 속담도 있다.

만족(Satisfaction)과 행복(Happiness)은 기분 좋을 때
잠시 동안 마음에 파도치는 기분 좋은 감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일부사람들은 만족감정을
의도적으로 계획하기도 해서, 자신의 만족을 소망하고 행복감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도 하며, 심지어는 약물이나 중독행위로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쁨은
만족감과 같이 우리들이 의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뜻하지 않게 우리들에게 다가오는 것이다. 그래서 순수한 기쁨(Pure joy) 이란 폭발하는 불빛과 같이 어떤 영적인 사항으로 인해서 우리들의 마음에서 북받쳐 오르는 것으로, 기쁨은 어떤 일을 잘 성취했을 때 느끼는 뽐내는 감정과는 다르다.

뽐냄(Exultation) 자신이 계획했던 일이 성취되었을 때에 갖는 충만감과 같아, 마치 파워를 지녔을 때와 같아서, 자칫 영적 교만과 파괴감정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뽐냄은 우리들이 승리하려는 욕구만 강화시키거나 다른 사람들을 우리들 밑에 두려고만 해서, 뽐냄은 겸손(Humility)을 망가트릴 위험이 있다.

참 기쁨(True joy) 자주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삶과 사랑이 단발적으로 인식될 때에만 와서, 꽃의 청초함, 봄날의 찬란한 초록빛, 잠자는 어린아이의 아름다움, 바이올린의 고운 음률 등과 같다고 할 수 있어, 기쁨은 우리들보다 더 위대한 그 무엇과 연관된 총체적 결합(Total connection)을 의미한다.

그래서 기쁨은 세계와 연결된 그리고 단발적인 영적충만감 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우리들이 기쁨을 사전에 예측할 수는 없지만, 그 기쁨의 가능성에 항상 마음을 열고 있어야, 우리들에게도 기쁨이 찾아오게 될 것이다.

2004년 11월 8일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제공
-이해왕 선교사-

2. 긍정적 감정 - 희망과 신념(Hope & Faith)


우리들이 영적 충만을 이야기 할 때에는 결코 희망과 신념을 빼놓을 수 없다.

희망(Hope) - 삶에 활력소 부여(Mainspring of our life force)

영적 충만 없이는 희망을 가질 수 없고,
희망 없이는 영적발전도 기대할 수 없다!

장애/만성병 회복여정에서 희망은 마치 태양과 같아서 ~
희망은 어둡고 무거운 짐들을 우리 몸의 그림자처럼 등 뒤로 버려두게 할 수 있다.

또 희망은
심리적인 것으로 가슴 속에서 솟아나는 삶의 동기와 힘의 원천으로, 아침에 일어났을 때에 느끼는 에너지와 같아서, 우리들은 살아있는 한 희망은 있게 마련이다.

희망은
열정, 확신, 기쁨 등을 촉진시켜 주어서 꿈과 목표를 갖게 하며, 실제로 의사와 환자들도 의료적으로 최선을 다한 다음에도 기적이 일어날 것을 희망하기도 한다.

더러는 희망을 포기하고 아예 삶을 단념하는 사람들도 있다.
의사나 간호원들도 환자가
“이제 나는 갈 준비가 됐다”고 말할 때에 삶에 대한 희망을 완전히 포기한 것을 보게 된다.

종교적으로도 자신이 저주받았다고 생각될 때에는
희망을 포기해서 마구 되는대로 살아가려고 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심리상담자들도 내담자가 희망을 잃으면 마음까지 놓게 된다고 보아서, 스스로 자신의 희망을 훔치는 일은 자신에게 부정적인 자가 예언(Negative self-fulfilling prophecies)으로 자승자박(自繩自縛) 하는 격이 되어버린다.

이렇게 희망은 우리들의 삶에 원동력이 됨으로, 현실적으로
희망을 삶에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자신의 부정적인 반응을 지원하기 위해서 잘못 사용해서는 된다.

예를 들면 백혈병(Leukemia)으로 고생을 하는 사람은 한동안 투병을 하고나면 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는 것은 좋지만, 백혈병을 자신이 저주받은 것으로 생각해서는 않된다. 또, 이런 상황에서는 얼마동안 병고에 시달려야 하느냐 보다는 수명대로 살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래서 희망은
건전한 육체를 유지할 수 있게 할뿐더러, 영적으로도 우리들을 더 강화시켜 준다.

신념(Faith) - 기적적인 결합(Miraculous connection)

시인 John Donne은 ~

“이성은 우리 영혼의 왼손이고, 신념은 오른 손으로, 이들로 초자연적인 힘에 도달할 수 있어, 당신도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했다.

(Reason is our soul's left hand, Faith her right. By these we reach divinity, that's you)

태초부터 사람들은 많은 명칭이나 이데올로기들로 지구를 운항하는 불가사의한 힘들을 설명하려고 애써 왔지만, 모든 과정은 자신의 정서적인 관계 하나로 통한 연결(Connection)을 의미해서, 우리들은 이를 신념(Faith) 이라고 한다.

인간을 하나의 실체로 본다면 다른 하나는 삶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고, 그 삶의 원동력은 신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의 실체와 삶의 원동력을 함께 합쳐야 한다면, 이 두 가지를 연결해줄 수 있는 것은
바로 신념(Faith) 이므로, 결국 신념은 인간의 삶을 가동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우리들을 에워싸고 있는 삶의 원동력 존재 자체를 모르고 살아가서, 즉, 신념을 잘 몰라서, 그저 맹신(盲信 - leap of faith)으로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우리들이 유년기 시절부터~

“신념을 가지면 산도 옮길 수 있다(Faith can move mountains)" 거나~
“신념으로 기적을 이룰 수 있다(Faith can make miracles)"는 말들을 들어 왔다.

실제로 우리들은 삶 속에서
우리 자신(Self), 신념(Faith), 그리고 위대한 힘(Higher Power)을 한데 합치면, 비록 산은 옮기지 못하더라도 작은 기적들은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우리세대의 기적은 한번에 큰 기적을 체험하기 보다는
작은 기적들을 여러 번 체험하며, 이들이 합쳐져서 우리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삶 속에서
계속 신념이 생겨나도록 그 가능성에 마음을 열고 있을 때에만, 작은 기적들을 더 체험하게 될 것이다.


2004년 11월 14일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제공
-이해왕 선교사-

3. 긍정적 감정 - 평온(Serenity)


나의 가장 큰 부요는 내가 그 안에서 추구하고 성장하는 아주 깊은 고요함이며, 세상 그 어느 화염이나 검으로도 나의 그 평온함을 빼앗아 갈 수는 없다
(My greatest is the deep stillness in which I strive and grow and win what the world cannot take from me with fire and sword)
-Goethe-


종종 우리들은 평온을 고요함(Calmness), 평안(Peace), 평정(Tranquility)으로 생각하거나, 방해받지 않는 평탄한 마음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우리들 대부분은 요가자세로 명상을 수행하는 사람의 모습을 평온한 사람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평온(Serenity) 해진다는 것은 마치 삶의 파도에 떠다니는 것과 비유할 수 있어서, 고요한(Calm), 차분한(Tranquil), 경이적인(Wonderful)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들이 구하려는 것은 영적 발전(Spiritual evolution)의 결과로 얻어지는 평온이지, 피동적인 평온(Passive serenity) 아니다.

그래서 우리들이 추구해야 할 평온은
적극적인 것으로 삶속에서 실제로 체험하는 것들 이어야 한다.

여러 의료연구에서도 일반적 스트레스(Stress)와 실망적 스트레스(Dis-stress)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고 한다. 스트레스는 인간이면 누구나 겪는 자연적인 상태(Human‘s natural condition)로 삶속에서 더 잘해보려는 에너지를 촉진시켜주기도 하지만, 실망적 스트레스의 압박감(Life pressures) 삶의 원동력이 되기보다는 파괴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0여명의 어린이들을 돌봐야하는 유치부 선생님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린이들을 사랑으로 돌보자는 에너지로 작용될 수 있지만... 성급함(Impatience), 좌절감(Frustration), 분노심(Anger) 등과 같은 실망적 에너지는 자신의 정서적 불안감으로 어린이들을 제대로 돌볼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평온해질 수 있는 길은 가능한 실망적 스트레스를 경험하지 않고, 일상적 스트레스를 삶의 원동력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살아가는 것이다.

우리 자신의 평온을 기하기 위해서~ 때로는 결과들을 포기 할 줄도 알아야 한다. 즉, 매일매일 우리 삶의 현실들(Realities)을 기쁨으로 대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들이 이러한 평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영적인 힘이 우리들을 에워 쌓고 있음을 깊이 인식할 때만 가능해 진다.

영적 고취 정서감정들
(Spirit-enhancing emotions)


사랑, 희망, 기쁨, 신념, 평온 이외에도... 고통이 해소된 다음에 공허감을 메울 수 있는 여러 다른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정서감정들은 다음과 같다.

수락됨
Accepted
유능한
Competent
열렬한
enthusiastic
감사한
Appreciated
완비한
Complete
충만한
Fulfilled
보증된
Assured
자신만만한
Confident
친밀한
Intimate
고요한
Calm
연결된
Connected
하고싶은
Wanted
쾌활한
Cheerful
느긋한
Relaxed
편안함
comfortable
낙천적
Optimistic
경이로운
Wonderful
아주 기쁜
delighted
안전한
Secure
만족한
Satisfied
흡족한
Proud

* 위에 감정들은 누구나에게 있을 수 있는 "자연적인 정서감정(Natural emotions)" 이다. 그간 장애나 육체적 만성병 문제로 고통을 받아온 우리들에게는 이런 긍정적인 감정들이 차단, 또는 단절 되어왔을 것이다.

이제 우리들은 이러한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정서감정들을 고취할 필요가 있다. 우리들이 이러한 감정들을 더 느낄수록, 이들 감정에 익숙해 져서, 우리들의 영성도 성장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긍정적 정서감정 상상적 실습
(Imagery exercise for positive emotions)


오늘 학습한 영적고취 정서감정들을 더욱 마음에 담으실 수 있도록~
함께 상상적 실습을 해 보십시오!

  1. 자, 눈을 감으시고... 마음속으로 오늘 학습하신 긍정적인 정서감정 중에 어느 한 가지를 떠 올리십시오! - 사랑, 만족, 흡족, 안전, 희망, 기쁨, 신념 등등 무엇이든... 한 가지를 정하십시오.

  2. 그 정서감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십시오. 좀 시간을 두고 그 감정을 만져보듯이 느껴 보십시오! 서두르지 마시고... 그 감정이 느껴지도록 하십시오!

  3. 그 감정에게 물어보십시오! 무엇을 당신에게 주려고 하느냐고요?
    그 감정이 무어라고 대답을 하든...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십시오!

  4. 이번에는 그 정서감정에게... 당신으로부터 무엇이 필요하냐고? 물어 보십시오!

  5. 다음은 당신이 그 정서감정에게 말을 하십시오! - 당신에게는 그 정서감정이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떻게 당신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말입니다!

  6. 이렇게 그 정서감정과 대화를 마친 다음에는~
    “언제 다시 찾아오겠느냐?”고 그 정서감정에게 묻고~
    “나는 항상 너를 환영한다!”는 말을 해 주십시오!

  7. 상상적 실습을 통해서~ 당신의 정서감정과 이야기를 다한 다음에...
    그 정서감정과 당신의 관계성을... 종이위에 기재하여 보십시오!

  8. 자주 이러한 상상적 실습을 통해서~ 다른 긍정적인 정서감정들도 만나서 대화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2006년 7월 30일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제공
-이해왕 선교사-



Disabilities Anonymous, Chronic illness, H/B pressure 참조
"본 문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사, 출판 또는 다른 홈페이지에 사용을 금지 합니다"

-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