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우리가 이해하는 하나님의 보살핌에 “우리 자신의
의지와 삶”을
완전히 맡기기로 결심 합니다
( Made a decision to turn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God
as we understood Him) |
회복 2 단계에서 우리들은 마음의
건전함을 살펴보았고, 이제 회복 3 단계에서는 우리들의 영적인
면을 다루기 시작한다. 종종 중독을 “영적
병(Spiritual disease)" 이라는 말들을 한다. 그간 우리들은
알코올, 마약, 도박, 게임, 또는 기타 중독행위들과 미치광이
관계성을 맺어 왔기 때문에 우리 자신의 영적측면을 돌보지 못했다. 또한 우리들은
다른 사람들의 영적측면과 연결하는 방법도
발견하지 못했다. 중독생활에 시간을 빼앗기면서 우리들은 점점 더 영적으로 상실되어서 우리
내면은 고독해 졌다. 그래서 중독은 우리들을
영적으로 굶주리게 만들었던 것이다.
(In Step Two, we looked at our soundness of mind. Here
in Step Three, we start to deal with our spirit. Addiction
is often called a spiritual disease. Because of our
crazy relationship with alcohol, drugs, gamble, game,
or other addictive behaviors we lost touch with the
spiritual side of ourselves. Also, we became unable
to find ways to connect with the spiritual side of others.
Over time, we became lost spiritually - we became lonely
inside. Our addiction starved us spiritually)
마치 우리는 주위사방에 담벼락을
쌓아 올렸던 것처럼 되었었기 때문에 아무도 우리들을
접촉할 수 없었고, 우리들도 아무도 접촉할
수 없었다. 단지 우리들은 알코올, 마약, 도박, 게임,
또는 기타 중독적인 행위들만을 위해서 삶을 살아왔었다. 중독 물체나 중독행위들은
우리 자신들보다 힘이 셌기 때문에, 항상
중독이 먼저가 되었다. 우리들은 중독이라는 괴물이 무엇을
요청하던지 간에 다 갔다 받쳐서, 우리들의 자존심, 관계성까지 모두 버렸다. 왜
우리들이 그랬어야만 했을까?
(It was as if there was a wall built around us. NO one
could touch us, and we could touch no one. We had turned
our lives over to alcohol, drugs, gamble, games, or
other addictive behaviors. They had become a power greater
than ourselves. They always came first. We gave to our
addiction whatever it asked - our self-respect, our
relationships. Why?)
그 대답은 간단한 것으로 우리들이 통제력을
상실했었고, 알코올 회복모임 책자인 빅북에 "자기
의지 소멸(Self-will run out)" 이라고 기술한 것처럼 되어버려서,
우리들은 오직 "나, 나, 나(Me-me-me)"
만을 생각 했었다. 우리들이 원했던 것은 도취감정(High)
뿐이라고 생각을 했고, 그 도취 감정은 우리들에게 항상
위안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그렇게 되지를 않아서 우리들은 회복모임에
참석하게된 것이다.
(The answer is simple - we had lost control. We had
become, as the Big book says, "self-will run out."
We only thought of me-me-me. We thought the high was
what we wanted. We thought it brought us relief. But
it did not and came to recovery meeting.)
우리들은 통제력이 상실된 것을 느꼈기 때문에 일부만이라도
통제를 하고 싶어 했고, 중독은 그런 우리들이 통제하고
있는 것처럼 믿도록 도와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는 거짓이었으며,
우리들은 통제력을 상실 했던
것이다. 결국 우리들은 모든 것을 내 방식대로만 해 오다가
일이 이지경이 된 것이다. 우리들은 누가 상처를 당하던
상관하지도 않았다. 이렇게 삶을 살아서 우리들은 주위 사람들에게는 물론 우리 자신들에게도
"불안전(Unsafe)" 하게 되었다. 어쩌다 우리들이 그들 주위에
다가갈 때에는 그들은 몸을 도사리고 “영적(Spirit)”으로도
자신들을 보호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We wanted to be in control partly because we felt so
out of control. Our addiction helped us believe we were
in control. But this was a lie - we were out of control.
We ended up having to have everything our own way. We
didn't care who got hurt. By living this way, we became
unsafe to others and ourselves. People started protecting
themselves and their "spirit" when they were
around us.)
우리들 또한 우리자신의 “영성(Spirit)”을
보호해야만 했다. 우리들은 불안전해서 우리 자신에게도
상처를 주었다. 그래서 중독세월이 경과되면서 서서히 우리들의
영성 주위에 담벼락을 쌓아 올렸고, 언젠가 상황이 안전하게 될 때에 다시
가져오기를 바라면서 영성을 멀리하기만 했었다.
(We also had to protect our own "spirit."
We were unsafe and were hurtful to ourselves. So, slowly
over time, we built a wall around our spirit and put
it away, hoping for a time that it would be safe to
bring it out again.)
또한 우리들은 영성을
해피(Happy) 하게 만들었던 일들을 일체 중단했다 주위사람들을 사랑하거나 그들과
연결하는 대신에 사람들을 멀리하기 시작했었다.
하지만 술이나 마약 또는 도박과 같은 중독행위들을 했던
친구들은 예외로 했다.
(We also stopped doing things that made our spirit happy.
Instead of loving others and connecting with them, we
started staying away from others - except for our friends
who drank, drugged, or did addictive behaviors like
gamble)
- 배우자를 사랑하는 대신에 경멸 했다!
(Instead of loving our spouse, we put him or her down)
- 자녀들과 놀아주는 대신에 자녀들이 지쳐버릴 때까지
일장훈계를 했다!
(Instead of playing with our kids, we lectured them
until we drove them away)
우리들은 우리자신의 영적자신과 우리들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영성 간에 거리를 두었다. 물론 주위 사람들은 우리 자신을 믿지 않았다. 중독증이
이끄는 데로만 따라 다니느냐고, 우리 삶은 거의 돌보지를 못했고 “중독
고통”에만 우리들의 의지와 삶을 맡길 결심을
했다.
(We put distance between our spiritual selves and the
spirits of those who loved us. We stopped believing
in others and ourselves. We went wherever our addiction
took us. There was little care in our lives. We made
a decision and turned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pain of addiction.")
회복 3 단계는 “돌보라”는
것이 전부로 아주 훌륭하다. 우리들의 의지와 삶을 하나님의
돌보심에 완전히 맡기려는 것이다. 우리들은 돌봄으로
행동하는 것을 학습하려는 것이다. 회복 3 단계의 진정한 아름다움은 우리들의 삶에
부여해줄 질서정돈에 있다.
(Step Three is wonderful. It's all about "care".
We are to turn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God. We are to learn to act with care. The true beauty
of the 3rd Step is the order it will give to our lives.)
종종 우리들은 “이 일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하며
의이해 한다. 회복 3 단계는 우리들에게 이러한 질문들에 쉬운
방법으로 대답을 하게 해 준다. 문제에 처했을 때에 우리들은 어떻게 그 문제를 처리해야
하나를 선택해야만 해서, “내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돌보는 방법은 무엇일까?”를 우리 자신에게 묻게 된다.
(Often we wonder, "Should I do this or not?"
The Third Step give us an easy way to answer these types
of questions. When faced with a problem, we have to
choose how to handle it. We ask ourselves, "What
is the most caring way I can solve this?")
우리들이 선택들을 고려할 때에, “위대한
힘께서는 나의 선택을 돌보는 선택으로 보실까?”를 우리자신에게 물어봐야 한다.
(When we think of choices, we ask ourselves, "Would
my Higher Power see my choice as one of care?")
- 만약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으면 그대로 해라!
(If the answer is "yes," we do it)
- 만약 “아니다”
이면 하지 말아라!
(If the answer is "no," then we don't do
it)
- “확실히
모르겠다”는 답변이면 정확한 답변을 알
때까지 기다려라!
(If the answer is "I'm not sure," then we
wait until we know)
기다리는 중에 회복동료나
후원자에게 선태내용을 말해서, “당신은 위대한
힘께서 나의 이러한 선택을 돌보는 행동으로 보실 것으로 믿습니까?” 하고 그들에게
물어봐야 한다. 그러면 더 이상 실수를 하지 않게
된다.
( As we wait, we talk with our friends and sponsor,
asking them, "Do you believe my Higher Power would
see this as an act of caring?" We are not lost
anymore.)
우리들은 양 갈래 길을 만날 적마다 “조심”
하라고 표시된 방향을 선택한다. 비록 그 길이 더 험준한 길로 보여도 우리들은
“조심 하라는 방향의길"을 택한다. 우리들이 가족을 경멸하고 싶은 감정이
생길 경우에 “이것이 과연 돌보는 행동으로 보여질까?”를
우리 자신에게 물어봐야 한다. 만약 답변이 “그렇지 않다”면
우리들은 다른 방법으로 행동 할 것을 찾아봐야 한다. 회복 3 단계는 우리들이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에 계속해서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Whenever we come to a fork in the road, we choose the
direction marked "care." Even if the road
looks rougher and longer, we choose the direction marked
"care." If we feel like putting down a family
member, we ask ourselves, "Would this be seen as
an act of caring?" If the answer is "no,"
we must look for another way to act. Step Three will
continue to give us direction for the rest of our lives.)
이번에는 회복
3 단계의 3 가지 부분을 살펴봅시다!
(Let us look at the 3 different parts that make up the
Third Step!)
1.
결심 합니다
(Made a decision...) |
결심한다는 단어는 우리들에게 아주 중요하다. 결심은
우리들에게 “선택(Choice)”을 하라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회복 3 단계 이행을 선택한
것이며, 이는 우연이 아니다. 영적 성장은
선택해서 되는 일이다.
(These words are very important for us. They speak to
us of "choice." We choose to work the 3rd
Step. It will not happen by accident. Spirituality is
about choice)
우리들이 단지 알코올, 마약, 도박, 게임, 또는 다른 중독행위들을 중단하기만
하면 영적으로 성장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들이 육체와
뇌에 독약을 넣는 중독적인 행위들을 중단하기만 해도 자연적으로 삶이 좋아질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우리들의 영적인 면이 덩달아 좋아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영적으로 성장되기 위해서는 우리들이 결심을
해야만 한다. 영성은 선택으로 이루어진다. 영적인 사람은 영적인
사람이 되기를 선택 한다. 우리들은 회복 1~2 단계에서 다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선물 받았으므로,
이제 선택을 하는 일은 우리자신에게 달려
있다.
(We don't become spiritual just because we stop drinking,
drugging, gambling, games, or doing other addictive
behaviors. It is possible for our lives to naturally
get better just by our stopping the act of putting poison
into our bodies and brains. But this doesn't mean our
spirit will naturally get better. For this to happen,
we must make a decision. Spirituality is chosen. Spiritual
people choose to be spiritual people. The First and
Second Steps gave us back the gift of choice - now it
is up to us how we use it)
선택이야 말로 우리 자신을 위해서 책임을
지게 만든다. 우리들이 과거를 되돌아보고 우리들의 의지와 삶을 우리들을 돌봐주실
하나님께 의탁한 우리 자신을 상기할 적마다,
우리들은 더욱 책임성이 있는 사람이 된다. 선택은 우리들에게 힘, 즉 선택할
것이냐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냐 하는 힘이 있음을 가르쳐 준다.
(Choice makes us responsible for ourselves. Each time
we look back and remind ourselves that we've made a
decision to turn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God, we become more responsible. Choice teaches
us we have power - the power to choose or not to choose)
결심을 하는 것은 우리들이 다시 선택의 힘을 되 찾아오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독 병은 우리들이
선택할 수 있는 힘을 훔쳐갔었기 때문에 그간 우리들은 술, 마약, 게임, 또는 도박을
선택을 해서 한 것이 아니고, 단지 중독에
이끌려서만 했던 것이다. 우리들은 중독행위를
중단하고 싶어 했었지만, 그럴 힘이 없었다.
드디어 회복 3 단계에서 우리들은 우리의 힘을 다시 우리
삶으로 가져 올 수 있는 선택을 하려는 것이다.
(To make a decision means we start to take our power
back. Our illness had stolen our power - our power to
choose. We could not choose to drink, drug, games, or
gamble - we just did. We wanted to stop, but we had
no power. In Step Three, we choose to bring our power
back into our lives)
“책임을 진다”는
말은 “나는 행동으로 나의 선택을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들이 중독에 처해 있었던 동안에는 무책임
했었다. 우리들은 다른 사람들과 우리 자신에게 “나에겐
선택할 수 있는 힘이 없음으로 내가 한 행동에 나는 책임이 없다”고 믿게 하려고
노력했었다. 회복 3 단계는 우리 자신에게 책임을 지도록 우리들을 도와주기 때문에, 이제 우리들은
우리들의 선택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다.
("Responsible" means "I am my actions
and I am my choices." During our addiction, we
were irresponsible. We were trying to get others and
ourselves to believe "I'm not responsible for my
actions, and I have no choice." Step Three helps
us to become responsible for ourselves. We are responsible
for our choices)
2.
하나님의 보살핌에 우리 자신의 의지와 삶을 완전히 맡기기로
(... to turn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God ...) |
우리들 대부분에게 이 구절은 전체 12단계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겁이 나는 부분이다.
(For many of us, this is the scariest part of the whole
12 Step program)
- 만약 우리들이 의지와 삶을 모두다 의탁해 버리면
과연 누가 내 의지와 삶을 감당해 줄까?
(If we turn over our
will and let go of our lives, who will run them?)
- 실제로 하나님은 계신 것인가? 비록 하나님이 계신다고
쳐도 내가 있는데 왜 하나님께 내 삶을
의탁해야 하나?
(Is there really a God? Even if there is a God, why
should I turn my life over when it's mine?)
우리들 모두는 이러한
질문들과 씨름 할 것이다. 그간 중독 병 때문에 우리들은 아무도 그리고 아무것도
신뢰하지를 않았고, 다만 술, 마약, 도박, 게임, 또는
기타 중독적인 행위들만 신뢰했었다.
(These are questions we all struggle with. Because of
our illness, we trusted no one and nothing. We trusted
only alcohol, drug, gamble, games, or other addictive
behaviors)
우리들은 신뢰해보려고 애써보지만, 아마 중독행위를
반복해서, 다시 회복 2 단계를 해야만 할 것이다. 그래도 걱정하지 마라. 우리들은
별로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고 있다. 우리들이 위대한 힘을 믿기는 하지만 아직도
“빠른 수습(Quick fix)"만 믿으려고 안달한다. 우리들은 통제를
하고 싶어 하고, 위안만을 바래서, 지금 당장 그 위안을
추구하고 싶어 한다.
(We struggle to trust. We may have to go back and struggle
with the Second Step again. This is okay. We are not
very trusting people. We believed in and still struggle
with believing only in the "quick fix." We
want control. We want that relief and we want it now)
이렇게 중독은 여러 방법면에서 병의 핵심이 되어 -
신뢰심 결핍으로 신념도 없다. 사실 우리들의
중독 병은 우리들이 기분을 좋게 느끼고 싶었을 때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최소한 처음 중독행위를 시작할 무렵에 우리들이 중독물체를 하거나 중독행위를
했을 때에 몇번 기분좋게 느꼈던 것은 자연적인
것이지만, 그 위안감은 결코 오래 지속되지 않아서
우리들의 문제 어느 하나도 해결된 것이 없다.
(In many ways this is the core of our illness - lack
of trust, little faith. Our illness got started when
we wanted to feel good. This is natural. We felt good,
and, at least in the beginning, we felt relief when
we used or did. But it never lasted, and none of our
problems got solved)
회복 3 단계는 다음과 같이 그간 중독에서 받았던 괘락과는
다른 유형의 즐거움을 우리들에게 줄 것이다.
(The Third Step will give us a different kind of pleasure
than we ever received from our addiction)
- 우리들은 이제 통제하지 않아도 기쁨을 누리게 될
것이고, 우리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하는 방법을 아는 데서도 오는 즐거움이 있어서,
우리들의 삶은 다시 방향과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We will get pleasure from not having to be in control.
We will get pleasure from learning how to resolve
our problems. Our lives will have direction and meaning
again)
- 우리들이 형성한 위대한 힘과 함께 돌보는 관계성에서도
기쁨을 갖게 될 것이다!
(We will get pleasure from the caring relationship
we build with our Higher Power)
- 우리들이 다시 다른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음은
물론 우리자신을 신뢰할 수 있게 된 것으로부터도 기쁨을 누리게 될 것이다!
(We will get pleasure from trusting others and from
being able to trust ourselves)
이렇게 회복 3 단계는 우리들이 오랫동안 추구해왔던
- 마음에 평안을 우리들에게 안겨 줄 것이다.
(Step Three will give us what we have been looking for
all along - peace of mind)
우리들이 결과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을 때에는 항상 하나님께 우리들의 의지와
삶을 의탁해왔음을 알 것이다. 하지만 얼마나 우리들이 원하는
결과들만 얻도록 통제 시도를 했었는지를 상기해 봐라. 우리들은 우리방식대로 하기
위해서 닥치는 대로 아무것이나 다 하려고
했었다. 회복 3 단계는 그런 일들을 중지하고, 우리들의
의지와 삶을 하나님께 의탁하라고 한다. 오히려
하나님께서 그 결과들을 걱정해주시도록 할때에, 우리들이 필요로 하는 결과들을 우리들에게
갖다 주실 것이다. 우리들이 할 일은 오직 마음을 편안이
갖고 계속 하나님을 믿고 신뢰하는 것이다. 그래서 12단계 프로그램에서 “염려하지
말고 하나님께 맡기라!”는 말을 하는 것이다.
(We know we have turned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God when we stop worrying all the time
about outcomes. Remember how we tried to control the
outcomes we wanted? We would do anything to get our
way. Step Three says stop. We are to turn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God. God will worry about the outcomes.
God will give us the outcomes we need. So relax. Our
job is to keep believing and trusting. The program says,
"Let go, and let God.")
지금까지도 우리들이 의지와 삶을 하나님의 보살핌에 의탁하여
왔으나 실제 삶에서는 아주 혹독한 일들만
생겼지만 이는 우발적인 사고들 이다. 비록
사랑하는 사람이 사망을 해도 회복 3 단계는 위대한 힘께서 우리들이 그
견디기 어려운 시기를 견디며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실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우리들이 의지와 삶을 의탁하기만 하면, 우리들은 생존과
치유에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우리들은 돌봐주시고 사랑해 주시는 하나님께
우리 삶을 의탁해야만 한다.
(We have turned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God. In life, horrible things do happen. There are
accidents. Loved ones die. Step Three says our Higher
Power and it care will help us through hard times. If
we turn our will and our lives over, we will get the
care we need to survive and to heal. We turn our lives
over to a caring and loving God)
회복 3 단계 이행은 우리들이 돌봄에
입각한 선택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우리들은 쾌락이
아니라, 돌봄을 구하려는 것이고, 그래야만 위대한 힘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그
길로 향하려는 것이다.
(Working the Third Step menas that we make choices based
on care. We look for care - not for pleasure - and head
that way because that is where we will find our Higher
Power)
3.
우리가 아는 하나님
(...as we understood Him) |
당신은 회복
3 단계를 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하나님을 믿지 않아도 된다. 그냥 당신이 원하는
데로 하나님이 계신 것으로 알고 이해만 하면
된다. 회복 2 단계에서와 같이 당신을 온
정신으로 복원시켜주실 수 있는 당신 자신보다 더 위대한 힘이 계시고, 회복
3 단계에서는 그 위대한 힘께서 당신을 돌봐주실
것으로만 생각하면 된다. 하나님을 믿든 아니든 대부분 사람들은 “위대한
힘”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우리들은 지금 참석하고 있는 회복그룹에서
많이 돌봄을 받기 때문에 이 회복모임은 우리들에게 위대한
힘이 될 수도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자연을
사랑과 치유해 주시는 위대한 힘으로도 규정한다. 위대한 힘 결정은 당신
자신에게 달려 있다. 아무도 당신에게 어떻게 하나님을 정하라는 말을 할 수 없다.
즉, 당신 자신만이 위대한 힘과의 관계성을
가질 수 있다.
(You don't have to believe in God to work Step Three.
You can define and understand God in any way you want.
Maybe your definition of God is a Power greater than
yourself that can restore you to sanity(Step Two), and
this Power cares about you(Step Three). Many people,
whether or nor they believe in God, use the term "Higher
Power." For them, their group could be their Higher
Power because it provides them with care. Many define
Nature as their loving, healing Higher Power. It is
up to you to decide. No one else can tell you how to
define God - you have your own personal relationship
with your Higher Power)
회복 3 단계는 매일
매일의 삶을 통해서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삶 자체에 결정할 일들이 천지이기 때문에,
우리들은 위대한 힘께서 우리들이 무엇을 하기를 바라시는지를
마음에 새길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우리들이 선택을 해야 할 때마다
회복 3 단계 내용을 생각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 한동안 하다보면 조심스럽게
선택하는 일이 삶의 한 방법으로 될 것이다.
(Step Three needs to be worked throughout each day.
Because life is full of decisions, we need to keep in
mind what our Higher Power would want for us. We need
to think about the Third Step whenever we face a choice.
After a while, choosing care will become a way of life)
우리들의 의지와 삶을 위대한
힘의 보살핌에 의탁을 한 다음에는 우리들이 12단계 프로그램을 위한 다른
과제들을 할 준비가 되어서, 이제부터는 “우리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볼 차례이다!” 우리들은 회복 4 단계를 할 준비가 된 것이다.
(Once we have turned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our Higher Power, we are ready to take on
another task for the 12 Steps program. "We are
to look inside ourselves!" We are ready to work
on Step Four.)
2007년 4월 20일
- 이해왕 선교사 -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제공
|