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1 단계
- 무시 또는 비호 단계 (Ignorance or denial state)
사이버 섹스 문제가 없는 배우자는 처음 1-2년 간은
성생활 관계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면서도 그 것이 사이버 섹스 때문인지를 모르게 된다.
어쩌다 사이버 섹스 문제를 거론하면 중독자의 거부 반응,
변명, 약속 등으로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사이버 섹스 중독자가 부부간의 성관계에
관심을 보이지 않게 되면 배우자는 야한 의상, 성적 기구, 체중 조절, 또는 미용수술 등으로
상대의 성적 관심을 사려고 노력한다. 잦은 중독자의 성관계 거절로 배우자는 자존심에 상처를 받는
것이 분명한데도 회복도움은 구하지 않고 사이버 섹스문제만을 “통제(Control)” 해 보려고
한다. 친지나 이웃에게는 내 가정에 아무 문제가 없는 것 같이 보이려고 애 쓴다.
이 비호단계의 마지막에 가서는 배우자는 중독자를 더욱
의심하게되어 “뒷조사(Detective work)”를 시작하여 중독자의 행동을 감시하고 신용카드
사용 내역을 알아보고 컴퓨터 파일을 조사하기도 한다.
▶
제 2 단계
- 충격 및 발견 단계 (Shock and discovery)
이제 배우자는 우발적으로 중독자의 온라인 섹스 행위를
목격하기도 하고, 음란물 사진, 채팅 내용, 또는 뒷조사를 통하여 사이버 섹스의 본질을 어느
정도 파악하게 되었을 것이다.
통상 사이버 섹스 사실을 발견한 배우자들은 충격, 배신감,
분노, 무기력, 혼돈과 같은 강력한 감정들로 고통을 당한다. 이런 감정을 눈치챈 중독자는 사이버
섹스를 더이상 하지 않겠다는 약속으로 위기사항을 간신히 모면한다.
그러나 중독자들은 아무리 중단하고 싶은 의사가 진지하고
강력해도 직장과 집에 있는 컴퓨터의 유혹을 이기지 못해서 다시 온라인 섹스를 하게 된다. 배우지들
역시 온라인 섹스 행위 발견, 싸움, 약속, 고통스런 결과들을 반복적으로 겪게된다.
충격 2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 배우자는 1단계에서
보였던 무시 또는 비호 방법을 일체 중단한다.
▶
제 3 단계
- 문제 해결 시도 (Problem solving attempts)
이쯤 되면 중독자의 온라인 섹스 문제는 아주 심각하게
되며 문제를 의식한 배우자는 문제해결을 위한 각종 조치를 시작한다.
배우자는 중독자의 행동과 이 메일 감시, 애원, 컴퓨터
사용 통제, 온라인 행위 실토 등을 하게 하며 사이버 섹스 중독증과 회복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일부 배우자들은 중독자의 온란인 섹스 욕구를 저지시키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난잡한 성관계 체위를
허용하거나 성관계 횟수를 늘리기도 한다.
어느30대 중반 여성은 남편이 섹스 욕구가 생길 때는
즉시 신호를 보내면 섹스를 하자는 약속을 하면서 까지 남편의 사이버 섹스 행위를 통제하려는 집착을
보이나 불행이도 이러한 부부관계성은 마치 “부모와 자녀 형태(Parent-child dynamic)”
같이 되기 쉽고 중독자는 화를 내며 자신의 온라인 섹스 행위에 대해서 거짓말로 일관하게 된다.
이 3단계에서 배우자는 사이버 섹스를 통제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방법들을 계속 추구하게 되어 “감시와 뒷조사”를 더욱 강화하며 중독자의 음란행위를 추적할
수 있는 컴퓨터 확인 방법과 기술까지 배우는 또다른 형태의 중독자(Co-addict)가 되어
간다. 일부 여성 배우자는 중독자 남편이 사용하는 채팅방에 몰래 가입하여 중독자 남편을 유혹하기도
한다.
배우자는 사이버 섹스 문제가 노출되는 3 단계에서 중독자의
컴퓨터 사용 제한, 접속코드 공개, 음란 사이트 차단 프로그램(Cyber patrol, Net
nanny) 설치 등을 해보지만 이는 일시적일 뿐 부정적인 방법(Negative methods)에
불과하다.
3단계 마지막에 가서 배우자는 자신의 문제 해결 노력이
(Problem-solving efforts) 성공할 수 없다는 사실과 가정과 자신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여 위 3단계 즉 회복이전 단계(Pre-recovery stages)를 모두 끝내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회복(Positive recovery)”으로 들어서게 된다.
이때 배우자들은 우울증, 고립감, 결혼 생활 실패,
음주, 격분, 자녀 문제 등으로 고퉁을 당하기도 한다.
회복 과정에서 배우자들은 사이버 섹스 문제의 원인이
자신들에게 있지 않으며 배우지의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터득하게 된다. 배우지들이 회복치료를
받아도 중독자가 함께 회복과정을 밟지 못하면 결혼 또는 관계성이 종식되기 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